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근처 상권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대학가 근처 상권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화점의 개념과 발전과정
1.1. 백화점의 개념
1.2. 외국 백화점의 발전 과정
1.2.1. 미국 백화점의 성장과정과 현황
1.2.2. 일본 백화점의 성장과정
1.2.3. 중국 백화점의 발전과 상황

2. 젠트리피케이션 정의와 국내?외 사례
2.1.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의
2.2. 국내 사례: 경리단길
2.3. 국외사례: 실리콘밸리
2.4. 대안

3. 도시계획 - 수원화성 답사 보고서
3.1. 서론
3.1.1. 수원화성에 대한 소개
3.1.2. 수원화성에 대한 SWOT분석
3.2. 수원화성의 현황
3.2.1. 수원화성의 쇠퇴 지역
3.2.2. 수원화성의 활성화 지역
3.3. 결론
3.3.1. 수원화성의 앞으로의 가능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화점의 개념과 발전과정
1.1. 백화점의 개념

백화점은 의류, 가정용 설비용품, 신변잡화류 등의 각종 상품을 부문별로 구성하여 소비자들이 일괄구매를 할 수 있게 경영하는 상품계열이 많고 동시에 매 계열에 상품의 양식, 품종, 규격이 비교적 완비한 여러 전문점의 종합체이다. 백화점은 특히 의류나 가정용품, 생활용품 등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상품계열을 폭넓게 취급하며, 각각의 상품계열은 전문구매자 또는 상품 담당자가 따로 있어 이를 독립적으로 관리한다. 미국마케팅 협회(AMA)의 정의에 따르면 "부인용 기성복과 그 부속품, 신사복 및 남아복, 옷감, 가정용품, 기타 잡화 등을 포함하는 다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며, 판매촉진, 서비스 관리통제 등의 목적에서 부문별로 조직화된 대규모 소매기관"이 백화점이라 하였다. 백화점은 선매품을 중심으로 편의품, 전문품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소비용품을 계열별로 구색을 갖추어 취급, 판매함으로써 최종 소비자로 하여금 일괄구매 할 수 있도록 부문별로 조직화 되어 경영되는 집중적 대규모 소매업이라 할 수 있다.


1.2. 외국 백화점의 발전 과정
1.2.1. 미국 백화점의 성장과정과 현황

미국 백화점의 성장과정과 현황은 다음과 같다.

미국 백화점의 특징으로는 흥정이 없는 정찰만매, 자유로운 구경 및 선택, 다수업종의 통합화 등을 표방한 몽마르쉐 백화점의 경영방침 이외에도 대도시 상권을 겨냥한 체인화, 조직적 교육과 계획적 경영에 의한 소매업의 기업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백화점의 경영방침은 미국 소매업의 기본원리가 되어서 다른 소매업태 발전의 출발점이 되었다.

미국의 백화점은 1920년대까지 완만한 다점포화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대공황(1929)을 맞이하여 영업실적이 저조해진 백화점들이 합병하여 페더레이티드사 (Federated Department Store)를 설립함으로써 백화점의 체인화가 급속하게 진전되게 되었다. 이 체인화는 기존의 할인점과 종합판매점에 대응하기 위하여 나타난 것으로서 매수, 합병을 통해 대규모화를 추진하였다.

1970년대 이후 미국 소매업 중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룬 업태는 전문점(Speciality Store)이었다. 이 전문점은 소비대중이 다양화되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매업태 중에서 비중이 높아질 전망이다.

미국 주요 백화점의 현황을 살펴보면, 페더레이티드 백화점은 미국 백화점 업계의 최대그룹으로서, 점포수가 220여개, 슈퍼마켓과 할인점포 590여개, 매장 면적 합계가 1백 81만평, 종업원인수가 12만명으로 소매업체 중 8위를 점하고 있다. 데이튼 허든 백화점은 매년 15%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소매업 부문에서 9위를 점하고 있으며, 메이시 백화점은 미국 최초의 백화점으로서 점포수는 87개로써 소매업체중 20위에 랭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국 백화점은 급격한 체인화와 대규모화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특히 전문점 등 다양한 소매업태의 출현으로 점점 더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2. 일본 백화점의 성장과정

일본 백화점의 성장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본 백화점은 1955년부터 1974년까지의 성장기를 거쳐 매장면적과 양적 판매에 주력하였다. 이 시기에 터미널 백화점과 지방점포의 확장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70년대에는 자체상표의 개발과 판매 확대에 주력하고, 해외 유명상표와의 제휴로 고급화, 전문화 전략을 전개하였다. 1980년대에는 도시백화점과 지방백화점 간의 격차가 확대되었고, 도시 백화점 간에도 6대 백화점과 지방백화점 간의 격차가 확대되어, 그룹화를 추진해온 백화점들의 규모가 크게 성장하였다.

