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갯벌의 정의 및 생태적 가치
1.1. 갯벌의 정의
갯벌이란 "조석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갯가의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으로 갯가의 퇴적물 벌판을 뜻하며 여러 조간대 중 연성저질조간대에 속한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갯벌은 '개펄' 또는 '간석지'라고도 하며 연안습지의 일부분이다. 습지보전법에 정의된 내용에 따르면 연안습지는 간조와 만조의 차이로 강이나 호수, 바다 주변에 나타나는 공간으로, 내륙습지와는 대비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바닷물이 땅으로 올라와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밀물'이라고 하며, 바닷물이 바다로 빠지면서 물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썰물'이라고 한다. 갯벌은 밀물 때에는 물 밑에 잠기고, 썰물 때에는 드러나는 곳을 의미하며 주로 해안의 경사가 완만하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큰 해안에 퇴적물질이 점점 쌓여 만들어진다.
1.2. 갯벌의 형성
갯벌은 해양과 육지의 경계에 자리 잡고 있어 밀물과 썰물의 차이로 인해 바다와 육지가 교차되는 곳에서 형성된다"" 갯벌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밀려오는 파도로부터 어느 정도 닫혀 있어 해안을 침식하는 파랑의 작용이 약해야 한다""
둘째, 유입하천에 의해 운반되는 퇴적물의 양이 많아야 한다""유입하천은 퇴적물을 운반할 뿐만 아니라 풍부한 영양염류나 해양동물의 먹이가 되는 유기 쇄설물을 갯벌에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간조 때 드러나서 공기 중에 노출되는 평평한 부분이 넓게 펼쳐지려면 조차, 즉 만조와 간조 때의 해수면 높이의 차이가 커야 하며 모래나 펄이 쌓이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조수가 높아졌다 낮아졌을 때 발생하는 조류는 퇴적과 침식작용을 일으켜 해안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서해안의 만조와 간조의 조차는 3~7m이며, 남해안은 1~2m, 동해안은 만조나 간조의 조차가 30cm정도에 불과하다""따라서 동해안은 조차가 매우 작기 때문에 갯벌이 잘 발달하지 않았지만 서해안은 대조차환경으로, 전 세계에서 매우 큰 조차를 가지기 때문에 갯벌이 발달하였다""
따라서 갯벌은 흔히 큰 강과 이어지는 중조차해안 또는 대조차 해안의 하구역이나 후미, 내만 등의 반폐쇄적인 환경에서 잘 발달한다""
1.3. 갯벌의 유형
1.3.1. 퇴적상에 따른 분류
갯벌의 퇴적상에 따른 분류는 크게 펄 갯벌, 모래 갯벌, 그리고 혼합 갯벌로 나뉜다.
펄 갯벌은 모래 대비 펄의 비율이 90%정도가 되는 갯벌로, 해안의 경사가 완만한 편으로 내만이나 강 하구의 후미진 곳에서 형성된다. 펄 갯벌은 모래갯벌보다 퇴적물의 간극이 좁고 입자가 매우 고와서 산소를 포함한 바닷물이 펄 속 깊이까지 스며들기 어렵다. 따라서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지표면에 구멍을 내거나 관을 만들어 바닷물이 침투되도록 한다. 펄 갯벌에는 다양한 생물들이 살지만, 갑각류나 조개류가 많은 모래 갯벌에 비해 갯지렁이류가 더 많이 살고 있다. 이 밖에도 낙지나 일부 조개류를 비롯한 펄 속 유기물을 먹고 사는 칠게와 짱뚱어, 철새들까지 모여들기도 한다. 또 갯가에는 염생 식물인 갈대, 칠면초, 나문재 무리들이 지어 자라 동식물이 조화를 이룬 갯벌의 건강한 생태계를 구성한다. 우리나라의 펄 갯벌은 강화도, 전남 순천과 벌교 등에 발달되어 있다."
모래 갯벌은 펄에 비해 모래가 더 많은 갯벌로, 비교적 해수의 흐름이 빠른 수로나 해변 또는 강의 하구에서 만들어진다. 주로 해안의 경사가 급하고 갯벌의 폭이 좁으며 해안선을 따라 형성된다. 모래 갯벌은 펄 갯벌에 비해 입자 사이가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파도에 휩쓸리기 쉽기 때문에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은 몸의 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