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호학 한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식의 세계화
1.1. 한식 세계화를 위한 노력
1.1.1. 한식진흥원
1.1.2. 예능 프로그램
1.2. 타국의 음식 세계화를 위한 노력
1.2.1. 태국
1.2.2. 일본
1.3. 한식 세계화를 위한 홍보전략
1.3.1. 한식의 장단점 파악
1.3.2. 한식의 차별화된 이미지 생성
1.3.3. 웰빙 식품으로의 장점 부각
1.3.4. 세계화에 적합한 음식 개발
1.3.5. 한식 관련 이벤트 개최
2. 슬로푸드와 한식
2.1. 한식의 과학
2.2. 한식의 세계화
2.3. 슬로푸드
3. 한국 식문화의 변화
3.1. 전통적인 한국 식문화의 특징
3.2. 달라진 한국 식문화
3.2.1. 자신의 가정에서 소비하는 음식물 분석
3.3. 음식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식의 세계화
1.1. 한식 세계화를 위한 노력
1.1.1. 한식진흥원
우리나라에서는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하여 한식진흥원(KFPI)을 운영하고 있다. 한식진흥원은 한식인프라 고도화, 한식당 경쟁력 강화, 한식 전문인력 양성, 한식의 국내외 확산, 한식 교육기관 지원, 한식산업 브랜드화, 한식진흥법 제정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며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식 진흥원의 목표는 한식의 역사성, 문화성에 중점을 두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여 지구촌 브랜드로 키워나가는 것에 있다. 멕시코와 음식문화 교류전 개최, 필리핀 및 베트남 등에서 한식 강좌 개최, 2020 코리아 고메 위크 개최, 2020 장문화 국제 포럼 개최 등 국가적 차원에서 한국의 식문화를 알리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식을 세계적인 브랜드로 키워나가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2. 예능 프로그램
예능 프로그램은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세계 각지에서 한식당을 운영하여 현지인들이 한식을 접할 수 있게 하는 미디어 프로그램들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tvN의 예능 프로그램인 '현지에서 먹힐까?'와 '윤식당'을 들 수 있다.
'현지에서 먹힐까?'는 한국화 된 세계요리를 본래 그 음식의 출산국가를 찾아가 푸드트럭을 운영하여 현지인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까지는 태국, 중국, 미국의 세 국가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한식의 세계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윤식당'은 tvN의 예능 프로그램으로 '현지에서 먹힐까?'와 달리 불고기 라이스, 불고기 누들, 파전 등 전통 한식 및 퓨전 한식을 파는 한식당을 현지에서 직접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한식의 현지 수용도와 경쟁력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TV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 쉽고, 유튜브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전 세계 사람들에게도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식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타국의 음식 세계화를 위한 노력
1.2.1. 태국
태국은 정권의 교체와 상관없이 일관적으로 음식의 세계화를 추진해왔다. 2001년부터 태국음식세계화본부를 설립하여 2004년부터 태국 음식 세계화 프로젝트를 활성화 시켰다. 그 중 대표적인 음식이 팟타이인데 이는 태국이 '태국다움'을 내세우면서도 외국인들이 좋아할 만한 향과 신맛을 살려 해외진출 주력상품으로 내세웠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태국음식을 전달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태국 문화 전파와 음식에 필요한 양념, 향신료, 원자재 수출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처럼 태국은 전통성과 현지화의 균형을 잡아 자국 음식의 세계화에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1.2.2. 일본
일본의 경우 1960년대부터 일본 음식 세계화를 추진하였는데, 특히 요리의 고급화 및 차별화에 집중했다. 병풍, 서예작품 등과 기모노, 마네키네코 등과 목재를 기본으로 한 인테리어, 목기와 도자기, 플레이팅 등 시각적 이미지가 큰 역할을 했다. 음식의 현지화 역시 시행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예시가 캘리포니아 롤이다. 외국인에게 낯선 날생선에 익숙함을 느낄 아보카도, 다양한 채소를 사용하고 김은 밥의 안쪽으로 넣어 현지인의 취향에 맞게 일본요리를 선보였으며 이러한 전략이 자국 음식 세계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은 요리의 고급화와 차별화에 주력하여 세계화를 달성하였다. 시각적 이미지와 전통문화를 접목한 접시, 그릇, 식기 등을 활용하여 일본 요리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형성하였다. 또한 현지인의 입맛에 맞추어 일본 전통 요리를 재해석하고 현지화하는 노력도 병행하였다. 이처럼 일본은 자국 음식의 문화적 가치와 전통을 보존하면서도 세계화를 위해...
참고 자료
강재희, 고은희(2014), “한국식문화홍보행사 참가자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태도에 관한 연구 -하야부사역 축제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9(4);314-325.
이연정(2010),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웰빙가치 인식과 체험이 한식의 세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5);487-498.
정용성(2009),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오색오감.” 마루(94);36-41.
최수근, 장진아, 김기쁨(2008), “한식의 세계화 방안 연구 현황,” 한국외식산업학회, 4(2);75-88.
경제포커스 「한식의 세계화···“체계적인 연구와 지원”」, 『경제포커스』, 2020. 03. 02,
http://www.economyf.com/m/view.asp?idx=5558(2021. 04. 30).
방영덕, 「음식 세계화 성공비결 현지화가 ‘딱’」, 『세계일보』, 2009. 10. 29,
https://www.segye.com/newsView/20091029000681(2021. 04. 29).
Agenda Research Group, “한식과 한국 음식문화의 세계화,” 아젠다넷(2020. 05. 2).
KFPI 한식진흥원, “한식진흥원,”
https://kfpi.hansik.or.kr/kfpi/kr/html/htmlContents.do?menuNum=01_04_02, (2021. 04. 29).
곽노필 기자. 한국, 50년 동안 곡물 절반 줄고 고기 6배 늘었다. 한겨레. 2014.10.21.
최원형 기자. 현대 한국인의 의식주, 어떻게 변해왔나. 한겨레. 2017.12.7.
김선업 외. 한국사회 음식 문화의 현대적 전개 : 식사 양식과 음식정체성을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최준식. 한국 음식은 '밥'으로 통한다 (우리 음식문화 이야기). 한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