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학술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복지의 발전 단계별 역사
1.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1.1.1. 태동기
1.1.2. 도약 및 발전기
1.1.3. 정착기
1.2.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1.2.1. 태동기
1.2.2. 도약 및 발전기
1.2.3. 정착기
2. 성남시 청년배당정책
2.1. 성남시 청년배당정책의 내용
2.2. 성남시 청년배당정책의 기본이념 및 의의
3.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3.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3.2. 학자들의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정의
3.3. 내가 생각하는 사회복지 실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복지의 발전 단계별 역사
1.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
1.1.1. 태동기
영국의 지역사회복지는 1950년대 이후 지역사회보호가 지역사회복지의 핵심적인 정책으로 등장하고, 공공 및 민간의 지역사회서비스를 포괄하는 지역사회보호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을 대체하는 정책적·실천적인 개념으로 확산되면서 태동기를 맞이했다. 이와 같은 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의 개념은 공공과 민간의 지역사회서비스를 포괄하는 1950년대 이후 나타날 수용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에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지역사회보호가 최초로 사용된 것은 1957년 '정신병과 정신장애에 관한 왕립위원회의 보고서'(royal commission on low relating to mental illness and mental deficiency)에서였다. 이후 1957년 정신보건법(mental health act, 1959)의 제정으로 공식적인 지역보호정책이 시작되었다.
1.1.2. 도약 및 발전기
1950년대 이후 영국은 지역사회보호의 확대와 관련하여 수용시설의 쇠퇴기를 맞이한다. 1953년에 정신병 치료가 환자를 격리하지 않고도 약물로서 외래진료를 통하여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오면서 영국에서도 이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후 1960년대 시설의 실패를 입증하는 다수의 학술적인 조사연구가 이루어졌고, 이 연구보고서들은 시설에 대해 검증하는 사회적 비판의 이정표가 되었다. 이 때문에 많은 노인이 퇴소하게 되고, 다수의 노인들은 소규모 주거보호(residential care)에 배치되었으며, 정신병과 정신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위한 병상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때의 지역사회보호의 개념은 시설보호에서 지역사회로의 포괄적인 의미를 갖고 있었다. 1965년에 구성된 시봄위원회(seebohm committee)는 시봄보고서(seebohm report)를 1968년에 제출하였다. 이는 지방행정의 대인사회서비스 조직과 책임을 검토하고 지역사회에 기초하여 가족 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사회서비스 부서의 창설을 제안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서비스국(social service separtment : ssd)을 창설함으로써 대인사회서비스의 효율적인 조정에 기여하였으며 지역사회를 사회서비스의 수혜자일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제공자로 인식하고 지역복지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1.1.3. 정착기
1980년대에 들어서 영국은 지역사회보호의 개념에 대해 그리피스보고서에서 지방당국의 역할보다는 가족 등의 비공식부문, 민간부문, 자원부문의 역할을 더 강조하면서 보다 다양한 장(setting)에서의 광범위한 서비스의 발전을 추구하였다. 또한 지역사회보호 발전과 더불어 가족주의에 기반을 두었던 것을 복지국가의 확대시기에는 공공부문의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하면서 1980년을 전후한 신보수주의 이념의 득세와 더불어 비로소 가족주의가 재강조되고 있다.
한편, 영국에서의 전문사회사업은 자선조직협회의 자원봉사자들에 의한 우애방문활동과 이후 국가 사회사업 전문인력의 기초가 된 유급인력(Paid worker)에 의한 의료사회사업 부원(almoner)과 보호감찰관(Probation) 활동에서 기원한다. 그리고 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영향 받은 정신과적 사회사업이 민간 차원에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988년 다원주의의 전제 속에서 대인복지서비스의 혼합경제를 권고한 그리피스 보고서가 사회사업가의 역할을 직접적 제공자가 아니라 가능케 하는 자(enabler)로 보면서 사회사업의 위기를 맞기도 한다.
1.2.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성남시, 「성남시 청년배당 실행 방안 연구」, 성남시, 2015.
성남시, 「성남시 청년배당 효과분석」, 성남시, 2019.
권정미, 「청년복지정책 결정과정 연구」, 대전대학교, 2017.
손애성, 「성남시 청년배당정책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아세아연구, 2017.
Kim, I. S. (2004).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3-53.
김인숙. (2005).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 정치사회적 관점에서. 비판사회정책, (20), 119-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