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ET 해중합 결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문제와 해결방안
2.1.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현황 및 문제점
2.2. 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2.3. 폐플라스틱 처리 현황
3. 고분자 재활용 기술
3.1. 폴리에스터 재활용
3.1.1. 메탄올분해
3.1.2. 글리콜분해
3.1.3. 가수분해
3.2. 폴리우레탄 재활용
3.2.1. 가수분해
3.2.2. 알코올분해
4. 폐플라스틱 처리 및 재활용 기술의 한계와 전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플라스틱은 가벼울 뿐 아니라 방수성도 있어 물기가 있는 물건들도 넣을 수 있는 편리함 덕분에 필름, 음료수병,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 그러나 1966년부터 지난 50년 동안 일회용 비닐봉투의 사용량이 전 세계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매년 비닐봉투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재활용이나 분해되는 플라스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과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기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화학적 접근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2.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문제와 해결방안
2.1.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현황 및 문제점
플라스틱은 가벼울 뿐 아니라 방수성도 있어 물기가 있는 물건들도 넣을 수 있는 편리함 덕분에 필름, 음료수병,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 1966년부터 지난 50년 동안 일회용 비닐봉투의 사용량은 전 세계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매년 비닐봉투의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비닐봉투 9장을 생산하는데 드는 석유량은 자동차를 1km를 운행하는데 드는 석유량과 견줄만 하다. 또한 플라스틱은 많은 양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반해 폐플라스틱의 재이용을 위한 회수율은 세계적으로 약 25%에 머무르고 있고 나머지 미회수 자원은 소각이나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는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비닐봉투는 석유와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져 분해되는데 20년에서 최장 1000년까지 소요된다. 그렇기에 많은 비닐봉투는 소각으로 처리하며 이 과정에서 유독가스를 배출하고 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농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준다. 특히 비닐봉투를 소각할 때 다이옥신이라는 물질이 나오는데 1g으로 몸무게 50kg의 사람 2만명을 죽일 수 있을 정도이며 자연계에서 한 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않고 토양이나 침전물들 속에서 축적되었다가 생물체로 유입된다. 사람은 먹이사슬 최상위에서 농산물부터 시작해 가축, 물고기 등 이들에 쌓인 물질을 몸속에 축적하게 된다. 생물체 내로 유입되면 물에 잘 녹지 않아 배설되지 않고 수십년, 혹은 수백년 까지 존재할 수 있는데 다이옥신은 강력한 발암물질로서 불임, 출생 시 장애, 기형, 발육장애 등 심한 생식계 장애와 발달장애의 원인이기도 하다. 또한 해양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되는데 전 세계에서 1년간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연간 총 800만 톤이라고 한다. 바다로 유입된 플라스틱이 자외선과 파도의 영향으로 파편화 되면서 미세 플라스틱이 해양생물체에 축적되고 인간에게 유입될 우려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비닐봉투와 해파리를 먹이로 착각해 섭취하여 피해를 보는 바다거북이나 돌고래 등은 뉴스에 자주 등장하곤 한다."
2.2. 분해성 플라스틱...
...
참고 자료
[1] 대한화학회, 화학백과 ‘고분자’
범한서적주식회사, 고분자합성 화학실험 ‘중축합반응’
대한화학회, 화학백과 ‘축합반응’
사이언스올 ‘고분자 화합물’, https://www.scienceall.com/?s=고분자
https://cccforone.tistory.com/48
두산백과 두피디아, ‘합성 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합성 섬유’
Olanyk, L. Z.; Volpato, N.; Rosa, M. R. (2018). Development of a Glycerol Based Polymer for Additive Manufacturing. Waste and Biomass Valorization, (), –. doi:10.1007/s12649-018-0285-y
Researchgate, PHA 구조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General-structure-of-Polyhydroxyalkanoates-PHA_fig1_273499337
Researchgate, structure of silk,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hemical-structure-of-silk_fig1_313988058
Researchgate, structure of nomex fiber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tructure-of-Nomex-fiber_fig2_267266516
Dupont, Nomex https://www.dupont.co.kr/nomex/what-is-nomex.html
Polyprpylene terephtalate, http://www.saapedia.org/en/saa/?type=detail&id=4912
박소윤, 김태경, 라 쉬, 이현희 and 이광주. (2019). Polyamide 6의 탄성계수에 대한 실험 온도와 수분 흡수의 영향. 한국자동차공학회 논문집, 27(4), 291-299. http://journal.ksae.org/xml/18734/18734.pdf
http://www.j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019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26/2018102602563.html
폐플라스틱의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기술동향 / 국가환경정보센터 Konetic report/2016.11.14.
분해성 플라스틱 최근 동향 및 플라스틱 대체품 개발 현황 / 네오엠씨씨
폐플라스틱 발생 및 재활용 기술 동향 / 환경부, KEITI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폐비닐,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어디까지 왔나? / 특허청
1.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02. 10. 1 ∼ 2) "폐기물 재활용의 오늘과 내일"
2. 폐기물 공학. 1996, 도갑수저자
3. 환경부, 에너지공단, 산업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