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윤선도의 사상과 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윤선도의 생애와 배경
1.1. 가문의 배경
1.2. 호남 제일의 경제적 기반
1.3. 왕실과의 특수한 친분 관계
1.4. 서인에 대한 숙원과 피해의식
2. 윤선도의 학문과 사상
2.1. 유교사상
2.2. 도교사상
3. 고산문학의 성격
3.1. 초기의 작품 세계
3.2. 중기의 작품 세계
3.3. 후기의 작품 세계
4. 『윤선도 평전』의 특징
4.1. 보길도의 부각
4.2. 역사적 배경 지식의 삽입
4.3. 윤선도에 대한 평가
5. 기다림의 미학을 실현하는 은둔자, 어부
5.1. 유가의 은일사상과 어부 문학
5.2. 어초문답도와 배경 문학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윤선도의 생애와 배경
1.1. 가문의 배경
고산 윤선도의 가문은 사림파의 흥기와 함께 번창하였다가, 동서분당 이후 당쟁으로 시련을 겪었다. 이는 조선 중기 사림파 가문의 정치적 부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윤선도의 직계는 증조 이래 자신의 아들에 이르기까지 5대를 연속하여 문과에 올랐고, 3대에 걸쳐 당상관을 역임하였다. 이처럼 그의 가문은 대대로 내려오는 명문으로 특히 문명을 떨친 집안이었다. 고산 윤선도도 이러한 영남지방의 학풍을 이어받아 남인으로 활동하게 된다.
1.2. 호남 제일의 경제적 기반
윤선도의 경제적 기반은 호남 제일의 부호였던 해남윤씨 가문에 기인한다. 윤선도의 고조인 윤효정이 해남정씨 가문과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대부호가 되었고, 이후 윤선도의 조부 윤의중이 생애 동안 재산을 꾸준히 증식하여 호남 제일의 부호로 불렸다. 이렇게 형성된 거대한 재산은 자손이 많지 않아 거의 분산되지 않고 윤선도 형제에게 전해졌다. 윤선도 개인의 경제적 기반도 이렇듯 호남 최대의 부호로 일컬어지는 가문의 전통적인 부를 토대로 형성되었다. 윤선도는 서울 연화방의 경제와 양주 고산, 보길도 등 해남일대에 큰 별장들을 가지고 있어 당시 사족들 중에서도 유례가 드문 강력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경제적 토대는 정치적 불운에도 불구하고 윤선도가 유유자적한 생활과 언론 활동을 가능케 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1.3. 왕실과의 특수한 친분 관계
고산 윤선도와 왕실의 관계는 매우 특수했다. 윤선도는 효종의 태자 시절 사부(師傅)로 재직하며 그의 학문과 인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선생은 사부의 직책에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아 왕의 특명으로 임기를 3차나 연임할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호조정랑, 한성부 등 주요 요직에 임명되기도 했는데, 대군 사부직은 항상 겸직하고 있었다. 윤선도는 효종의 학문적 기초를 닦았을 뿐만 아니라 인격 형성에도 상당한 감화를 주었다.
윤선도와 왕실의 유대관계는 의술 분야에서도 나타났다. 선생은 유교사상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에도 관심과 능력이 뛰어났는데, 특히 의약에 정통하여 직접 약포를 운영하기도 했고 왕족의 질환 상담과 처방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윤선도는 다년간 사부직과 의술로 왕실로부터 많은 은사품을 받기도 했다.
이처럼 윤선도는 효종의 사부로 지내며 왕실과의 특수한 관계를 누렸고, 이는 그의 정치적 입지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왕실과의 돈독한 유대관계는 윤선도가 정치적 역경에도 불구하고 목숨을 보전할 수 있었던 이유이자, 삼수의 유배지에까지 대비와 왕비, 대왕대비가 의복을 보내는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었던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4. 서인에 대한 숙원과 피해의식
서인에 대한 숙원과 피해의식은 윤선도의 학문적 배경과 정치적 입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윤선도의 가문은 점필재 김종직, 퇴계 이황, 오봉 이호민 등 영남학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 자신도 서울에서 공부하였으나 특별한 학문적 스승이 없었다. 이처럼 가문의 학연이 자연스럽게 윤선도를 남인 정객으로 활동하게 하였다.
윤선도가 서인에 대해 가진 숙원과 피해의식은 그의 강직한 성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훈구 권귀에 대한 저항과 비판은 사림의 특징적 면모였다. 이점에서 그가 이이첨과 원두표를 공격한 것은 사림파의 정신적 전통과 부합한다. 그러나 송준길, 송시열에 대한 공격은 당시 서인의 영수로 간주되고 있었기에 비판의 타당성이 부족하였다. 이는 기축옥사 이래 윤선도 가문이 서인으로부터 받은 핍박에 대한 울분의 발로였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윤선도의 서인에 대한 숙원과 피해의식은 그의 강직하고 투철한 사림파적 정신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윤선도가 남인으로 활동하게 된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2. 윤선도의 학문과 사상
2.1. 유교사상
윤선도의 학문적 배경에는 유교사상이 큰 영향을 미쳤다. 주로...
참고 자료
위키백과사전
이영춘, 2006 「孤山 尹善道의 학문과 예론」국학연구 제9집 - 한국국학진흥원
윤승현, 1999「孤山尹善道硏究」홍익재
안휘준(1980), 『한국회화사』, 일지사 pp.201-202.
임태승, 「中國文人畵에 나타난 儒家文人心態 분석」, 한국유교학회, 2015.
『後漢書』「逸民列傳」
김용찬, 「<어부사시사>에 나타난 ‘자연’ 인식과 작품 세계」, 한국시가문화학회, 2017.
송희경,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성무경, 「漁樵問答」과 「漁樵問答圖」의 문화담론 고찰-歌曲 가집 『詩歌』의 文化圖像 탐색의 일환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이은아, 「漁樵問答圖 硏究 : 간송 미술관 소장 <漁樵問答圖>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네이버 지식백과 ‘지자요수인자요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8888&cid=40942&categoryId=32972
네이버 지식백과 ‘어부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997137&cid=47319&categoryId=47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