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은혜의 언약
1.1. 구약에 나타난 은혜의 언약
1.1.1. 원복음
창세기 3장 15절에 나오는 "내가 너로 여자와 원수가 되게 하고 네 후손도 여자의 후손과 원수가 되게 하리니 여자의 후손은 네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요 너는 그의 발꿈치를 상하게 할 것이니라"는 구절은 성경에서 복음에 대한 최초의 암시인 "원복음"을 담고 있다"".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과 더 이상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었지만, 하나님은 여자의 후손을 통해 인간을 구원하시겠다는 약속을 하셨다. 이 약속은 나중에 아브라함과의 언약, 모세와의 언약 그리고 다윗과의 언약 등 구약의 핵심 언약들로 발전되어 나가며, 결국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되게 된다"".
이 원복음은 구원의 역사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사탄과 여자의 후손 사이의 적대 관계가 선언되며, 여자의 후손이 사탄의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라는 예언은 곧 메시야께서 사탄을 궁극적으로 멸망시키실 것이라는 약속을 의미한다"".
따라서 창세기 3장 15절은 타락 이후 인간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시작점이자, 전체 성경의 핵심 주제를 함축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구절이라고 할 수 있다"".
1.1.2. 노아와의 언약
노아와의 언약은 하나님의 구원의 특이성을 말하고 있다"" 노아 언약은 하나님이 창조 언약과 구속 언약의 면밀한 상호관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언약은 하나님께서 언약 관계에서 가족을 다루신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보편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노아 언약의 표적인 무지개는 언약의 은혜로운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첫째, 노아와의 언약은 창조 언약과 구속 언약의 면밀한 상호관계를 강조한다"" 하나님께서는 홍수로 창조세계를 심판하셨지만, 동시에 노아와의 언약을 통해 창조 세계의 보존을 약속하셨다"" 즉 하나님의 심판과 함께 자비와 긍휼의 계획이 함께 드러난다는 점에서 구속 언약의 성격이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노아 언약은 하나님께서 언약 관계 속에서 가족을 다루신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님께서는 노아의 가족을 특별히 선택하셔서 노아 언약의 당사자로 삼으셨다"" 이는 하나님께서 창조 질서 속에서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시고, 특별히 언약 공동체 안에서 가족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신다는 것을 드러낸다""
셋째, 노아 언약은 보편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이 언약은 노아의 가족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과 대지까지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노아 언약은 창조 세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언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하나님의 구원이 단지 특정 민족이나 개인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피조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노아 언약의 표적인 무지개는 언약의 은혜로운 특징을 강조한다"" 홍수 이후 노아에게 주어진 무지개 표적은 하나님의 언약이 하나님의 긍휼과 자비에 근거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인간의 공로가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맺어진 언약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결국 노아와의 언약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의 계획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내며, 가족과 피조물 전체를 포함하는 보편적인 언약으로서 하나님의 은혜가 중심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인간과 세상을 보존하시고 구원의 길을 마련하셨다고 할 수 있다""
1.1.3. 아브라함과의 언약
아브라함과의 언약은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부르신 것에서 시작된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그의 조국과 친척과 아버지의 집을 떠나 하나님이 그에게 보여줄 땅으로 가라고 명령하셨다(창 12:1).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시면서 그에게 가나안 땅을 주겠다고 약속하셨다(창 15:18-21). 또한 아브라함으로부터 큰 나라를 이루고 그의 이름을 창성하게 하시며 그로 말미암아 모든 족속이 복을 받게 하시겠다고 약속하셨다(창 12:2-3).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에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면모가 잘 드러난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이 이루어야 할 조건을 명시하지 않으시고, 오직 약속만을 하셨다(창 15장). 이는 아브라함을 택하시고 그와 언약을 맺으시는 것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주권적인 결정임을 보여준다. 또한 하나님은 이 언약을 영원한 언약이라 명명하셨는데, 이는 이 언약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계획의 근간이 됨을 뜻한다.
아브라함 언약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아브라함에게 가나안 땅을 주시겠다는 약속이다(창 15:18-21). 둘째, 아브라함에게서 큰 나라를 이루어 그의 이름을 창성하게 하시며 모든 족속이 그로 말미암아 복을 받게 하시겠다는 약속이다(창 12:2-3). 셋째, 아브라함의 씨를 통해 온 세상이 복을 받게 하시겠다는 약속이다(창 22:18).
이러한 아브라함 언약의 약속들은 향후 이스라엘 민족과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 계획의 기초가 된다"". 아브라함의 자손들은 가나안 땅을 차지하게 되었고, 그리스도의 오심으로 말미암아 온 세상 모든 족속이 복을 받게 되었다. 따라서 아브라함 언약은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아브라함 언약은 한 사람에게 주신 하나님의 주권적인 약속이자, 이후 구약 및 신약에 걸쳐 나타나는 구원 계획의 근간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1.4. 시내 산 언약
시내 산 언약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과 맺은 언약이다. 이 언약은 분명히 법적인 관계보다는 언약적인 것에 의존하고 있다. 고대 근동에는 국가 간 조약 형태가 발달했지만, 모세 시대에는 언약이 항상 법을 능가했다.
모세 언약의 특징은 하나님의 뜻이 외형적으로 기록된 구체화된 최종 요약이라는 점이다. 율법 언약은 하나님의 구원 목적의 전체와 기능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또한 구속 역사 속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계시의 점진성을 보여준다. 모세 언약이 이전 언약들보다 발전된 것이며, 율법 시대가 하나님의 구원 목적을 나타내는 데 있어 더 나은 것은 아니었다.
모세 언약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이끌었다. 율법은 이스라엘을 언약 백성으로 만들었으며,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새로운 실현 단계로 이끌었다. 즉 모세 언약은 하나님의 구속 역사에 있어 의미 있는 공헌을 했다는 것이다.
모세 언약의 핵심은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고 너희는 나의 백성이 될 것이다"라는 약속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특별한 관계가 확립되었다. 또한 모세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거룩한 삶을 살아가도록 규정하는 율법을 포함한다.
결국 모세 언약은 하나님의 구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