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및 기준 필요성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기본요소는 의식주이다. 그중 '주'에 해당하는 건축은 인간에게 최적의 생활공간과 쾌적한 환경조건을 제공해준다. 음,열,빛,공기와 같은 건축환경을 조절함으로서 인간은 쾌적한 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는데 건축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설비는 자연형 조절과 기계적 설비를 이용한 설비형 조절로 분류된다. 물론 자연형 설비만으로 조절이 가능하다면 우리가 우려하는 문제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과거에 건축물은 자연환경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단순 피신처였지만, 인간이 더욱 쾌적한 환경을 추구하게 되고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위적인 환경조절시스템을 포함한 건축물들이 지어졌다. 기계 설비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면서 생태계균형이 파괴되고 자원은 고갈되며 환경오염이 발생하게 되는데, 지구온난화의 주범이 건축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양의 에너지가 건축물에서 사용되어진다. 건축물은 전 세계 에너지 및 자원 소비량의 40%, 이산화탄소 배출랴의 30~40%, 폐기물 배출량의 20~50%, 물 소비량의 17%, 목재 소비량의 25%를 차지한다. 사람에게 없어서는 안되지만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건축물은 건설과정부터 철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에너지를 의식하고 보존하는 설계, 즉 지속가능한 건축이 필요한 이유이다.
건축과 환경의 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현해야 하며 이제 건축가의 임무는 단지 건물을 짓는 것뿐만 아닌 건축환경과 자연환경과의 생태적 조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이는 심각한 에너지 문제, 에너지 다소비 건축물,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소모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비롯된다. 실제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건축물에서의 노력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추가적인 노력과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1.2. 조사 배경 및 목적
조사 배경 및 목적은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및 기준 필요성에 근거한다. 건축물은 전 세계 에너지 및 자원 소비량의 40%,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0~40%, 폐기물 배출량의 20~50%, 물 소비량의 17%, 목재 소비량의 25%를 차지할 만큼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건축과 환경의 조화가 필요하며,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필수적이다. 이번 조사는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건축물의 정의 및 사례, 관련 인증제도,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친환경 건축물의 정의 및 사례
2.1. 친환경 건축물의 정의
친환경 건축물이란 건축과정과 건축 자재사용에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킨 건물이다. 지속가능한 건물로 에너지를 자급자족형 건물이며, 에너지 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인 건물이다. 자연환경과 조화되며 자원과 에너지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건강한 주생활 또는 업무가 가능한 건축을 의미한다.
2.2. 친환경 건축물의 사례
우리 주변에서 친환경 건축물의 다양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는 지붕의 40% 이상을 녹지화하여 도심의 열섬현상을 줄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열과 태양광 발전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시설과 빗물을 모아 조경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증수 설비를 갖추고 있다. 건물 내부 마감자재로는 천연석고보드, 친환경페인트, 코튼흡음재 등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여 새집증후군의 유해 물질 발생을 최소화하였다.
네이버 사옥인 그린팩토리 또한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물이다. 이 건물은 빗물을 모아두었다 냉방 용수로 재활용하여 냉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