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24년 2학기 회계학특강 중간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발생액
1.1. 발생액의 개념
1.2. 발생액의 주요 구성요소
1.2.1. 매출채권
1.2.2. 재고자산
1.2.3. 감가상각비
1.2.4. 기타 현금유출입이 없는 수익·비용 항목
2. ㈜KNOU의 발생액 분석
2.1. ㈜KNOU의 2023년과 2022년 발생액 크기 산출
2.2. ㈜KNOU 2023년 발생액 구성항목
3. 이익조정
3.1. 이익조정의 종류
3.1.1. 수익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
3.1.2. 비용을 감소시키는 이익조정
3.1.3. 비용을 증가시키는 이익조정 (빅배스)
3.2. 빅배스 사례 및 기업이 빅배스를 수행하는 이유
4. XYZ기업의 재무건전성 분석
5. 회계투명성 제고 방안
5.1. 기업의 회계책임 강화
5.2. 회계감사제도 개선
5.3. IFRS 도입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발생액
1.1. 발생액의 개념
발생액은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일어나지 않는 수익과 비용 항목들을 의미한다. 발생액이 생기는 이유는 당기순이익은 발생주의에 따라 측정되지만,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현금주의에 따라 측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생주의에 의해 측정되는 당기순이익과 현금주의에 의해 작성되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차이로 인해 발생액이 생기는 것이다. 즉, 수익과 비용의 인식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액이 발생하는 것이다. 당기순이익은 발생주의 기준으로 인식되지만,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현금주의 기준으로 인식되므로, 이 두 개의 항목 간 차이가 발생액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1.2. 발생액의 주요 구성요소
1.2.1.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기업이 소비자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아직 그 대가를 현금으로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하는 항목이다. 즉, 매출이 발생하였지만 현금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매출채권이 증가하게 되면, 당기순이익은 증가하지만 현금유입은 수반되지 않는다. 따라서 매출채권의 증가로 인해 당기순이익과 현금흐름 간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액의 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매출채권은 발생액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로, 기업의 영업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매출채권의 증감이 발생액 크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출채권의 관리는 기업의 핵심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매출채권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현금회수를 원활히 하는 것이 발생액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1.2.2.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기업이 재고자산을 만들기 위해 자원을 투자하며, 기업은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재고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가, 제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그 재고자산은 매출원가로 인식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재고자산이 증가하여 매출원가가 감소하게 되면, 당기순이익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므로 재고자산은 현금의 유입은 수반되지 않으면서 당기순이익을 증가시키는 발생액이 되는 것이다.
기업이 제품 생산을 위해 투자한 자원인 재고자산은 시간이 지나면서 매출로 인식되어 당기순이익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는 현금의 유입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당기순이익과 영업활동 현금흐름 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재고자산의 증감은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영업활동 현금흐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발생액의 주요 구성요소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업이 100만 원어치의 제품을 생산하여 재고자산으로 보유하고 있다가 이를 판매하면 매출 100만 원이 발생하고 매출원가 100만 원이 발생한다. 이 경우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현금의 유출입은 없기 때문에 발생액에 포함된다. 만약 재고자산이 증가하면 매출원가가 감소하여 당기순이익이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재고자산이 감소하면 매출원가가 증가하여 당기순이익이 감소하게 된다.
결국 재고자산의 증감은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현금의 유출입이 없기 때문에 발생액의 주요 구성요소가 되며, 기업 입장에서는 재고자산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3.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유형자산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비용으로 배분하는 항목이다. 기업은 영업활동을 하기 위하여 사무실로 사용할 건물, 혹은 제품을 생산할 기계장치 등의 유형자산을 구입한다. 유형자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점차 하락하게 되므로, 이를 반영하기 위해 일정기간 동안 비용을 배분하여 감가상각비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현금의 유입과 유출 측면에서, 처음에 기업이 유형자산을 취득할 때에는 유형자산의 대가를 지급함으로써 현금의 유출이 일어나지만, 이후에 감가상각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는 현금의 유출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가상각비는 발생액에 해당되며, 유형자산 외에도 무형자산에도 발생되기 때문에 무형자산과 관련된 감가상각비도 발생액이 되는 것이다.
1.2.4. 기타 현금유출입이 없는 수익·비용 항목
기타 현금유출입이 없는 수익·비용 항목에는 지...
참고 자료
선우혜정, 최세라(2021), 회계학특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청년일보(2023,06,11), [청년발언대] 기업이 목욕을 하다?…당신은 '빅배스'를 아시나요?
인터비즈(2019,10,28), 새로 온 CEO들이 '목욕'하는 이유...'빅 배스(Big Bath)' 전략?
선우혜정, 최세라(2021), 회계학특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