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요가의 정의와 유래
1.1. 요가의 어원과 문자적 의미
요가의 어원과 문자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리그베다의 내용 중 여러 곳에서 '말에 마구를 묶다' '말을 마차에 매다'의 '묶다' '매다'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요가의 뜻은 '결합'임을 알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성질의 만남, 상응을 의미하는 것이다. 「바유(Vayu)는 두 필의 발빠른 말을 마차에 매는구나」라는 구절에서 바유는 바람의 신을 뜻하고 이 신은 자손을 가져다주고 가축과 재물을 가져다주며 명성을 높여 주고 적을 몰아내 준다는 신이다. 바유신은 소마주(환각제)를 마시고 수많은 준마(하늘을 나는 말)들이 이끄는 마차를 타고 다니는 것이 특색이라고 한다.
리그베다의 사제들은 찬송의 노래를 준마와 마차에 비유하며 찬송의 노래를 통해서 천상계의 신들을 모시러 간다는 상상을 가졌었다. 천상계를 나는 말과 인간을 태운 마차의 결합(요가)이 요가행법의 방법과 목적을 암시하고 있다. '말'은 공중으로 뛰고 달려 하늘을 날아오르는 것이 되므로, 질 높은 의식에 의해 불변의 세계로 인도함을 상징하고, 땅에서 구르는 바퀴로 짜여진 '마차'는 질 낮은 현상의 차별과 변화 속에 묶인 인간의 집단을 상징한다. 따라서 상대성에 얽매인 인간성을 절대성의 신성으로 변형시키는 방법(묶기)으로 요가가 발전해 왔다.
또 다른 해석으로 말과 마차의 결합적 비유는 금욕적 자기통제의 관념에 이용되어 말을 통제하는 것이 마치 사람의 지각기관을 통제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자신의 의무를 다하여 완성에 이를 수 있다」라는 바가바드기타의 구절을 통해 볼 때, 요가(yoga)는 범어로 '자아 완성의 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Y'는 '올라탄다'는 뜻이고 'O'는 완성이란 뜻이며, 'G'는 수납공간이 있는 장치(수용체, 개체), 그리고 'A' 는 어미로 쓰였다. 인간이라는 장치가 외부 환경을 느끼고 수용하여 완성의 길에 오른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1.2. 요가의 철학적 의미
요가의 철학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파니샤드에서 요가는 "숨쉬는 육신 안에는 마음으로 이루어진 참 나(Atman)가 들어있다. 육체구조의 지성적 형태로 된 내면적 자아가 있다. 경건과 믿음이 그의 머리이고 정의는 그의 오른팔이며, 진실은 그의 왼팔이고 훌륭함은 그의 두 다리이며 요가는 그의 몸통이다"라고 설명된다. 이는 요가가 의식적 자아를 깨닫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사물과 자신에 대한 진실을 알고 튼튼하게 건강한 심신을 견지하고 믿음을 가지며 진리 탐구적인 위대한 수행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우파니샤드에서는 "감각은 5개의 감각기관의 작용에 의한 느낌(마음)이고 '意'는 외부의 대상이 자신에게 영향을 준 마음이며 '覺'은 이성과 같은 지성의 최고기관으로서, '大我'란 자신이 우주적 생명체로서 '실존'임을 깨닫는 우주의식상태를 말한다. 감각 → 의 → 각 → 대아 → 미현현 → 진아(Purusa)로의 저차원의 마음을 억제하는 것으로부터 점차 고차원의 마음을 억제해가는 과정과 心 작용의 완전한 정지에 이른 것이 요가라는 원리"라고 설명된다. 이는 요가가 감각과 마음을 점차 고차원적인 의식 상태로 이끌어 가는 수행법임을 의미한다.
더불어 "숨은 저 절대의 세계와 나타난 이 상대의 세계가 충만하다"는 우파니샤드의 말은 절대와 상대가 충만하다는 뜻으로, 저승과 이승이 따로 있지 않고 모두 온전하여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변화의 상대성과 불변의 절대성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 존재이고 자연이라는 것이다. 이는 상평화(相平和) 또는 상응(相應)이 요가의 철학적 뜻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나아가 "범아일여(梵我一如) - 창조주 Brahman과 참나 atman이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다"라는 설명은 우주의 진리를 요가(결합, 조화, 관계 맺기, 화합, 합일)라고 보는 것이며, 그러한 완성(균형적화합)을 위해 여러 방법을 제시한 것이 요가 수행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주객이 화합하여 합일하고 신(神)과 사람(人)이 합일(神人合一)하여 최고의 가치와 사랑과 건강과 미와 지혜와 능력을 추구하여 자아를 완성되게 실현하려는 것이 바로 요가이며 생명즉신(生命卽神)이 요가의 정신이다.
