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성 쇼크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4.10.14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패혈성 쇼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패혈성 쇼크
1.1. 정의
1.2. 원인
1.3. 병태생리
1.3.1. 선천면역
1.3.2. 후천면역
1.3.3. 항 응고-응고 균형 변화
1.4. 증상
1.5. 진단검사
1.5.1. Lactate
1.5.2. Procalcitonin (PCT)
1.5.3. 기타 검사
1.6. 간호중재
1.6.1. 초기 소생술
1.6.2. 항생제 투여
1.6.3. 감염부위 확인 및 조절
1.6.4. 수액요법
1.6.5. 혈압상승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패혈성 쇼크
1.1. 정의

패혈성 쇼크는 미생물 감염에 대한 전신적인 반응으로 주요 장기에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구체적으로 패혈증에 저혈압이 동반된 경우를 말한다. 즉, 패혈증 환자에서 충분한 수액 소생요법에도 불구하고 평균 동맥압 65mmHg 이상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혈압상승제가 필요하며, 혈중 유산염 농도가 2mmol/L 이상인 경우를 패혈성 쇼크로 정의한다."


1.2. 원인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 패혈증의 원인이 된다. 원인이 되는 감염부위는 신체의 모든 장기가 가능하며, 뇌수막염, 피부 화농증, 욕창, 폐 질환, 담낭염, 신우염, 골수염, 감염된 자궁 등 다양한 장기 감염에서 유발된다. 패혈증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대장균, 폐렴균, 녹농균, 진균, 클렙시엘라 변형 녹농균 등이 있다.""


1.3. 병태생리
1.3.1. 선천면역

선천면역은 패혈성 쇼크의 발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LR(Toll-like receptor)과 같은 수용체들이 세균 침범을 인지하여 세포 내 면역매개물질인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분비된 면역매개물질들은 호중구나 내피세포들의 증식을 자극하게 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호중구는 세균을 탐식하는 동시에 내피세포를 자극하여 혈관 투과성을 증진시켜 폐나 장기의 부종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선천면역 체계의 과도한 반응은 패혈성 쇼크의 주요 발병 기전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1.3.2. 후천면역

선천면역 반응 이후, 체액성 면역과 세포매개성 면역인 후천면역이 활성화된다. B림프구는 항체를 분비하여 세균 표면에 부착시키고 이러한 세균들은 자연탐식세포와 호중구에 탐식된다. T림프구 중 일부는 염증 매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고, 일부는 항염증 사이토카인을 분비해서 체내 면역의 균형을 이룬다. 이처럼 후천면역은 세균에 대한 체액성 면역과 세포매개성 면역을 통해 감염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1.3.3. 항 응고-응고 균형 변화

항 응고-응고의 균형 변화는 패혈증 발생 시 나타나는 중요한 병리기전이다. 패혈증 발생 시 세균의 표면 지질다당질이 혈관 내피세포에 작용하여 응고 작용을 활성화시키고,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화시켜 미세혈관 내 혈전을 생성하여 내피세포의 파괴를 촉진한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항 응고 물질인 protein C, protein S, antithrombin Ⅲ가 활성화되어 응고 작용을 억제하려 한다. 특히 활성화된 protein C는 세포사멸과 백혈구의 접착,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패혈증 시 염증을 촉발시키는 성분들과 응고를 촉진시키는 성분들 간의 반응이 일어나며, 이는 이차적인 허혈반응(쇼크)과 저산소증(폐 손상)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참고 자료

윤은자, 김숙영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9), p82, 83, 88
박지원 외 역, 성인간호학Ⅰ (Phipps, 8판), 수문사, (2015), p346~348
이순희 외 역, 알기쉽게 풀이한 성인간호학, 아카데미아, (2017), p80
Jane Hokanson Hawks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정담미디어, (2017), p62
김금순 외 공저, 여덟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16), p44, 22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패혈증’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319
이재갑. (2010). 패혈증 및 패 혈성 쇼크. 대한 신경 집중 치료 학회지 , 3 , 1-5.
성인간호학 Ⅰ/ 김금순 외 / 수문사
내과주치의 필수노트 / 안상현 / 대한의학
암또의 임상노트 / 암또 / 포널스출판사
요로감염과 관련된 중증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의 치료 / 황규빈 외 / 제주대학교 의학 전문대학원
https://blog.naver.com/dbsgpwls416/221975091781 간호사블로그
박순영, 홍삼범, 2015, 『중증 패혈증과 패혈쇼크의 치료』,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8(1)
이재갑, 2010, 『채혈증 및 패혈성 쇼크』,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3
윤은자,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2019), P.81~9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