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4년 방문목욕예산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업의 개요
1.1. 사업 준비기간
1.2. 상호명과 사업대상
1.3. 사업장소와 운영형태
2. 시설 및 인력 현황
2.1. 시설 규모 현황
2.2. 직원 배치 현황
3. 사업 운영 목적과 기대효과
3.1. 사업 운영 목적
3.2. 기대효과
4. 사업 계획
4.1. 서비스 내용
4.2. 서비스 요금
4.3. 사업 시행 일정
5. 세부 사업 계획
5.1. 시설 운영 사업
5.2. 일상 생활 보호 사업
5.3. 간호영역
5.4. 기타
6. 예산 계획
6.1. 초기 예산내역
6.2. 지속적 지출내역
6.3. 수입 및 지출내역
7. 평가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업의 개요
1.1. 사업 준비기간
사회복지법인 20 년 방문요양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사업 준비기간은 2021년 6월 1일부터 2021년 11월 10일까지 약 6개월의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상호명 선정, 사업장 물색 및 임대, 인력 채용 등 사업 개시를 위한 준비 작업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사업 준비기간 동안 상호명은 "밝은 사계절 케어센터"로 결정되었으며, 사업 대상자는 노인장기요양 1~3등급 대상자 및 허약, 장애 어르신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경기도 고양시 **동에 위치한 **타워 3층 303호로 사업장소가 선정되었고,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운영형태로 준비되었다.
1.2. 상호명과 사업대상
상호명과 사업대상은 다음과 같다.
'밝은 사계절 케어센터'는 장기요양서비스를 받는 어르신들이 사계절 내내 밝게 모습과 웃음으로 건강증진 및 기능유지를 할 수 있도록 밝은 기운을 전하자는 취지를 가지고 있는 케어센터이다. 이 기관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라 경기도 고양시의 노인장기요양 1~3등급 어르신, 허약 노인군, 장애 노인군을 대상으로 재가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1.3. 사업장소와 운영형태
'1.3. 사업장소와 운영형태'는 다음과 같다.
'밝은 사계절 케어센터'는 경기도 고양시 **동을 기반으로, **역 3번 출구 약 500m 도보로 10분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 **구 **동은 근처에 **역이 있으며, 주변 버스나 대중교통이 잘 되어 있다. 또한 GTX 등 6개의 철도계획이 예정되어 있는 미래지향적인 동네로써 사업 환경으로써 매우 적합하다고 평가된다.
'밝은 사계절 케어센터'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라 경기도 **시의 노인장기요양 1~3 등급 어르신, 허약 노인군, 장애 노인군을 대상으로 재가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즉, 방문요양, 방문간호, 방문목욕의 운영형태로 재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2. 시설 및 인력 현황
2.1. 시설 규모 현황
'2.1. 시설 규모 현황'은 120㎡의 사무실 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무실 내에는 컴퓨터 4대, 의자 4개, 책상 4개, 복합기 1개, 붙박이장 2개, 전화기 4개, 소파 1개, 테이블 2개, 안마의자 1대 등의 사무용품 및 통신장비와 이동식 욕조 2개, 혈압계, 체온계, 혈당계 각 1개 등의 방문목욕장비와 의료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2.2. 직원 배치 현황
직원 배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법인 20 년 방문요양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직원은 관리책임자 1명, 방문간호사 1명, 사회복지사 1명, 요양보호사 15명, 사무원 1명 등 총 1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직원의 담당 업무를 살펴보면, 관리책임자(노인전문 간호사)는 센터 재가서비스 업무를 총괄하며, 사회복지사는 사업 계획 수립 및 집행, 재가노인 상담 및 관리, 방문요양보호사 운영 및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방문간호사는 방문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요양보호사 15명은 방문요양 및 방문목욕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사무원은 사업 홍보 및 관리, 직원 인사급여 및 회계 관련 업무, 요양보호사 및 직원 연수 교육 관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이와 같이 재가 노인 복지사업을 위해 전문적인 인력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 노인들에게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사업 운영 목적과 기대효과
3.1. 사업 운영 목적
본 사업의 운영 목적은 정신적 · 신체적 · 사회적인 이유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노인이 있는 가정에 요양보호사를 파견하여 맞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생활안정과 심신 기능의 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고 지역사회 안에서 건강하고 안정된 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2. 기대효과
본 사업은 간호전문가와 사회복지전문...
참고 자료
박명화 외, 노인간호학 5판(2022), 학지사메디컬, p.97~109
김수진 외(2021), 재가노인을 위한 돌봄서비스 관련 연구경향,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제 12권 1호,
임병우(2021), 재가노인서비스 위기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경영학회, 제 19권 제 6호
박상미(2022), 비대면시대의 재가노인을 위한 돌봄서비스디자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학위논문
최영옥(2019),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 및 발전방향,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어: 노인돌봄서비스, 검색일: 2022.09.2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80515&cid=43667&categoryId=43667
강현구 기자, “재가급여 중 유일한 방문의료서비스, 방문간호 활성화해야”, 의약뉴스, 2022.09.26.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225584
한해진기자, “고령 노인 방문간호서비스 유명무실-이용률 2%”, 데일리메디, 2022.07.12.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886078
김규철기자. “노인돌봄 고도화, 집중 통합돌봄 필요한 노인 41만명”, 내일신문, 2022.05.13.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23163
김규철기자, “장기요양 경증 증가에도 재가이용 정체”, 내일신문, 2018.06.04.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77830
손가영기자, “분노, 망상 심해져...노인상담사가 말하는 코로나 2년”, 오마이뉴스, 2022.06.0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40112&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정윤식기자, “노인 재가생활 돕는 장기요양복지용구 급여기준 확대”, 메디컬옵저버, 2020.03.02.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