1.3. 요가의 실행적 의미와 효과
요가는 단순한 체조가 아니라 몸과 마음, 호흡을 통해 자신의 본성을 찾고 생명의 근원적 각성과 일상에서의 평온을 잃지 않는 명상적 수행법이다. 요가를 통해 인간은 자연과 가까워짐으로써 본능적인 자가 치유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요가의 실행적 의미는 자세(아사나), 호흡(프라나야마), 명상(다라나, 다야나, 사마디) 등의 다양한 수행법을 통해 몸과 마음을 통합하고 균형을 잡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마음의 집중력과 통제력을 기르고,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안녕을 도모할 수 있다.
요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몸의 각 부분을 이완, 수축시켜 내부 장기의 위치를 바로 잡아주고 피로회복, 다이어트 등의 효과를 준다. 둘째, 다양한 동작과 스트레칭을 통해 부상을 방지하고 척추와 연결 부위를 부드럽게 한다. 셋째, 정서의 안정, 스트레스 해소, 자아이미지 향상 등 심리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요가의 대표적인 효과로는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의 현대병 치료, 신경성 소화장애와 불면증, 노이로제 등 신경성 장애 해소, 신경통과 두통, 만성 소화장애 등의 고질병 퇴치, 여성 생리 장애와 변비 개선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요가가 단순한 운동이 아닌 몸과 마음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요가는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마음의 평화와 통찰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요가의 명상 수행은 부정적인 감정을 제거하고 긍정적인 사고와 자아인식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일상에서의 행복과 삶의 의미를 되찾을 수 있다.
요가는 현대의학이 간과하고 있는 몸과 마음의 통합적 치유 방식을 제시한다. 특히 암, 난치병 등 현대의학으로는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질병에 대해, 요가는 자연치유력의 각성을 통한 전인적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는 요가가 단순한 운동이 아닌 삶의 방식이자 철학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종합하자면, 요가의 실행적 의미는 몸과 마음, 호흡의 통합을 통해 전인적 건강과 자아실현을 추구하는 것이며, 그 효과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차원에서 폭넓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 요가의 종류
2.1. 박티 요가
'박티 요가(Bhakti Yoga)'는 '사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가장 쉬우면서도 안전한 요가의 수행방법 중 하나이다. 박티 요가는 사랑, 슬픔, 분노, 기쁨 등의 인간의 다양하고 강력한 감정적인 에너지를 보다 높은 차원으로 활용하며 '만물의 하나됨'을 경험하고 깨달음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박티 요가 수행자들은 자신이 믿는 신에 대한 절대적인 헌신과 사랑을 바탕으로 하며, 이러한 절대적 사랑을 통해 자아를 완성하고자 한다. 즉, 신에 대한 지극한 애정과 충성심을 보여줌으로써 자아실현과 해탈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박티 요가에서는 찬양과 예배, 기도, 명상 등의 다양한 실천 방법들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 내재된 신성을 일깨우고자 한다. 이를 통해 수행자는 개인의 욕망과 집착에서 벗어나 보편적 사랑과 자비심을 실천하게 된다.
박티 요가는 정신적·영적 수행이 주된 목표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육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에도 도움을 준다. 수행자의 마음이 고요해지고 안정되면서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면역력이 향상되는 등 심신의 조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박티 요가는 신에 대한 사랑과 헌신을 통해 자아실현과 해탈을 추구하는 요가 수행법으로, 강력한 감정적 에너지를 긍정적으로 승화시키고 자아와 세계의 본질적 일체성을 깨닫는 것을 목표로 한다.
2.2. 카르마 요가
카르마 요가는 행동을 통해서 자아를 완성하려는 요가이고, 외부의 문제를 통해 행동을 관리함으로써 '참된 자신'에 도달하는 요가이다. 카르마 요가는 자신이 행한 행동의 결과인 카르마(karma)에 집중하는 요가로, 이기적인 동기에서 행한 행동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