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00년전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의 역사
2.1. 1917-1948: 밸푸어 선언과 시온주의의 대두
2.2. 1967-1982: 제3차 중동전쟁과 팔레스타인의 고립
2.3. 1987-2014: 인티파다와 오슬로협정
3. 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
3.1. 정착민 식민주의로 본 역사
3.2. 시온주의와 열강의 지원
4. 팔레스타인의 민족적 목표와 해결 방안
5. 평화로운 해결책에 대한 모색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늘 분쟁이 끊이지 않는 곳이 있다. 팔레스타인-이스라엘이다. 두 나라의 분쟁이 국제 뉴스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는 광경은 너무나 익숙하다. 최근에는 이란대통령 취임식을 축하하러 이란 테헤란에 온 하마스 지도자가 암살되는 사건도 발생했다. 심지어 암살된 그 하마스의 지도자는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인질협상을 이끌고 있는 온건파 인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팔레스타인은 어쩌다 중동의 화약고가 되었을까? 왜 이 전쟁은 한 세기 넘도록 끝나지 않을까? 뉴스 1면을 장식하는 팔레스타인 VS 이스라엘의 무력분쟁은 언제 끝날 것인가? 이 지역의 갈등과 폭력이 계속되는지 근본적인 이유, 역사, 그 뿌리에 대해 몹시 궁금했다.""
2.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의 역사
2.1. 1917-1948: 밸푸어 선언과 시온주의의 대두
제1차 세계대전 이후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오스만 제국의 붕괴와 함께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통치하에 들어가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밸푸어 선언으로 대표되는 시온주의 운동의 부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영국은 1917년 11월 2일 밸푸어 선언을 발표하여 팔레스타인에 유대 민족 국가 수립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다. 이는 영국이 유대인들의 시온주의 운동을 옹호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시온주의는 전통적인 유대교 신념에 기반하여, 유대인들이 오랫동안 거주했던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 민족 국가를 수립하고자 하는 운동이었다.
영국의 밸푸어 선언으로 인해 팔레스타인에 거주하던 아랍 팔레스타인인들은 큰 위협을 느끼게 되었다. 그들은 영국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반대했고, 아랍 팔레스타인의 독립을 요구하였다. 하지만 영국은 팔레스타인의 아랍인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1920년대부터 팔레스타인에서는 유대인들과 아랍 팔레스타인인들 사이의 충돌이 격화되었다. 아랍 팔레스타인인들은 유대인 이민을 저지하고 자신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봉기와 폭력 시위 등을 전개했다. 반면 유대인들은 계속해서 팔레스타인 지역에 정착을 확대해 나갔다.
영국은 이러한 갈등을 진압하기 위해 무력을 동원했지만,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930년대에는 팔레스타인 봉기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영국은 유대인 이민을 제한하는 정책을 펼쳤지만, 시온주의자들의 반발을 사게 되었다.
결국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은 팔레스타인 문제에서 철수하게 되었고,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는 팔레스타인을 분할하여 유대인 국가와 아랍 국가를 수립하자고 결의했다. 이로써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의 단초가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1917년부터 1948년 사이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영국의 밸푸어 선언으로 촉발된 유대인 국가 수립 기도와 아랍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이 충돌하면서 분쟁의 기반이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2.2. 1967-1982: 제3차 중동전쟁과 팔레스타인의 고립
1967-1982년 기간은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시기에 발발한 제3차 중동전쟁은 팔레스타인의 고립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유대인이 자신들의 옛 땅을 찾는다는 명목으로 팔레스타인에 이주한 것을 시작으로, 팔레스타인들을 몰아내고, 그들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단계까지 이를 수 있었던 것은 중동 안에서 이권을 취하려 했던 영국과 미국의 지지와 이리저리 눈치 보기만 바빴던 인근 아랍국가들의 책임을 넘어 국가로써 자신들의 힘을 발휘하지 못한 팔레스타인인들 본인들의 잘못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1967년 6월 5일부터 10일까지 벌어진 제3차 중동전쟁에서 이스라엘은 승리했고, 이 전쟁의 결과 팔레스타인은 더욱 ...
참고 자료
라시드 할리디, 팔레스타인 100년 전쟁, 열린책들, 2021
박구병, 신성곤, 원지연, 윤혜영, 이광수, 이한규, 이혜령, 이희수, 조흥국, 2016, <세계의 역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라시드 할리디, 「팔레스타인 100년 전쟁」(열린책들,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