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영웅 시퀀스 분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영화 영웅 시퀀스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인사이드 아웃" 소개
1.1. 영화 개요
1.2. 주요 등장인물 분석
1.2.1. 기쁨
1.2.2. 슬픔
1.2.3. 버럭, 까칠, 소심

2. 3막 구조 분석
2.1. 1막 시퀀스
2.2. 2막 시퀀스
2.3. 3막 시퀀스

3. 그레마스 행동자 분석
3.1. 라이토
3.2. L
3.3. 류크

4. "라스트 사무라이" 영화 분석
4.1. 주요 줄거리
4.2. 남성지배적 시선구조 장면

5. 작품 주제 분석
5.1. "데스노트"의 주제
5.2. 각 인물의 '정의' 관점 비교

6. 영웅의 여행 구조
6.1. 라이토의 모험 과정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인사이드 아웃" 소개
1.1. 영화 개요

《인사이드 아웃》은 2015년에 개봉한 3D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러닝타임이 102분인 이 영화는 소녀 라일리가 태어나며 시작된다. 라일리의 머릿속에 있는 기쁨, 슬픔, 소심, 까칠, 버럭 등의 감정 캐릭터들이 라일리의 인격을 점점 형성해가는 과정을 다룬다. 원래 부모님과 화목한 가정 아래 고향에 있는 예쁜 집에서 살고 있던 라일리는 아버지의 사업이 어려워지면서 전혀 다른 분위기의 새로운 도시로 이사를 가게 되고 본격적인 스토리가 전개된다. 전학 첫 날, 라일리는 학교에서 선생님의 권유로 자기소개를 하게 되지만 슬픔이가 핵심 기억 구슬을 건드리면서 고향에 대한 그리움에 눈물을 흘리게 된다. 그리고 그녀 인생에서 처음으로 파란색 핵심 기억 구슬이 만들어진다. 기쁨이는 라일리에게 슬픈 기억을 만들어주고 싶지 않지만, 슬픔이는 슬픈 감정 또한 중요하다고 말한다. 기쁨이와 슬픔이가 다투다가 모든 핵심 기억 구슬들과 함께 장기 기억 저장소로 빨려들어가게 되면서, 본부에 있던 다른 감정 캐릭터들인 소심, 까칠, 버럭이 라일리를 돌보게 된다. 기쁨이와 슬픔이는 본부로 돌아가기 위해 노력하지만 여러 장애물에 부딪히고, 한편 라일리는 엄마의 카드를 훔쳐 버스를 타고 고향으로 돌아가려 한다. 하지만 마지막에 기쁨이와 슬픔이가 본부로 돌아오고, 라일리가 자신의 솔직한 마음을 털어놓으면서 행복과 슬픔이 공존하는 새로운 기억이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라일리의 인격이 성숙해지고 가족과의 관계도 돈독해지게 된다.


1.2. 주요 등장인물 분석
1.2.1. 기쁨

기쁨은 라일리의 행복을 최우선으로 하는 캐릭터이다. 라일리가 태어난 그 순간부터 매 순간 라일리를 어떻게 하면 기쁘게 해줄 수 있을지 고민한다. 행복할 때 노란빛을 띄우며 만들어지는 핵심 기억 구슬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더 많은 노란색 구슬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한다. 덕분에 라일리는 기쁨이가 감정 제어 버튼을 제어하고 있을 때 기쁜 감정을 많이 느낄 수 있다.


1.2.2. 슬픔

슬픔은 라일리에게 중요한 감정 중 하나이다. 영화 초반 슬픔이는 라일리의 핵심 기억 구슬을 건드리면서 예전에 살던 도시에 대한 그리움에 울음을 터트리게 만든다. 기쁨이는 슬픈 감정이 라일리에게 생성되는 것을 원치 않았지만, 슬픔이는 슬픈 감정도 라일리에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기쁨이를 설득한다. 영화가 진행될수록 슬픔이는 기쁨이와 함께 본부로 돌아가기 위해 노력하며, 슬픔이라는 감정도 존재할 때 기쁨이라는 감정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결국 기쁨이와 슬픔이가 함께 감정 제어 버튼을 누르면서 기쁨과 슬픔이 공존하는 핵심 기억 구슬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라일리는 더 성숙해지고 균형잡힌 인격을 갖출 수 있게 된다.


1.2.3. 버럭, 까칠, 소심

버럭, 까칠, 소심은 라일리의 감정을 표현하는 캐릭터들로, 라일리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면서 겪게 되는 성격 변화를 대변한다.

버럭이는 라일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짜증과 화를 대변한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라일리가 화가 치밀어 오르거나 짜증스러워하는 모습을 버럭이가 인격화하여 보여준다. 버럭이는 감정 제어 버튼을 누르며 라일리를 화나게 만들고 그로 인해 상황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변화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자연스러운 감정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까칠이는 라일리의 성격 중 까다롭고 부정적인 면모를 대변한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라일리가 보이는 불만과 귀찮아하는 태도, 남들에 대한 무관심 등을 까칠이가 보여준다. 까칠이 역시 감정 제어 버튼을 누르며 라일리를 부정적으로 이끄는데, 이는 변화와 성장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소심이는 라일리의 내성적이고 불안한 성격 측면을 대변한다. 새로운 환경과 사람들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라일리가 느끼는 두려움과 걱정, 위축된 모습 등을 소심이가 보여준다. 소심이 역시 감정 제어 버튼을 누르며 라일리를 주저하게 만들지만, 이는 변화와 성장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일시적인 방어기제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버럭, 까칠, 소심이라는 세 캐릭터는 라일리가 겪는 성격 변화와 내적 갈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라일리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감정들을 구체화하여 관객들에게 잘 전달한다. 결국 이들은 라일리의 내면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감정의 표현체라고 할 ...


참고 자료

나무위키. “인사이드 아웃”.
https://namu.wiki/w/%EC%9D%B8%EC%82%AC%EC%9D%B4%EB%93%9C%20%EC%95%84%EC%9B%83
네이버 지식백과. “3막 구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5208&cid=42219&categoryId=51139
영상스토리텔링 PPT.
YouTube. “슬픔과 공감에 대한 최고의 해석영화 – 인사이드 아웃 다시보기 [결말포함]”.
https://www.youtube.com/watch?v=O3IbEQU9AI8

엠파스 영화 http://movie.empas.com/movies/note.tsp?mid=3994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