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 건강도시 만들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건강도시(Healthy City)
1.1. 건강도시의 정의
1.2. 건강도시의 요소
1.3. 건강도시 프로젝트
1.4. 국내 건강도시 프로젝트 실행내용
1.4.1. 강원도 원주 (웰빙 걷기 프로젝트)
1.4.2. 전라북도 무주 (건강도시 기본계획)
1.4.3. 충청북도 제천시 (한방 국제 건강도시)
1.5. 해외 건강도시 프로젝트 실행내용
1.5.1. 일본의 건강도시 정책
1.5.2. 스코틀랜드 "Glasglow" (Fit for Life 건강 프로젝트)
1.6. 결어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건강도시(Healthy City)
1.1. 건강도시의 정의
건강도시는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여건을 창의적이고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아가는 가운데, 개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지역사회의 참여 주체들이 상호협력하며 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나아가는 도시를 의미한다. 즉, 건강도시는 단순히 높은 수준의 건강을 달성한 도시가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을 갖고 그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도시를 가리킨다. 따라서 현재 건강 수준과 상관없이 어떤 도시라도 건강도시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함께 도시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건강도시의 요소
건강도시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수준의 깨끗하고 안전한 물리적 환경(주거의 질 포함)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주거환경, 대기환경, 수질환경 등 물리적인 환경이 청결하고 안전해야 한다. 실내외 오염물질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보행환경과 교통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둘째, 현재 안정하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생태계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자연환경이 건강하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속가능한 생태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도시 내 녹지공간과 수변공간 등이 충분히 확보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셋째, 강력하고 상호 지원적이며 비착취적 지역사회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이웃 간 유대감이 강하고 서로를 배려하며 돕는 지역사회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소속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넷째, 공중의 삶과 건강 및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대한 높은 수준의 공중의 참여와 통제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시민들이 도시정책 결정 과정에 적극 참여하고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건강에 관련된 정보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섯째, 모든 도시민을 위한 기본적 욕구 만족(식품, 물, 쉼터, 수입, 안전, 직업 등)이다. 건강도시에서는 모든 계층의 시민들이 기본적인 생활 및 의료서비스를 적절히 누릴 수 있어야 한다. 소득, 주거, 영양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여섯째, 광범하고 다양한 경험과 자원에 접근 가능하도록 광범하고 다양한 접촉·상호작용·의사소통을 위한 기회 제공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시민들이 다양한 문화, 교육, 여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시민 간 소통과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다양하고 활기 있는 혁신적 도시 경제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지속가능하고 다양한 산업과 일자리가 있어야 한다.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고 시민들의 경제적 여건이 안정되어야 한다.
여덟째, 도시 거주민의 문화적·생물학적·역사적 유산 장려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지역의 고유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이 보존·계승되어야 한다. 시민들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자부심과 애착심이 형성되어야 한다.
아홉째, 상기한 특징들과 양립가능하며 이들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건강도시에서는 개발과 보존이 조화롭게 이루어져 건강과 환경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열째, 모든 사람들에게 접근 가능한 최적 수준의 적절한 공중보건과 질병관리 서비스이다. 건강도시에서는 전 계층을 대상으로 보건의료 서비스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질병 예방과 건강관리를 위한 ...
참고 자료
김은정 (2016). 도시재생과 연계한 건강도시 조성의 가능성. 도시행정학보, 29(3), 1-18
이희원 (2007), “시애틀 도심가로 구성체계 및 계획특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8(5), 1201-1210.
서울시복지재단 2014-43, 서울시 고령친화도시, 제2기 (2016~20년) 실행계획 추진을 위한 해외사례 연구
김찬동(2016), 해외의 건강도시 사례
김진희 외 (2011), 새로운 건강정책 패러다임으로서의 건강도시 접근법, 대한의사협회지
이상철 외 (2012), 고령친화도시 기반조성 연구: 실행계획 및 시민참여형 정책개발체계 개발, 서울시복지재단
지역사회의학의 현실과 지향, 강명근, 보문각, 2006
Mitsuyuki Chiba(일본 이치가와 시장), 행정주도형 건강도시 이치가와 시의 경험과 건강도시개발계획, 건강도시 국제심포지엄, 2008
남은우, 건강도시사업의 추진과 강원지역의 과제,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건강도시연구센터, 2008
건강도시 원주, http://healthycity.won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