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미생물학 문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미생물학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생물에 의한 감염과 숙주의 방어
1.1.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
1.2. 감염 유형
1.2.1. 증상발현 범위에 따른 분류
1.2.2. 시기에 따른 분류
1.2.3. 의료관련감염
1.3. 감염 고리
1.3.1. 감염원
1.3.2. 저장소
1.3.3. 탈출구
1.3.4. 전파방법
1.3.5. 침입구
1.3.6. 감수성이 있는 숙주
1.4. 감염에 대한 신체 방어
1.4.1. 비특이적 방어
1.4.2. 특이적 방어
1.5. 감염에 대한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그람양성균
2.1. 특성
2.2. 질병 유발

3. 그람음성균
3.1. 특성
3.2. 질병 유발

4. 바이러스
4.1. 특성
4.2. 질병 유발

5. 특수 미생물
5.1. 곰팡이
5.2. 기생충

6. 주요 감염성 질환
6.1. 파상풍
6.2. 디프테리아
6.3. 결핵
6.4. 매독
6.5. 임질
6.6. 콜레라
6.7. 수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생물에 의한 감염과 숙주의 방어
1.1.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유형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으로 다양하다"" 세균은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미생물로, 공기, 물, 음식, 신체조직 및 체액을 통해 전파된다"" 정상균무리(normal flora)는 피부, 비강, 구인두, 구강, 장관, 하부 요도, 질 등 신체 부위에 서식하며, 병원성은 없지만 다른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1.2. 감염 유형
1.2.1. 증상발현 범위에 따른 분류

감염은 미생물이 민감한 숙주에 침범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감염의 범위에 따라 크게 국소감염과 전신감염으로 구분된다. 국소감염은 미생물이 있는 특정 신체부위에만 감염이 국한되는 경우를 말하며, 전신감염은 미생물이 퍼져 다른 부위까지 손상되는 것을 의미한다. 혈액배양에서 미생물이 확인되면 균혈증(bacteremia)으로 진단되며, 균혈증이 전신으로 퍼져 패혈증(septicemia)으로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감염의 범위에 따른 분류는 국소감염과 전신감염으로 구분되며, 국소감염에서 전신감염으로의 진행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1.2.2. 시기에 따른 분류

시기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감염은 급성감염과 만성감염으로 구분된다""

급성감염은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여 증상이 빨리 나타나는 경우이다""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서 볼 수 있는데, 흔한 예로는 인플루엔자, 폐렴, 위장관염 등이 있다""

반면 만성감염은 천천히 발생하여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주로 결핵, 매독, 간염 등의 감염성 질환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만성감염은 급성기를 거치지 않고 서서히 진행되어 결국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감염 시기에 따른 분류는 감염의 특성과 증상 양상, 진행 속도 등을 구분하여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2.3. 의료관련감염

의료관련감염은 입원 당시에는 없었거나 잠복하고 있지 않았던 감염이 입원기간이나 퇴원 후에 발생한 것을 말한다"". 환자뿐 아니라 병원에서 발생하는 직원들의 감염도 포함된다"". 노령인구 증가, 만성질환자의 증가, 항암제 및 면역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면역 저하 환자의 증가, 항생제 사용의 증가를 비롯한 인공호흡기, 중심정맥관 및 유치 도뇨관 등을 이용한 각종 침습적 의료처치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흔한 원인균으로는 대장균, 황색포도알균,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엔테로박터 등이 있으며, 항균제 사용으로 인한 내성세균에 의한 감염이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의료관련 감염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요로계 감염, 수술부위 감염, 혈류 감염, 폐렴 등이 있다"".


1.3. 감염 고리
1.3.1. 감염원

감염원(infectious agent)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의미한다. 감염원에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 다양한 종류의 병원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감염원은 숙주에 침범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감염원의 특성에 따라 감염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데, 감염원의 수가 많을수록, 독성이 강할수록, 숙주 체내에 침투하는 능력이 강할수록, 숙주와의 접촉 빈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감수성이 높을수록 감염이 잘 일어나게 된다. 또한 감염원의 적응력이 높을수록 숙주에 대한 감염력도 증가하게 된다.

감염원은 저장소에 서식하면서 숙주에 감염을 일으키게 되는데, 저장소에는 사람, 동물, 토양, 물, 음식, 대소변, 더러운 표면이나 기구 등이 포함된다. 특히 인간이 감염원의 저장소가 되는 경우, 증상이 있는 환자와 증상은 없지만 몸속에 병원균을 가지고 있는 보균자(carrier)로 구분된다. 이러한 감염원은 탈출구를 통해 숙주 밖으로 배출되어 전파되게 된다.