일본 백화점 산업은 상장 초기(1956-1964년)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며, 성장 중기(1965-1974년)에는 지방도시 발전이 두드러졌고, 안정 성장기(1975년 이후)에는 지방도시의 발전이 크게 진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주요 백화점 그룹으로는 다이마루 백화점과 마쓰자카야 그룹, 이세탄 그룹, 다카시마야 그룹, 미쓰코시 백화점, 세이브 그룹, 소고 백화점 등이 있다. 이들 백화점 그룹은 각자의 특색 있는 경영전략과 이미지를 구축하며 일본 백화점 산업을 이끌어 왔다.


1.2.3. 중국 백화점의 발전과 상황

중국 백화점의 발전과 상황은 다음과 같다.

백화점이 1900년에야 중국에서 출현되었지만 빠른 발전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였다. 새 중국의 성립전야에 국가에서는 이전의 상업건물을 이용하여 하르빈에 제 1백화점(1947년), 텐진 백화청사(1949년) 등 국영백화점들을 창설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이 ...


참고 자료

매출분석과 상권분석을 활용한 GIS기반의 소상공인 신용평가 모형 / 동국대(2008)
Huff Model을 확장한 상권분석모델 개발 / 학술논문(2011)
소매업태의 상권분석 및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드럭스토어(Drugstore) 점포 개발 / 한성대(2010)
Huff의 확률모형을 이용한 상권분석 비교 연구 /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1)
상권분석에 관한 연구 : 명동·강남역 일대 상권을 중심으로 / 광운대(2008)
한·중 백화점 서비스품질의 비교를 통한 중국 백화점 운영전략 연구 / 강원대(2012)
백화점 서비스 품질이 고객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백화점 고객을 중심으로 / 세명대(2012)
백화점산업 발전 리포트(1ㆍ2ㆍ3) / 학술논문(2012)
백화점 촉진전략에 대한 연구 : 중국연변 연길백화점을 중심으로 / 인천대(2006)
백화점 패션 매장 VP(visual presentation) 연구 : 한국과 중국의 비교 연구 / 동서대(2012)
백화점 쇼윈도 디스플레이 기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한·중 백화점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동서대(2010)
초보자도 알기쉬운 상권분석 / 양학림 저(2004)
도시 상권분석 / 윤용기 저(2007)
유통경영론 교재 / 임재욱(2015)
각 종 네이버 블로그, 구글 검색 엔진
위키백과 / 두산백과 / 매일경제
구글 지도, 세계도시정보(UBIN / 도시별 정보) 등
허자연, 정연주, 정창무 (2015). 서울도시연구 제16권 제2호 2015. 6,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경리단길 사례,19-33
http://115.84.164.44/4DUPIS/wordsearch_m/content_word.do?iword_no=1710
https://www.r-one.co.kr/rone/resis/statistics/statisticsViewer.do?menuId=LFR_11100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88987.html
https://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956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5031172367645
https://de.statista.com/statistik/daten/studie/1885/umfrage/mietpreise-in-den-groessten-staedten-deutschlands/
https://en.wikipedia.org/wiki/Silicon_Valley
https://press.rebus.community/media-innovation-and-entrepreneurship/chapter/from-the-field-a-short-history-of-silicon-valley/
https://www.siliconvalleyhistorical.org/history-of-silicon-valley
https://sf.curbed.com/2019/2/19/18229922/silicon-valley-index-2019-housing-gentrification-wealth-gap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714#rs
https://www.bmjv.de/SharedDocs/Gesetzgebungsverfahren/Dokumente/BGBl_MietAnpG.pdf
https://www.semaest.fr/fileadmin/webmaster-fichiers/Publications/Semaest-redynamiser-commerce-proximite-web.pdf
석사학위논문 , 수원 구도심지에 위치한 유휴 고층상업시설의 주거건축 재활용 계획안,경희대핚원 유상훈
경기개발공사, 수원화성 재조명 세계적 관광명소
수원문화재단, www.swcf.or.kr
주민들과의 대화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