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내외 보건의료정책환경과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내 보건의료정책 현황
1.1. 모자보건의료정책
1.1.1. 한국 모자보건의료정책 현황
1.1.2. 일본 모자보건의료정책 현황
1.2. 청소년 보건의료정책
1.2.1. 성매매 피해청소년 치료·재활
1.2.2.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1.2.3. 청소년 특별지원
1.2.4. 학교 밖 청소년 지원
1.2.5. 가출청소년 보호지원
1.2.6. 청소년전화 및 모바일상담
1.2.7.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
1.2.8. 정신건강복지센터 운영
1.2.9. 지역사회 청소년통합지원체계
1.2.10.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운영
1.2.11. 청소년치료재활센터 운영
1.2.12.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1.2.13. 청소년성문화센터 설치·운영
1.2.14. 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
1.2.15.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치료비 지원
2. 국외 보건의료정책 현황
2.1. 아메리카
2.2. 유럽
2.2.1. WHO 유럽
2.2.2. 건강 증진 학교
2.2.3. 성매매 피해청소년 지원
2.2.4. 아동수당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내 보건의료정책 현황
1.1. 모자보건의료정책
1.1.1. 한국 모자보건의료정책 현황
보건의료정책은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자료를 계속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와 그동안 실행돼왔던 보건정책의 성과를 확인해 그에 따른 추진 방향 설정 및 방안 마련을 진행한다. 모자보건의료정책 또한 사회적 환경 변화와 그간 모자보건정책 성과에 따라 지원을 강화시키는 등의 추진 방향을 새로이 잡고 있다.
그동안 모자보건 정책은 '의료비 지원, 정신건강·상담, 예방적 건강관리, 산후조리원' 등의 내용을 추진해왔다. 의료비 지원사업은 난임부부,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등 의료비가 많이 부담되는 이들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지원사업을 운영해왔다.
정신건강·상담 사업은 위기임신전문상담센터, 임신육아종합포털 온라인상담,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등 다양한 부분에서 정보를 제공해주고, 심리적으로 지지 및 지원해주는 전달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해왔다. 또한, 난임 및 산전·후 우울증을 겪고 있는 부부들을 위해 전문상담센터를 구축하여 심리적 지원도 진행해왔다.
예방적 건강관리 사업은 임산부와 신생아를 대상으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마련하여 간호사와 같은 전문인력들이 가정을 방문해 건강상담, 영아 발달상담, 양육 교육 등을 제공해왔다.
산후조리원 사업은 민간 산후조리 체계를 모자보건법을 통해 마련하여 소비자 권익보호와 감염관리 등과 같은 부분에 대한 제도개선을 추진해왔다.
2022년도 모자보건의료정책은 이전 정책과 더불어 난임시술에 대한 질 관리 강화 및 난임부부 심리·정서 지원 강화, 임신·출산에 대한 사회적 지원 강화, 산후조리원 안전 및 품질관리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난임시술에 대한 질 관리 강화 및 난임부부 심리·정서 지원 강화를 위해 제2차 난임시술 의료기관 평가 및 난임통계관리 운영을 결정하였고, 난임 정보 제공 및 보건소 난임시술비 지원과 더불어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적극 연계하는 등의 정책 내용을 세웠다.
임신·출산에 대한 사회적 지원 강화에는 청소년산모의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및 그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 생애 초기 건강관리 시범사업을 진행해 보건소 등록 임산부 및 만 1세 미만 영아 가정에게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해주는 시범보건소를 29개에서 50개로 확대, 미숙아 지속관리 시범사업을 진행해 미숙아가 퇴원 후에도 병원을 지속 방문해 성장, 발달 관련 상담, 검사, 치료를 받도록 관리하는 사업이 포함된다.
산후조리원 안전 및 품질관리 강화를 위해 산후조리원의 질을 제고해주는 컨설팅 사업을 실시해 전문가(간호사, 소방관)를 통해 감염·안전 등 운영 전반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기로 결정했고, 산후조리업자와 그 밖의 인력을 대상에게 감염 예방 및 기타사항에 관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와 같은 많은 모자보건의료정책이 실제로 시행되면서 임산부와 부부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으며, 모자보건의료정책은 크게 '모성건강,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사업,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영유아 사전예방적 건강관리,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사업'으로 구분되어 있다.
1.1.2. 일본 모자보건의료정책 현황
일본의 모자보건의료사업은 보건사업과 의료대책으로 나뉘어져 있다.
