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양형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식물분류 형질의 종류와 특징
2.1. 질적 형질
2.2. 양적 형질
2.3. 모습 형질
2.4. 잎 형질
2.5. 꽃 형질
2.6. 열매 형질
2.7. 줄기 형질
2.8. 뿌리 형질
2.9. 생장양상 형질
2.10. 생식 형질
2.11. 세포구조 형질
3. 완두콩과 옥수수의 영양 및 생식형질 비교
3.1. 완두콩
3.2. 옥수수
3.3. 차이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식물분류학은 식물계를 구성하는 전 식물을 명명하며 기재하고, 무리를 나누어 계통체계를 확립하고, 계통 간 관계를 밝히는 학문이다. 식물 분류학은 크게 알파 분류학, 베타 분류학, 그리고 감마 분류학으로 나뉜다. 알파 분류학은 식물을 명명하고 해당 종에 대한 설명에 기반하는 분류법으로, 생물 종마다 지니는 특징적인 외형이나 생화학적 특징으로 분류한다. 베타 분류학은 식물을 계층으로 구분하는 방법으로, 종(species), 속(genus), 과(family), 목(order), 강(class), 문(phylum), 계(kingdom)의 계층으로 분류한다. 감마 분류학은 같은 종(species)내의 식물의 변화와 진화과정을 바탕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분류학의 대부분의 작업은 분류형질이나 그 변이를 다루는 일로, 분류형질이란 분류군의 설정 및 분류군 간의 관계를 정의할 때 특히 중요하게 사용되는 생물의 특징이다. 이러한 형질들을 영양분류형질과 생식분류형질로 나누어 각 분류형질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분류학 관점에서의 비교를 할 것이다.
2. 식물분류 형질의 종류와 특징
2.1. 질적 형질
질적 형질이란 카테고리 형태로 나타내어지는 형질로, 숫자로 측정할 수 없는 특성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꽃의 색상, 잎의 모양, 표면의 무늬나 텍스처 등이 질적 형질에 속한다. 이러한 질적 형질은 식물이 벌과 나비와 같은 다양한 수분동물을 유인하기 위한 전략을 가지고 발전해 온 특성이다. 예를 들어 허브류는 흰색이나 노란색 꽃을 가지고 있고, 양귀비과 식물은 주로 주황색이나 빨간색의 꽃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잎의 모양은 식물이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침엽수는 물을 효율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늘처럼 얇은 잎을 가지고 있는 반면, 열대우림의 식물은 넓고 평평한 잎을 가지고 있어 최대한 많은 양의 햇빛을 받기 위한 목적이다. 질적 형질에 기반한 분류는 식물을 명확하게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을 분류하거나 식별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도구나 기술이 없어도 간단하게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는 분류 형질이라는 점도 장점이다. 그러나 식물들은 돌연변이와 같은 유전적 변이를 갖기도 하므로, 이로 인해 모든 유전적 다양성을 포함하여 분류에 이용할 수는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또한 분류 카테고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형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중요한 특성을 무시하게 될 우려가 있다.
2.2. 양적 형질
양적 형질은 숫자로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이는 대개 연속적인 값들로 표현되기 때문에, 다양한 식물의 생리적 특징과 생태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분류 형질이다"" 예를 들어 잎의 크기, 꽃의 크기 등이 양적 형질에 속한다""
잎의 크기는 식물이 얼마나 많은 빛을 포착할 수 있는지, 어떻게 수분과 영양분을 이용하는지와 관련이 있는 특성이다"" 큰 잎은 더 많은 빛을 받을 수 있지만, 더 많은 영양을 소비하는 특성 또한 갖는다"" 그렇기에 적절한 잎의 크기는 식물이 위치한 환경에 최적화될 수 있게끔 조절된다""
꽃의 크기는 수분동물에 의한 수분 전략과 관련이 있다"" 크고 화려한 꽃은 수분동물을 끌어들이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반면 식물에게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만든다""
양적 형질에 기반한 분류는 연속적인 분류에 해당하므로, 식물 간의 미묘한 차이까지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양적 형질의 특성을 분석하여 식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계적 분석에 용이한 특성을 갖는다"" 연속적인 데이터를 다양한 통계적 방법과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양적 형질의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특별한 기술이나 도구가 필요할 수 있으며,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적 기법 또한 측정 시에 요구된다"" 또한 양적 형질은 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양적 형질의 특성에 대한 정규화가 필요할 수 있는 부분이다""
2.3. 모습 형질
모습 형질은 식물의 외형적인 특성으로, 식물의 크기, ...
참고 자료
이병윤 외, 「식물분류학」, KNOUpress, 2018.
산림청,「식물의분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2016.02.
김종환, 『식물분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박흥덕, 『식물계통분류학』, 월드사이언스, 2006.
완두(흰꽃완두)", 트리인포
https://www.treeinfo.net/plant/view.php?ti_no=5153
옥수수", 트리인포
https://www.treeinfo.net/plant/view.php?ti_no=2793
분류학적 형질", KOCW
http://contents.kocw.or.kr › leejongwook › 6.pdf
식물분류학. 이병윤, 김진석, 정규영, 김종환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18년 07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