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0.15
10,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디자인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디자인 씽킹의 사례분석
1.1. 서론
1.2. 본론 - 국내 사례 1
1.3. 본론 - 국내 사례 2
1.4. 본론 - 해외 사례 3
1.5. 본론 - 해외 사례 4
1.6. 결론

2. 굿 디자인(Good Design)
2.1. 들어가며
2.2. 굿 디자인이란?
2.3. 굿 디자인 사례

3. 디자인방법론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리서치 기법 개념 및 사례분석
3.1. 서론
3.2. 본론
3.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디자인 씽킹의 사례분석
1.1. 서론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생활환경 변화와 경제침체를 일으키고 있다. 각국은 피할 수 없는 코로나 바이러스 사회에서 조금 더 나은 생활을 보존하고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4단계로 분류하면 Reaction(대응), Adaptation(적응), Recovery(복구), Resilience(복원력)으로 나눌 수 있다. 이 4가지 단계를 참고하여 코로나 19와 관련된 디자인 씽킹의 사례(4가지 이상)를 조사하고, 각각의 사례가 어떠한 단계에 해당하는지 분류하고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본론 - 국내 사례 1

첫 번째 사례는 대중교통 또는 도보 이동 시 경로가 코로나 확진자의 동선과 겹치면 자동으로 알람이 울리는 앱 'My-T(마이티)'이다. 이 앱은 서울시에서 출시한 맞춤형 앱으로서, 코로나19에도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감염병 노출 알림 정보, 대중교통 혼잡도 기반 길 찾기, 통행 분석을 통한 나만의 이동 경로 제공,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예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감염병 노출 알림 정보는 앱에서 수집되는 개인 위치정보와 대중교통 운행정보, 교통카드 승하차 정보, 교통수단별 와이파이 정보 등을 결합·분석해 개인 통행·이동 궤적과 코로나19 확진자 이동 동선을 비교해 확진자 동선과 겹칠 경우 이를 알리는 서비스다.

이 사례는 코로나 대응 4단계 중 첫 번째인 'Reaction(대응)'에 해당한다. 코로나 시기에 접어든 20년도 쯤에는 단순히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지도상에서 확인하는 정도의 어플만 출시가 됐었다. 특히, 앱의 확진자의 경로는 보통 장소 중심으로만 표시가 되었고, 내가 다니는 경로의 대중교통을 이용했는지 등의 내용은 쉽게 알기 힘들었고, 이를 일일이 확인해 볼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또한,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 수단 운전자가 확진됐을 경우에도 해당 차량 탑승객은 밀접 접촉자로 분류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안이 컸다.

해당 앱은 실제 21년 1월에 출시 되었고, 장기간 지속된 코로나 사회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 앱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날카로운 추적 시스템을 도입하여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마이티 앱에서는 나만의 이동경로 제공 서비스를 통해 시내버스, 지하철, 택시, 따릉이 등 이용자의 대중교통 이용 내역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할 방침이며, 민간 기술과 마이데이터 정보를 결합해 대중교통 이용 실적을 반영한 신용등급 향상, 데이터 판매 수익 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황보연 서울시 도시교통 실장은 뉴노멀 시대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서울시민이 코로나 감염병 걱정 없이 안심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교통허브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1.3. 본론 - 국내 사례 2

두 번째는 4차 산업 시대의 기술을 활용한 사례 중 하나인 'KT기가지니 AI스피커 심심이'이다. 인공지능 챗봇 심심이 서비스는 KT기가지니에 런칭됐고, "기가지니, 심심이랑 대화할래" 라고 말하면 심심이 대화 모드가 활성화되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간단한 이용 방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문장의 유사성을 이용해 나쁜 말 확률을 계산하는 통계적 추정(STAPX), 크라우드 소싱으로 전수 검사를 진행하는 전수 검사 프로젝트(Mission A), Mission A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러닝을 이용해 자동화를 시키는 과정 등을 적용하며 4차 산업의 기술을 여럿 활용하며 코로나를 대응한 좋은 예시이다. 코로나19가 계속되는 사회에서 우울감을 느낀 사람들이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응하여 의사소통 부재의 새로운 탈출구로써 이용할 수 있는 해당 프로젝트는 코로나의 'Adaptation(적응)' 단계에 포함된다. 우울증은 보통 소통의 부재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일명 '집콕' 중인 사람들에게 친구처럼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심리적 위안을 제공하고, 바깥 활동의 제약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유소아,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해소 창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 심심이의 유저 가운데 우울증, ...


참고 자료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haechiseoul/222206998541
내 손안에 서울 https://mediahub.seoul.go.kr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969423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120seoulcall/222205905691
한국면세뉴스 http://www.kdfnews.com/news
비욘드포스트 http://cnews.beyondpost.co.kr
공감언론 뉴시스 https://www.newsis.com
인공지능 전문미디어 AI타임스 http://www.aitimes.com/news
디자인 가이드 북 https://static1.squarespace.com/static/Ideas_Guidebook.pdf
기사 https://www.brookings.edu/blog
기사 https://baltimorefishbowl.com/stories/design-for-distancing-guidebook
프레시안 기사 https://www.pressian.com
ICCT https://theicct.org/blog
폭스바겐 https://www.volkswagen.co.uk/electric/electric-cars
김동하 - 굿 디자인(Good Design)의 재해석(2003년)(부제 : 람스(Rams)와 노만(Noman)의 굿 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굿 디자인 선정 사이트 (http://gd.kidp.or.kr)
한국 디자인 진흥원 (http://www.designdb.com)
김다영, 「[디자인방법론]4주차 3차시, 디자인 리서치 기법」, 『KG아이티뱅크 평생교육원』, 2023.
김다영, 「[디자인방법론]5주차 1차시, 사용자 조사」, 『KG아이티뱅크 평생교육원』, 202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