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과 사례
1.1. 기술적 모순과 물리적 모순
1.1.1. 거꾸로 접는 우산
거꾸로 접는 우산은 장마철 우산의 캐노피가 크면 비를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지만, 실내나 차 안으로 들어갈 경우 우산을 접을 때 걸리기 쉬워 불편하다는 기술적 모순을 해결한 사례이다. 이를 위해 40발명의 원리 중 13번 "거꾸로 하기" 원리를 적용하여, 우산을 위로 접을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큰 캐노피의 우산임에도 불구하고 실내나 차에 들어갈 경우 좁은 틈에서도 걸리지 않고 편리하게 우산을 접을 수 있게 되었다. 더하여 비에 젖은 바깥면이 안쪽으로 접혀 실내에서도 빗물이 흐르지 않는 장점까지 가지게 되었다.
1.1.2. 먹을 수 있는 컵 '라바짜 쿠키컵'
먹을 수 있는 컵 '라바짜 쿠키컵'이란 커피숍이나 가게, 회사 등에서 일회용 컵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제품이다. 일회용 컵은 편리하지만 환경을 해치는 단점이 있는 반면, 유리컵은 환경오염이 되지 않지만 무겁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른 기술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동질성' 발명 원리를 적용하여 컵을 쿠키로 만들고, 컵 안쪽을 설탕으로 코팅하여 음료에 의해 눅눅해지는 것을 막았다. 이를 통해 음료 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컵을 다 사용한 후에는 먹을 수 있어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고 환경오염까지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겪는 기술적 모순을 창의적으로 해결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낸 사례라 할 수 있다.
1.1.3. 짜 먹는 잼 '디스펜팩'
레스토랑에서 덜어먹는 잼을 이용하면 여러 사람들이 본인이 원하는 만큼 퍼갈 수 있어 편리하지만, 주변이 더러워지고 공기 중에 잼이 노출된다는 기술적 모순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펜팩"이라는 제품이 고안되었다.
"디스펜팩"은 스스로 잼을 밀어내는 기능을 가진 용기이다. 반으로 접을 수 있게 만들고 반반씩 적당한 양의 잼을 담아 밀봉한 후 용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