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육과정의 유형
1.1. 공식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을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다. 보통 이것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 등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이며, 교사의 수업활동을 통해 표현된다. 공식적 교육과정은 사회적으로 타당화되는 과정을 거쳐 교사, 학생, 학부모 등에게 비교적 분명하게 다가선다. 그리고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공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공식적 교육과정 즉, 학교에서 가르치기 위해 선택되는 교육내용은 배제되는 내용의 대가로 선택된 기회학습의 내용이다. 또한 공식적 교육과정은 애초에 계획한 대로 학교에서 다 가르쳐지거나 항상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공식적 교육과정의 이런 측면은 잠재적 교육과정, 영(null) 교육과정이라는 개념을 성립시키는 근거가 된다.
가장 대표적인 공식적 교육과정의 예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 등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이다. 주로 학교에서 수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덕과 국어 교과서 등에서는 효녀 심청이야기, 의 좋은 형제이야기, 흥부와 놀부이야기, 이순신 장군이야기 등을 실어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 있게 지내며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라고 가르친다. 수학이나 과학 교과서 등에서는 셈하기와 자연의 여러 현상과 원리 등을 가르친다.
결론적으로 공식적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과 내용 및 방법을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 등에 수록된 내용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적으로 타당화되는 과정을 거치며, 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공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1.2. 잠재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나 교사의 계획과는 무관하게 학교생활을 통하여 학생이 얻게 되는 모든 경험을 의미한다. 이는 비공식적 교육과정이라고도 불리며, 학교에서 목표로 세우지는 않았지만 학교생활과 관련된 학생의 변화 전부를 의미한다. 즉, 의도와는 다르게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과 바람직하지 못한 것도 포함한다.
학생들이 경험하는 것은 학교가 미리 계획하고 조작하고 가르치는 것들이 아닌 비구조화되고 비공식적이며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경험도 많다. 이러한 숨겨진 경험들을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과학시간에 실험 기자재가 부족하여 개인 실험 대신 조별 실험을 시켰더니 학생들이 협동심이 길러진 경우가 대표적이다.
잠재적 교육과정의 근원으로는 학교교육에서 통용되는 상과 벌, 사회적 관행, 문화적 편견, 인종적 차별, 물리적 배치 등이 포함된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공식적 교육과정의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교육과정의 실천, 곧 수업과 평가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해야 한다.
1.3. 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은 아이즈너(E. Eisner)가 사용한 교육과정 개념이다. 그는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교육과정 중에는 가치가 없는 것도 있으나 가치가 있지만 의도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것도 있으며, 의도적으로 가르치려는 것도 있지만 가르치는 것을 게을리 하거나 의도적으로 가르치지 않아서 생기는 학습결과도 있다고 하면서 이를 영 교육과정이라고 하였다.
한편 영 교육과정은 크게 선택성과 배제성의 측면을 갖는다. 전자의 경우 영 교육과정은 겉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무형의 형태로 존재하는 교육과정으로 가르치는 교사의 마음속에 계획, 개입되어 있는 교육과정을 의미하며, 후자의 경우 학교에서 소홀히 하거나 빼버린 것이다. 허린(1986)은 영 교육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