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넷세대의 정의와 특징
1.1. 넷세대의 정의
넷세대는 "net generation"이라는 뜻으로, 1977년에서 1997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일컫는다. 이들은 성장환경에서 PC,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기기를 자주 접하며 디지털 기기를 다루는 데 익숙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넷세대는 태어나고 자랄 때부터 비교적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을 쉽게 접할 수 있었던 세대라고 볼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출생자의 경우에는 어렸을 때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를 접하면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익숙해졌고, 이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기가 자연스럽게 생활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1.2. 넷세대의 특징
1.2.1. 디지털 세대
넷세대는 디지털 문명의 활용자들로, 기성세대가 아날로그적 삶의 방식을 고수하고 있었다면 넷세대는 인터넷을 통한 가상공간을 생활 무대로 생활하는 디지털 정보 사회의 선도 계층이다. 즉,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학교 공부에 컴퓨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통한 오락, 게임, 집단, 커뮤니티 등 새로운 사이버 공간을 통해 생활하고 즐기는 것이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디지털 매치를 사용하는데 온라인상에서 사람을 만나는 것을 즐긴다. 오락, 게임, 학습, 의사소통, 쇼핑, 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은 넷세대에게 항상 접하고 생활하는 일상이며 이를 통해 친교를 진행하기 때문에, 디지털 기술은 이들에게 자연스러운 문화가 되었다. 넷세대의 부모 세대는 책을 읽고 TV를 보며 여가를 보냈지만, 넷세대는 디지털 기기를 통해 여가를 보내고 정보를 접하면서 부모 세대를 공감하지 못하고 기성세대와는 비교도 안 될 만큼 역동적이고 지식과 정보량이 높은 세대라고 볼 수 있다.
1.2.2. 소비문화의 주축
넷세대는 소비문화의 주축이 되고 있다. 2010년부터 스마트폰, 태블릿 사용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기기를 누구나 쉽게 접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넷세대 중 1977년생부터 1989년생은 주로 PC를 사용했고, 1990년생은 스마트폰을 사용했다. 넷세대는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여 소비 형태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넷세대의 소비 행태에 맞추어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하여 시장을 개척했다.
넷세대의 소비는 단순히 물건을 사는 것에 그치지 않고 게임, 영화, 음악, 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었다. 스마트폰의 발달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높아져 저렴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넷세대의 소비 패턴에 맞춰 시장의 흐름을 따르게 되었다. 즉, 넷세대는 소비문화를 형성하고 주도하는 핵심 세대라고 할 수 있다.
1.2.3. 높은 지적 수준
넷세대는 최초로 부모를 가르치는 세대라고 볼 수 있다. 과거 부모는 자식에게 일방적인 가르침과 훈계를 했지만, 넷세대는 부모 세대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원활한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부모에게 관련 지식이나 업무에 관해 알려준다. 즉, 디지털 문화와 함께 자랐기 때문에 이러한 문화에 능통했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부모 세대로 디지털 문화를 사용해야 했기에 이러한 문화에 대한 교육이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정보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습득할 수 있는 세대이기 때문에 지적 수준이 높고 이미 오랜 기간 정보를 접하면서 개인별 지적 수준이 높은 특징이 있다.
1.2.4. 개인적 성격 성향
넷세대는 개인적인 성격특성을 가지고 있다. 모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에 상대할 대상이 없고, 형제가 없거나 부모와 세대 차이로 인해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