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미숙아(preterm infant)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아기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미성숙은 신생아 합병증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미숙아의 실제 원인은 대부분 알 수 없으나 산모의 사회경제적, 만성 의학적 상태와 행동 등 다양한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신체기관의 미성숙으로 인해 여러 문제점도 나타난다. 이번 사례에서는 신체기관 미성숙으로 인해 분유를 먹을 시 위 잔여물이 남고, 이로 인해 구토증상이 나타나서 생기는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해질 불균형은 체온증가의 가능성, 저혈압, 빈맥 또는 서맥 등 미숙아에게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전해질 불균형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와 예방법 등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적절한 간호와 정보를 제공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간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이 사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1.2. 연구기간
"연구기간은 2021. 01. 28 ~ 2021. 02. 04이다."
1.3. 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후기 미숙아는 재태 연령 34주에서 36주 6일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로 과거에는 만삭아에 준하는 치료를 받고 퇴원하였다. 하지만 후기 미숙아는 미숙아와 유사한 이환율, 즉 호흡곤란, 저혈당, 황달, 수유곤란, 부정적인 신경발달학적 결과를 초래하여 후기 미숙아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 아이는 후기 미숙아에 해당하고, 미숙아에 대한 간호를 더욱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여 사례연구의 사례로 채택하였다."
2.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2.1. 주요 증상
출생 후 crying, activity 약하고 전신 cyanosis 소견을 보여 1분간 PPV 적용 후에 전신 pinkish 확인 되어 O2 tip 5L/min 주면서 NICU에 입실하였다""chest retraction, desaturation, 복부팽만, 몸통 부분적으로 petechia가 관찰되었다""
2.2. 증상발생부터 입원 현재까지의 질병과정에 대한 요약 진술
preterm labor로 본원 산부인과 입원하여 치료 받던 산모 출생아로 DCDA twin(IVF)이다. 출생 후 crying, activity 약하고 전신 cyanosis 소견을 보여 1분간 PPV 적용 후에 전신 pinkish 확인 되어 O2 tip 5L/min 주면서 NICU에 입실하였다. NICU 입실 후 chest retraction 관찰되어 CPAP 적용 후 SNIPPV로 변경하였다. 1월 28일에 gavage tube feeding을 하였고, 수유 후 apnea 1차례 관찰되며 SpO2 86%, RR 16-17회가 관찰되었다. 자극을 준 후에 서서히 SpO2 95% 이상 관찰되었다. 1월 29일 오전 6시에 5cc g-tube feeding을 하였고, vent keep(NIPPV, FiO2: 23%, PIP: 16, BPM: 50, PEEP 5)을 하였다. 1월 29일 오전에 feeding을 10cc로 증량하였고, ventilator FiO2: 23%, PIP: 15, BPM: 40, PEEP 4.5로 resetting 하였다. 1월 29일 오후 5시에 ventilator keep(NCPAP, FiO2: 21%, PIP: 16, BPM: 40, PEEP 5)로 resetting 하였다. 오후 8시경에 residual milk 16cc 확인하여 g-tube remove하고 oral feeding 20cc 시행하였으며 Nasal CPAP stop 후 O2 1L/min supply via nasal prong을 시행하였다. 1월 31일에 Nasal prong 1L에서 O2 NP hold 하였고, 2월 1일에는 제거하였다. Bottle feeding을 40cc q 3hr이 tolerable하여 bottle feeding을 40cc q 3hr을 하기로 하였다. Capillary Total bilirubin이 9.9mg/dl로 phototherapy(single)을 시작하였다. 2월 2일에는 capillary TB f/u 결과 9.8mg/dl로 계속 phototherapy 진행 중이다. 2월 3일에는 capillary TB f/u 결과 7.8mg/dL로 phototherapy를 중지하였다.
3. 문헌 고찰
3.1. 진단명
미숙아(premature infant)는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2011년 미국 영아사망률의 두 번째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미숙아의 진단명은 prematurity이다. prematurity란 신체 기관의 미성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미성숙한 폐, 소화기관, 면역체계 등으로 인해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에는 호흡곤란증후군, 뇌출혈, 괴사성 장염, 미숙아 망막증, 저체온증, 감염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미숙아는 출생 직후부터 이러한 합병증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3.2. 원인 또는 유발요인
미숙아(premature infant)가 출산되는 주된 원인은 확실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반적으로 산모의 사회경제적, 의학적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
낮은 사회경제적 여건, 산모의 나이가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산모의 감염, 이전의 조산 경험, 오랜 기간 서 있거나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다태아인 경우, 이전에 미숙아를 분만한 경우, 자궁기형이나 전치태반,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 등의 산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태아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등이 미숙아로 출생할 확률을 높이는 요인들이다""
3.3. 증상
미숙아는 신체적으로 미성숙하여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호흡기 증상으로는 빈호흡(80~120회/분), 호흡곤란, 늑골간이나 하늑골의 흉곽함몰, 흡기 시 들리는 악설음(crackles), 호기 시 들리는 그렁거림(grunting), 콧구멍을 벌렁거림, 청색증/창백함 등이 있다. 미숙아의 경우 폐 표면활성제가 부족하여 호흡곤란증후군(RDS)이 발생할 수 있다.
피부 증상으로는 미숙아의 피부가 얇고 투명하여 혈관이 잘 보이며, 솜털이 많이 나 있다. 또한 점상출혈, 피부 괴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소화기 증상으로는 수유 후 구토, 위잔여물 존재, 복부팽만 등이 관찰된다. 미숙아는 소화기관의 발달이 미숙하여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감각 기능의 미성숙으로 인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