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중요성
1.1. 의료사회복지사의 다양한 역할
의료사회복지사의 다양한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의료사회복지사는 심리·사회·정신적 문제해결, 지역사회자원 연결, 경제적 문제해결, 행정업무, 팀 접근, 사회복귀 및 재활문제 해결, 교육 및 연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의 개인력·가족력·사회력 조사를 통해 심리·사회적, 정서적 문제에 대한 사정 후 문제해결을 위한 상담과 치료 및 치료팀과 협의한다. 또한 생심리사회적 모델을 기반으로 환자와 가족을 이해하고 특성을 개별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울감이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 방법 안내, 가족관계 증진을 돕는 프로그램, 갈등해소를 위한 대화법 연습 등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치료에 대한 의지 고취와 가족 및 사회구성원들과의 관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1.2. 심리·정서적 측면의 역할
심리·정서적 측면의 역할은 의료사회복지사에게 매우 중요하다. 첫째, 전 연령을 통틀어 만성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이 겪는 심리·정서적 어려움 또한 늘고 있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노인 만성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식습관 변화,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 비대면 수업의 증가 등으로 20~30대의 젊은 층에서도 당뇨, 고혈압,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만성질환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만성질환 환자들은 진단 후에 좌절, 불안, 우울, 부정 등의 정서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 둘째, 평생에 걸친 자가관리는 환자의 부정적 정서 심화, 치료 의욕 감소로 이어진다. 초기 의욕적으로 치료를 위해 자가관리를 하더라도 나태에 빠지거나 완치가 없다는 것에서 비롯된 치료 의지를 상실하기 쉽다. 또한 합병증으로 인한 우울, 절망이 극단에 치달을 경우 자살을 시도하거나, 외적 분노로 표출되어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심리·정서적 상태는 환자 개인의 삶은 물론 환자 가족 구성원, 사회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20~30대의 경우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만성질환에 대한 관심도가 낮고 치료에 대한 적극적 의지가 떨어져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병의 심화와 합병증 유발, 이로 인한 부정적 정서의 심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환자를 돌보는 가족과의 불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환자 개인과 가족, 사회 전반에 이르기까지 환자에 대한 심리·정서적 관리는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의료사회복지사는 심리ㆍ사회ㆍ정신적 문제해결을 위해 환자의 개인력ㆍ가족력ㆍ사회력 조사를 통해 심리·사회적, 정서적 문제에 대한 사정 후 문제해결을 위한 상담과 치료 및 치료팀과 협의해야 한다. 또한 생심리사회적 모델을 기반으로 환자와 가족을 이해하고 그 환자와 가족의 특성을 개별화한다. 환자가 병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정서적 반응은 어떠한지, 병에 대해 어느 정도 수용하고 있는지 등에 관하여 환자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한다. 또한 환자뿐 아닌 환자의 발병에 대한 가족의 정서적 반응, 가족 간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체계도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는 우울감이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 방법 안내, 가족의 중요성과 원동력을 확인하고 가족관계 증진을 돕는 프로그램, 다양한 갈등 요소를 파악하고 갈등해소를 위한 대화법을 연습해보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또한 같은 질병을 앓는 환우들끼리 자가관리 과정을 공유하고 서로 지지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해 공감과 위로를 받고 치료에 대한 긍정적 동기부여 및 성취감 고취를 도모할 수 있다. 이렇듯 치료에 대한 의지 고취는 물론 가족과 사회구성원들과의 관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심리·정서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