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 이론분석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의 개념
1.1. 사회복지의 어의적 의미
1.2. 사회문제의 정의와 특징
1.3. 사회복지의 필요성과 중요성
1.4. 사회복지의 협의적 개념과 광의적 개념
2. 노인복지의 개념
2.1. 노인의 개념
2.2. 노인의 문제점
2.3. 노인의 현황
2.4. 노인복지의 필요성과 중요성
2.5. 노인복지정책 및 제도
3. 노인요양원
3.1. 노인요양원의 설립 관련
3.2. 노인요양원의 역할
3.3. 노인요양원의 현황
3.4. 노인요양원의 필요성과 중요성
3.5. 노인요양원의 문제점과 대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의 개념
1.1. 사회복지의 어의적 의미
사회복지의 어의적 의미는 "사회적(social)"이란 형용사와 "복지(welfare)"라는 명사의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welfare"는 안락하고 만족스러운 생활상태 또는 건강과 번영, 안녕(well-being)의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well"과 "fare"의 복합어로서 '만족스럽게 잘 지내는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에 "social"이란 형용사를 붙이면 '사회적으로 만족스러운 상태'를 뜻하게 된다. 즉, 개인의 만족을 넘어서서 사회 구성원 모두가 만족스럽다는 것이 사회복지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한편 한자 옥편에서 '복지(福祉)'라는 단어의 뜻을 살펴보면 '복(福)'자와 '지(祉)'자 모두가 복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는데, 복지는 복이 둘이나 겹쳐 있을 정도로 굉장히 복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말로 복(福)이란 넓은 의미에서 '잘 산다'는 것인데, 이는 "물질적 풍요"와 아울러 "정신적인 행복"을 함께 일컫는 것으로 사회복지의 어의적 의미를 정리해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의 어휘적 개념은 "취약한 계층들을 위한 공공 혹은 민간의 조직화된 사회 서비스"이며, 사회구성원들 간의 협력적이고 공동의 노력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개인의 안녕 뿐 아니라 사회의 안녕을 의미하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사회문제의 정의와 특징
사회문제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사회문제는 사람에게 그에 대한 해결 욕구를 유발시키는 불만족스러운 상태 또는 조건이다. 문제는 인간의 욕구 충족을 가로막는 때로는, 욕구의 불충족 그 자체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사회복지의 문제는 이러한 욕구와 연관된 것으로 존재하게 된다. Mills의 사회문제 구분에 따르면, 사회문제는 첫째, 크기 및 범위 차원에서 사회의 상당수의 사람이 특별한 결과를 공유하는 문제, 둘째, 고유성 차원에서 연령, 성별, 민족 집단과 같은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문제, 셋째, 영속성의 차원에서 문제의 결과가 수년간 지속적으로 나타난 상태, 넷째, 결과가 특정한 사람과 정치, 경제, 교육, 보건과 같은 주요한 제도와의 연관성으로 구분된다.
개인문제와 공공문제의 차이는 사회문제가 지니고 있는 사회성과 보편성에 있다. 사회성이란 개인의 욕구 충족이 어려운 사건과 상태가 특정 문제에 직면한 개인의 책임보다는 상대적으로 사회적 제도나 구조상의 결함과 실패로 인하여 야기되는 경우를 말한다. 보편성이란 사회문제가 지닌 부정적인 영향력이 특정 개인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전체에 보편적으로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높다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사회문제의 발생에는 개인 문제의 발생이 선행되며, 개인 문제는 욕구의 불충족으로 야기된다고 할 수 있다.
1.3. 사회복지의 필요성과 중요성
사회복지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는 전통사회와 달리 현대산업사회에서 새로운 사회적 위험이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산업재해, 각종 공해, 대량실업, 대형사고, 신종 질병, 이혼의 증가, 노후빈곤 등의 문제들은 산업화 이전의 사회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문제들이다. 이러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탈피하려는 욕구, 즉 사회적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회복지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개인의 힘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사회복지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개인의 문제와 사회의 문제를 공동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우리 사회에는 건강, 경제, 가족, 환경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개인의 기능이나 욕구충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외부의 전문적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사회복지는 이러한 문제들을 겪고 있는 개인이나 가족, 집단 또는 지역사회의 기능과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도움을 주는 동시에 문제의 원인이 되는 사회구조와 환경의 변화에도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의 필요성은 산업화에 따른 사회기능의 공백을 보충하고, 개인의 인권을 보장하며, 가족기능의 약화를 보완하고, 저소득층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의 중요성은 고도의 산업화, 빈부격차의 심화, 핵가족화에 따른 가족갈등, 노령화 등 현대사회의 변화로 인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사회복지를 통해 평등, 소득재분배, 인간의 존엄성 등의 가치를 구현하고 사회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회복지는 노동생산성 향상과 경제안정에도 기여하며, 산업사회의 문제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사회복지가 제공하는 재화와 서비스는 국가가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사회복지정책은 긍정적 외부효...
참고 자료
『마음까지 아우르는 요양원을 위하여』(전영진, 2012)
노인 [the old, old person, aged person] (사회복지학사전, 2009. 8. 15., 이철수)
사회문제 [social problems, 社會問題] (두산백과)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통계청)
노인복지 [Aged man welfare] (학문명백과 : 사회과학, 최천규)
『노인복지 생활시설 수 및 생활현환』(통계청, 2018)
『2019복지가이드북』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정보원)
『한국노인의 생활실태』(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5)
『노인복지학』(장인협·최성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현대사회와 노인복지』(최순남·홍익제, 1989)
『노인정책』(정무장관(제2)실, 1989)
『사회복지 장기발전계획』(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명문화사, 1992)
노인문제 [老人問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복지법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시설기준 및 직원배치기준(제22조제1항 관련)
EBS 다큐시선 <백세시대,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할까요?>
포항 요양원 사건-https://ccnews.lawissue.co.kr/view.php?ud=20191112091740623f4ab64559d_12
운영비로 술, 골프 등 ‘민간 요양원 비리’-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6836.html
보험료 부정수급-http://news.kbs.co.kr/news/view.do?ncd=4302110&ref=A
하동 노인학대-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10610
서울시 노인학대 예방 조례 제정 추진-https://www.ytn.co.kr/_ln/0115_201911011357042439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이해와 실제」, 저자-이외승 외, 출판사-동문사, 2017년)
김희경, and 김형준. "치매노인 장기요양정책의 국가 간 비교연구." 국제사회복지학 4.1 (2014): 6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