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대리모 제도에 대한 논란
대리모 제도에 대해서는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먼저 찬성 측의 논거를 살펴보면, 대리모 제도를 통해 불임부부의 행복추구권과 출산권(가족구성권)이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출산 시대에 불임부부의 증가로 인해 이들에게 대리모 제도가 하나의 희망이 될 수 있으며,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자녀를 갖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리모의 자발적인 선택과 경제적 이익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반면 반대 측에서는 대리모 제도를 통해 여성의 신체가 상품화되고 착취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특히 경제적 취약계층 여성들이 대리모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권침해의 소지가 크다고 주장한다. 또한 대리모로 태어난 아동의 인권과 정체성 문제, 가족윤리 및 사회적 가치관의 혼란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대리모가 임신 중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게 되어 아이를 포기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의뢰인이 아이를 거부할 경우 아동의 권리가 침해될 수 있다.
결국 대리모 제도에 대한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적 기준 마련, 위험요인 관리 및 보호조치, 그리고 사회적 합의 형성 등 종합적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대리모 제도는 불임부부의 생식권과 행복추구권을 보장할 수 있지만, 여성의 신체 상품화와 아동의 인권 및 정체성 문제 등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리모 제도의 실태와 쟁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관련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대리모 제도에 대한 찬반 논의와 함께 제도 도입의 정책적 고려사항을 도출함으로써, 대리모 문제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이다.
1.3.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대리모의 실태를 조사하여 대리모의 정의와 유형, 대리모 산업의 현황과 규모, 국내외 대리모 관련 법규 및 정책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대리모 제도와 관련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대리모 제도에 대한 찬반 논의를 다룬다. 찬성 논거로는 불임부부의 권리 보장과 대리모의 자발적 선택 및 경제적 이익을 살펴보고, 반대 논거로는 여성의 신체 상품화와 착취, 출생아의 인권 및 정체성 문제, 가족윤리와 사회적 가치관의 혼란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대리모 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분석한다. 법적 기준 마련, 위험요인 관리 및 보호조치, 사회적 합의 형성 등 대리모 제도 도입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들을 다룬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과 더불어 관련 통계자료와 최신 연구동향을 활용하여 대리모 제도에 대한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2. 대리모의 실태
2.1. 대리모의 정의와 유형
대리모는 불임부부의 의뢰에 따라 제3의 여성에게 인공적으로 수정시키거나, 수정란을 이식하여 임신 및 출산하게 하는 방법으로, 대리 출산이라고도 한다. 대리로 임신·출산을 하여 주는 제3의 여성을 대리모라고 한다. 대리모에 의한 출산은 여러 가지 윤리적,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이다.
대리모의 유형은 크게 5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부부의 정자와 난자를 사용하여 대리모의 자궁에서 임신, 출산하는 경우(출산대리모), 둘째, 부부의 정자와 대리모의 난자를 사용하여 대리모의 자궁에서 임신, 출산하는 경우(유전적 대리모), 셋째, 부부의 정자와 제3자의 난자를 사용하여 대리모의 자궁에서 임신, 출산하는 경우(제3자 난자제공 출산대리모), 넷째, 제3자의 정자와 부부의 난자를 사용하여 대리모의 자궁에서 임신, 출산하는 경우(제3자 정자제공 출산대리모), 다섯째, 제3자의 정자와 난자를 사용하여 대리모의 자궁에서 임신, 출산하는 경우(제3자 정자 및 난자제공 출산대리모)이다. 이러한 대리모의 분류는 실제 사례에서는 혼합되어 나타날 수 있다.
2.2. 대리모 산업의 현황 및 규모
대리모 산업의 현황 및 규모는 다음과 같다.
불임부부와 정자ㆍ난자 제공자가 브로커를 통해 200~600만원 사이에 거래되고 있으며 아기를 대리 출산하는 대리모 알선에는 4000~5000만원 가량의 비용이 든다. 그러나 불임부부의 난자와 정자를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