다양한 종류의 감염원은 숙주에 침입하기 위한 다양한 경로를 가지고 있다.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생식기계, 혈액, 피부 등의 경로를 통해 감염원이 숙주 내부로 침입하게 되며, 이러한 감염원의 침입구는 곧 숙주의 감수성이 높은 부위가 된다.

이처럼 감염의 과정에는 감염원, 저장소, 탈출구, 전파방법, 침입구, 감수성이 있는 숙주 등 6가지 요소가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이 6가지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차단되면 감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감염경로를 차단함으로써 감염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것이다.


1.3.2. 저장소

저장소(reservoir)란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과 증식을 위한 자연 서식지를 의미한다. 사람, 동물, 토양, 물, 음식, 대소변, 더러운 표면이나 기구 등이 병원성 미생물의 저장소가 될 수 있다. 사람이 저장소인 경우 증상이 있는 환자와 증상 없지만 몸속에 병원균을 가지고 있는 보균자(carrier)로 나뉜다.

환자는 자신에게 감염된 병원균을 타인에게 전파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저장소이다. 보균자의 경우 자신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어 발견되기가 어려우나 타인에게 병원균을 전파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저장소이다. 동물 역시 병원균의 중요한 저장소로, 특히 야생동물이나 가축들이 대표적이다. 토양, 물, 음식 등의 무생물 환경 또한 병원균이 서식하고 증식할 수 있는 저장소가 된다.

병원성 미생물이 저장소에 존재하다가 숙주에게 전파되어 감염을 일으키려면 반드시 탈출구라는 경로가 필요하다. 따라서 저장소를 차단하는 것은 감염 예방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이다.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와 직원, 의료기구 등을 철저히 관리하여 병원균의 저장소화를 방지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동물관리, 환경위생 등을 통해 병원균의 저장소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1.3.3. 탈출구

병원성 미생물이 저장소에서 나가 다른 사람이나 숙주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탈출구가 필요하다. 탈출구는 병원성 미생물이 저장소로부터 빠져나가는 경로이다.

병원성 미생물은 주로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생식기계, 혈액, 피부 등의 경로를 통해 탈출구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호흡기계의 경우 재채기, 기침, 호흡, 말하기 등을 통해 미생물이 탈출하고, 소화기계의 경우 입을 통한 침, 구토물이나 항문을 통한 대변 등이 탈출구로 이용된다. 비뇨기계에서는 요도구와 요로전환부가, 생식기계에서는 질과 요도구가 탈출구가 되며, 혈액은 개방상처, 주사바늘 천자부위, 점막표면, 피부 손상부위 등을 통해 미생물이 빠져나간다. 조직의 경우 절개나 상처의 배액부위가 탈출구가 된다.

이처럼 병원성 미생물은 숙주의 다양한 부위를 통해 저장소에서 탈출하여 다른 숙주로 전파될 수 있다. 따라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탈출구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1.3.4. 전파방법

전파방법(mode of transmission)은 병원성 미생물이 저장소에서 나간 후 다른 사람이나 숙주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전파수단이다. 전파방법에는 직접접촉, 간접접촉, 공기전파, 비말전파 등이 있다.

직접접촉은 접촉, 입맞춤, 성접촉 등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달되는 방식이다. 간접접촉은 옷, 조리기구, 의료기구나 드레싱, 음식, 물, 혈액 등의 무생물 매개체와 파리, 모기, 이 등의 생물 매개체를 통해 전파되는 방식이다.

공기전...


참고 자료

https://www.timeshighereducation.com/sites/default/files/styles/article785xauto/public/qu-infectious-diseases-shutterstock_286201517_0.jpg?itok=8VBi6_a-
https://blog.kakaocdn.net/dn/bO4akQ/btqDwENuzt3/mCfuCJGgzoSyKq30KfGUO1/img.jpg
https://www.rehva.eu/fileadmin/content/REHVA_Journal/Dynamic_chapters/46-54_RJ2003_WEB_files/image018.jpg
https://i.pinimg.com/736x/7d/cf/bc/7dcfbceacea8c4dadb97e79455d28552.jpg
https://university.steris.com/course/breaking-the-chain-of-infection/infection-in-spd.jpg
https://injurylawyer.com/wp-content/uploads/2018/04/Hospital_Infections_and_Patient_Safety-1.jpg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