보건사업은 시정촌 관청과 보건소가 주체하는 사업으로 임신 신고 및 모자건강 수첩 교부 시책, 임신기 임부 교육, 출산 후 방문하여 모자 건강 확인, 저출생 체중아 모니터링, 유아 예방접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의료대책은 사회보험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로 주산기 의료 및 소아구급의료, 미숙아 양육의료, 소아 만성 특정질환 지원이 포함된다.
현재 일본의 모자보건은 의료와 양육지원, 보건, 복지, 교육 등 여러 정책사업이 포괄적으로 나타나 있다. 6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이는 의료, 학대예방, 양육지원, 보건, 복지, 교육 등의 분야를 포함한다.
일본은 2009년부터 유아 가정 전호 방문, 2014년도부터 임신·출산 포괄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5년도 어린이·육아 지원 새로운 제도 이용자 지원 및 육아 지원 실시에 이어 2017년 4월에 개정된 모자보건법에 따라 육아 세대 포괄 지원센터를 설치하였다.
육아 세대 포괄 지원센터는 모자보건 분야와 육아 지원 분야 양측 모두의 지원을 제공하고, 지역 육아 지원 거점 사업소 등 각 지역에서 육아 지원 사업을 제공하고 있는 기관과의 연락 조정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면담 및 가정 방문, 협력 기관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해 임산부 및 영유아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수집된 정보는 별도 기록 및 관리한다. 또한, 임신·출산·육아에 대해 정보나 보건 지도 등을 제공하여 임산부의 육아 불안에 대해 대응하고 조언을 제공해준다.
특히, 육아 세대 포괄 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산후 케어 사업'은 주목할 만하다. 산후 케어 사업은 조산사 또는 간호사가 분만 후 4개월 동안 병원, 진료소, 조산소, 자치 단체가 설치하는 장소 혹은 대상자의 가정에 방문하여 산모의 신체적 회복 및 심리적 안정을 촉진하고, 가족이 건강한 육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산모의 신체적 치료 및 보건·영양 지도, 산모 심리적 케어, 적절한 수유 지도, 육아 수기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및 상담, 산모 생활 상담 지원 등을 제공한다.
종합하면, 일본의 모자보건의료정책은 임신·출산·양육 지원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산모와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청소년 보...
...
참고 자료
보건복지부, “2022년 모자보건사업 안내(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등)”, 2022.01.07.(수정:2022.01.12.),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9619
육아정책연구소, “영유아 양육 및 보건의료 통합지원 체계 구축”, 2018.11.30., https://kicce.re.kr/main/board/view.do?menu_idx=21&manage_idx=30&board_idx=28256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온라인교육사이트, “신생아청각선별검사”, https://www.hearingscreening.or.kr/data/index.php, 2022.10.13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온라인교육사이트, “사업 연혁”, https://www.hearingscreening.or.kr/intro/sub2.php, 2022.10.13
김영신, “선천성 난청 검사 및 영유아 보청기 지원 사업 참여 저조”, <메디컬월드뉴스>, 2021.04.07., http://medicalworldnews.co.kr/m/view.php?idx=1510941393
보건복지부, 2018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보건복지부, 제 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지역사회간호학 총론 제 7판, 2014, 조유향 외 공저, 현문사
함께 만드는 복지, 『한눈에 보는 복지정보-아동·청소년』,http://www.bokjiro.go.kr/welInfo/retrieveWelInfoBoxList.do?searchIntClId=03
보건복지부, 『영유아 및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보건당국·의료계 협의체 출범』,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2&CONT_SEQ=340294&SEARCHKEY=TITLE&SEARCHVALUE=%EC%B2%AD%EC%86%8C%EB%85%84, 2017-06-27[최종수정일 : 2017-06-28]
여성가족부, 『청소년 미래 위한 공공서비스 강화 지역사회 위기청소년 지원 방안은?』,
https://www.youtube.com/watch?v=DlshbT_MmwQ, 2019-05-22.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위기의 청소년 78만명…'청소년안전망팀' 만든다』 , https://www.youtube.com/watch?v=hQanxdHcV8o, 2019.5.17
WHO, 『Child and adolescent health Policy』, https://www.euro.who.int/en/health-topics/Life-stages/child-and-adolescent-health/policy
WHO, 『The Schools for Health in Europe network (SHE)』, https://www.euro.who.int/en/health-topics/Life-stages/child-and-adolescent-health/the-schools-for-health-in-europe-network-she,
PAHO, 『Adolescent health, https://www.paho.org/en/topics/adolescent-health
김재완·김광일, 『성매매 청소년을 처벌하지 않는 스웨덴에 물었다』, CBS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023631, 2018-08-30 05:00
황예랑, 『자녀 성인될 때까지 아동수당 주는 유럽』,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868970.html, 등록 :2018-11-06 05:01수정 :2018-11-06 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