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한반도는 지구상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이다. 이러한 분단의 현실을 바탕으로 만든 탈북자들의 슬픈 사연을 영화화한 것이 "크로싱"이다. 북한을 소재로 한 쉬리, 공동경비구역 JSA, 태극기 휘날리며 라는 영화는 다 봤었지만, 2008년 6월에 개봉된 이 영화를 사람들은 여태껏 알지도 못했다. 교수님이 내주신 과제 덕에 그동안 우리의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우리가 잊고 있었던 북한의 현재 모습, 우리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북한 사람들의 가슴 아픈 현실을 볼 수 있었다. 이 영화는 우리로 하여금 많은 것을 느끼고 반성하며 우리가 잊고 있었던 지난 과거와 현재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게끔 한다.
2. 현실과 영화 비교
2.1. 영화 「카트」의 사회적 상황
영화 「카트」는 2014년에 개봉한 영화로, 대한민국의 대표 체인 마트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현실에 존재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열악한 근로환경과 부당한 해고 사례 등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영화 속 주인공 선희는 마트에서 정규직 전환을 앞두고 해고 통보를 받게 되는데, 그와 함께 일하던 많은 여성 노동자들도 일자리를 잃게 된다. 이들은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놓여있어 마트에서 일하지 못하게 되면 생존의 위협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이에 곤경에 처한 여성 노동자들은 노동자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힘을 합쳐 마트를 점거하게 된다.
이처럼 영화 「카트」는 현실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대형 마트 환경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겪는 고용불안정과 열악한 근로조건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사회적 문제이다. 이 영화는 관객들에게 이러한 현실을 환기시키고, 여성 노동자의 권리 향상을 위한 사회적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2. 여성 노동자의 현실
영화 「카트」에서 보여주듯이 여성 노동자들은 실제로 매우 열악한 현실에 놓여있다. 마트에서 일하는 여성 노동자들의 대부분은 정규직 전환이 되지 않고 임시직 혹은 비정규직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언제든 해고될 위험에 놓여있으며 생계를 위해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 특히 결혼과 출산으로 인한 경력 단절로 인해 여성들은 취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마트와 같은 일자리가 여성들에게 거의 유일한 선택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 노동자들은 단순 노동직에 머물러 있으며 전문 직종으로 진출하기는 여전히 힘든 실정이다. 더구나 사회적 약자인 여성 노동자들은 부당한 대우에도 목소리를 내기 어려워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힘든 처지에 놓여있다. 결국 영화 「카트」는 현실 속 여성 노동자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