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령화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령화 사회와 대응방안
1.1. 고령화의 개념
1.2. 고령화 사회의 현황 및 원인
1.3.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
1.3.1. 독거노인과 노인자살
1.3.2. 농촌 노동력 부족
1.3.3. 일자리 및 복지 문제
1.3.4. 정년퇴직 문제
1.4. 고령화 사회의 해결방안
1.4.1. 독거노인과 노인자살 해결방안
1.4.2. 농촌 노동력 부족 해결방안
1.4.3. 일자리 및 복지 문제 해결방안
1.4.4. 정년퇴직 문제 해결방안
1.5. 결론: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응 방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령화 사회와 대응방안
1.1. 고령화의 개념
노인이란 인간의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생물적 기능이 쇠퇴해가는 사람을 말한다. 나이로는 연소노인은 55세~65세, 중·고령노인은 65세~75세, 고령 노인은 75세 이상을 말한다. 우리나라 실정법상의 노인 규정을 보면, 경로연금과 노령연금수급자를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1986년에 제정된 국민연금법은 노령연금 수급연령을 60세로 규정하고 있다. 국가나 사회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배경에 따라 개념의 차이가 있고, 생애주기상의 노인의 기준은 복지예산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적·제도적인 정의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가적 혼란을 막기 위한 공식적 기준으로써 국제연합(UN)이나 경제개발국제협력기구(OECD) 회원국들은 노인을 생산연령인구(15-64세)를 제외한 65세 이상으로 규정하고,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를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을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 이상을 '고령 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을 '후기 고령 사회'(Post-aged Society) 또는 '초고령 사회'라고 정의했다. 고령화 사회는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구성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사회를 말하는데, OECD에서는 인구고령화란 젊은 근로층이 나이든 근로층 및 퇴직한 고령인구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노인과 고령화에 관한 정의는 국가와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1.2. 고령화 사회의 현황 및 원인
우리나라의 고령화 사회의 현황 및 원인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황을 보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65세 이상)는 전체 인구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의 14.02%를 차지하며, 고령 사회(Aged Society)에 진입했다. 이러한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2026년에는 노인 인구가 21% 이상인 초고령 사회(Post-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매우 빠른 고령화 속도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의 주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보건의료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평균수명 연장이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1960년대 52.4세에서 점차 증가하여 2000년 75.9세, 2022년 현재 83세 수준으로 높아졌다. 둘째, 출산율 저하이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960년대 6.0명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 현재 0.78명 수준으로 초저출산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평균수명 연장과 출산율 저하로 인해 전체 인구 대비 노인인구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1.3. 고령화 사회의 문제점
1.3.1. 독거노인과 노인자살
독거노인과 노인자살은 고령화 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다. 최근 언론에 따르면 자식과 떨어져 홀로 살던 노인이 숨진 지 보름 만에 발견되는가 하면, 잦은 병치레로 인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노인들이 속출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이 같은 노인들의 수난은 이혼과 생활고에 따른 급속한 가족해체 및 노인복지 사각지대에서 더 늘어날 전망이다.
전통적인 대가족제도가...
참고 자료
금성근, 『저성장, 생산가능인구 감소 하의 고령자 일자리 확충』, 부산발전포럼, 2016.12
강해주, 『고령화 사회문제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다』, 2015.04
손동기, 『고령화 사회, 노인 여가 정책에 대한 전망, 월간 공공정책』, 2018.11
신권철, 『저출산고령화와 인구정책, 서울대 사회보장법 연구회』
박광동, 윤혜란, 『고령화 사회에서 부모부양 문제의 법적 해결방안 연구』, 중앙법학, 2015.03
정순돌, 최혜지, 배은경, 인경민,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11.08.09
김형수, 『고령화 사회의 노인 문제 : 전망과 대책』, 2000.01
조현연.김정석, 『고령화 사회, '노인빈곤' 문제와 한국 정치』, 동국대학교 인구와사회연구소』
김호식, 정미녀, 손경숙,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 해결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 2005.04
계봉오, 『인구고령화, 사회경제적 발전, 사회불평등의 관계』, 2015.06
김훈, 김근식, 『고령화와 그 해결책으로서의 사회보장』, 서남대학교, 2010
김재경, 『현대사회에 노인문제와 노인인권에 관한 고찰』, 경민대학 사회복지과, 2014.06.15
조성남, 『에너지붐 시대 : 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2004.05.08
김미숙, 『고령화사회의 사회경제적 문제와 정책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12.01
이수희, 『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관계』, 한국경제연구원, 2004.01.20
조지 매그너스, 『고령화 시대의 경제학』, 2011.01.28
요스타 에스핑, 『끝나지 않은 혁명 : 성 역할의 혁명,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국가의 도전』, 2015.07.10.
<그래프>
google, “노인인구비율”, https://news.joins.com/article/2671188, 2019.10.29
google, “노인부양비”, http://www.jpnews.kr/sub_read.html?uid=15828, 2019.10.29
권중돈/2022/노인복지론/학지사
이영희/2020/노인복지론/에듀컨텐츠휴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