소개글
"조선대학교 언어의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육과정의 구성체계와 특징
2.1. 한국어교육과정의 구성체계
2.2. 한국어교육과정의 특징
3. 한국어교육과정의 장점
3.1. 언어학과 접목된 능력 평가 중심의 강의
3.2. 한국문화와의 접목
4. 한국어교육과정의 단점
4.1. 실습 중심의 강의 확보
4.2. 현대한국언어/문화와 관련된 강의 확보
5. 한국어 교육의 방향
6. 맺음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금 이 순간에도 한국 사회 현상을 반영하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속 일상생활이 달라지면서 국민들은 자신이 경험하는 상황들과의 관련성을 가진 특정한 용어가 필요해졌다. 답답함을 참지 못한 사용자들이 직접 한국어를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소비심리 위축, 고용난 등으로 경제적 타격을 입은 국민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현금 지원대책인 긴급 재난지원금, 긴급 고용지원금 등과 같은 전문용어를 비롯해서, 코로나19로 인해 찾아오는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가리키는 상상 코로나, 코로나 블루, 마스크를 쓰지 않고는 생활하지 못하는 시대인들을 가리키는 호모마스크쿠스까지. 시시각각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변화하는 시대를 한 번 더 자세히 들여다보려 시도하는 노력처럼 인류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어휘들이 일상용어로 단단히 자리 잡게 됐다. 현대인들은 언어로 소통을 주고받는 것에서 더 나아가 심심한 위로까지 나누기도 하는 상황이다. 한국어뿐만 아니라 언어는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의사소통을 돕는 도구,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언어가 변화한다는 것에 대해 착안한 논문 한편이 눈길을 끈다. 남길임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도 이와 같은 사회 현상에 대한 분석을 지난해 12월부터 약 1년 동안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민을 녹여낸 논문을 2020년 11월 25일 한국사전학회의 저널을 통해 발표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언어의 뿌리부터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금 언어가 어떻게 변화해가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어 교육의 방향은 현재 어느 목적 지점을 향해 설정되어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고민을 나눠 보는 장을 만들어 보고 싶었다.
2. 한국어교육과정의 구성체계와 특징
2.1. 한국어교육과정의 구성체계
한국어교육과정의 구성체계는 대표적으로 총 5개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한국어학, 일반 언어학 및 응용언어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한국 문화, 한국어교육실습으로 분류되어 있다"" 한국어 능력을 겸비할 수 있을 강의, 한국어 능력을 교육할 수 있는 전문성을 겸비할 수 있을 강의, 한국 문화와 타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강의로 구성되어 있다""
공통적으로, 한국어교육학의 분류는 대체적으로 언어학에 기반을 둔 한국어 지식을 강의하고, 한국어 어휘력과 문법에 기반하여 언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다양한 결합으로 강의하는 총체적 언어 접근법의 강의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한국 문학과 한국 문화를 한국어 능력과 융합시킨 강의와,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다채로운 방법을 강의하는 과정에 변주를 두고, 이 모든 교육과정들을 직접 실습에 옮겨보는 한국어교육을 실습해보는 과정을 실습 정비와 실습 단계의 강의로 분류해 구성되어 있다""
2.2. 한국어교육과정의 특징
한국어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어교육과정은 대체적으로 언어학에 기반을 둔 한국어 지식을 강의하고, 한국어 어휘력과 문법에 기반하여 언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다양한 결합으로 강의하는 총체적 언어 접근법의 강의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국 문학과 한국 문화를 한국어 능력과 융합시킨 강의와,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다채로운 방법을 강의하는 과정에 변주를 두고 있으며, 이 모든 교육과정들...
참고 자료
박 성 례(2018년)‘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법 연구’ 교육학석사(한국어교육)학위 연구보고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추혜원(2017)‘ 결혼이주여성 대상 한국어 교재 듣기 말하기 영역 분석’ -자료의 실제성 점검과 활동 유형 분포 분석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세종한국어 3(2017), 김정숙 외, 국립 국어원
한국강사신문 (https://www.lecturernews.com)
[신동민 칼럼니스트]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34
전용오, 여태철, 황매향(2020). 교육심리학. 방송대 출판문화원
임규혁, 임웅(2007),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송명자(2008),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구슬이(2018),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따른 피아노 교수-학습 지도안, 숙명여자대학교
김임순, 김성훈(2015),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교육에 주는 함의, 조선대학교
김명희, 김향자, 신화식 외 2명(2009),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실제, 학지사
콜버그, 문용린 역(2000),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김태훈(2008),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 인간사랑
김경미(2005),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교육적 적용, 중앙대학교
허승희(2020), 교육심리학, 학지사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교육기관 자료
https://kteacher.korean.go.kr/noti6/noti61/_/D_list.do
민현식,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Design for the grammar-based skill-integrated curriculum in KSL”,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8, p263~268.
윤여탁,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9, p240~242.
김윤숙, “한국어 문화교육에서의 미디어의 유용성과 활용 방안 연구 : 유튜브 '영국남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media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cused on YouTube‘Korean English man’”, 광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p3, p44.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한국어, ‘신한류’로 세계에 확산한다’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8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