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내시경의 정의와 종류
1.1. 내시경의 정의
내시경(Endoscopy)은 수술을 통해 우리 몸을 절개하지 않고도 직접 눈으로 조직의 병변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직검사, 세포학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도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병변을 제거할 수도 있어 검사적 목적과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즉, 내시경은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1.2. 내시경의 종류
내시경의 종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의 종류로는 기관지경·식도경·위경·십이지장경·직장경·방광경·복강경 등이 있다"" 이외에도 특수한 내시경으로는 흉강경·종격경·심장경 등이 있다"" 내시경이라고 하면 흔히 입이나 항문으로 내시경을 집어넣는 경우만을 생각하지만 관절, 혈관 등으로 삽입되는 내시경도 있다"" 개복수술보다 내시경 수술은 전신마취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절개 부위가 작아 흉터도 작으며, 회복이 빨라 수술적 부담이 줄어들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직 내시경 치료가 모든 질환에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 후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
2. 위내시경 검사
2.1. 검사 목적
위내시경 검사의 목적은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상부 위장관(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면서 염증이나 종양 등을 진단"하는 것이다. 또한 검사의 목적뿐만 아니라 이상이 있는 부위의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병변의 절제도 가능하고 출혈이 있을 시 지혈도 가능하여 치료적 목적으로도 시행된다.
2.2. 적응증
위내시경 검사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도 및 위내출혈이 의심되는 질병(예: 간경화증)의 경우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위장관 출혈은 응급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더불어 지혈이나 출혈 부위의 절제와 같은 치료적 처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위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다.
둘째, 상부위장관의 궤양과 암을 감별하기 위해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위궤양과 위암은 증상이 유사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내시경 검사가 필수적이다.
셋째, 식도 내 손상, 급/만성 위염 진단을 위해 위내시경 검사를 수행한다. 식도와 위점막의 병변을 직접 관찰하고 조직 검사를 통해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넷째, 소화기계 증상 중 연하곤란(dysphasia), 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 통증 등이 있을 때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직접적인 내시경 관찰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는 상부 위장관의 출혈, 궤양, 암, 식도 및 위장 질환 등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주요 검사 방법이다.대장내시경 검사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40~50대에 이유 없는 복통, 불쾌한 배변, 혈변, 점액이 많이 섞인 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이러한 증상은 대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대장 질환을 시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암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우측 대장암은 설사, 복통, 복부팽만, 빈혈, 덩어리가 만져짐, 피로감, 무력감,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좌측 대장암은 혈변, 대변의 굵기가 가늘어짐, 변비, 복통, 점액변 등의 증상을, 직장암은 변비 혹은 설사, 항문 출혈, 잔변감, 배변 시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셋째, 대장은 소화관의 말단 부위로 신경이 없어 초기 증상이 없고 발견되면 이미 진행이 꽤 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증상과 상관없이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진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는 다양한 대장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필수적인 검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3. 검사 방법
위내시경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검사 소요시간은 약 10~15분 정도이다. 먼저 시야 확보를 위해 위장 내 기포제거제와 위장 운동 억제제를 투약한다. 기포제거제는 위 내의 기포와 위점막에 달라 붙어 있는 점막을 제거하기 위해 검사 10~20분 전 복용하고, 위장운동억제제(부교감신경차단제)는 타액 및 위액 분비와 위장관 연동 운동 억제를 위해 검사 10~15분 전 근육주사 또는 정맥주사로 투여한다. 다음으로 내시경이 삽입되는 부위의 국소마취를 시행하여 구역반사와 연하반사를 억제하고 인후부 통증을 감소시킨다. 수면 내시경의 경우에는 진정제를 투약한다. 그 후 왼쪽으로 누운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는데, 구강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위장관을 확장시킨 후 병변을 관찰한다.""
2.4. 검사 전 간호
위 내시경 검사 전 간호는 다음과 같다.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8시간 이상 NPO)해야 하며, 검사 전 상부위장관내시경 동의서를 받는다""는 것이다. 수면 내시경의 경우 정맥주사(IV line) 유지와 수면내시경 동의서도 받아야 한다"". 또한 아스피린, 혈액순환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등 출혈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의 중단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고혈압, 간질, 파킨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새벽에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