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혼모가 왜 사회적이슈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 변화
1.1. 가족의 개념 변화
1.2. 가족기능의 변화
1.3. 현대 가족형태의 변화
1.4. 가족관의 변화
2. 다양해지는 가족의 형태
2.1. 다문화 가족
2.2. 한부모가족
2.3. 재혼가족
2.4. 입양가족
2.5. 조손가족
2.6. 1인가구
2.7. 미혼모가족
2.8. 기러기가족
2.9. 공동체가족
3. 다양한 가족형태 수용의 중요성
3.1. 저출산정책의 마련
3.2. 다양한 가족 서비스 지원체계 효율화
3.3. 다양한 가족에 대한 가족정책, 미래 전망 제시 필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 변화
1.1. 가족의 개념 변화
가족의 개념 변화는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가족 정의에 따르면 가족은 '공동거주, 경제적 협력, 생식의 특성을 갖는 사회집단이며 성관계가 허용되는 성인남녀와 출산자녀 혹은 입양자녀로 구성된다.'고 한다. 즉 가족은 재생산, 자녀의 사회화, 경제적 협력, 정서적 지지, 성적 통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제도'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현대에 재정의된 가족 개념은 '서로 사랑하고 배려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개인의 본질적 특성인 개체성과 관계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상호작용하는 생활 공동체적 집단으로, 사회의 영향에 나름대로의 의미를 부여하며 변화하는 집단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가족을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집단으로 보는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족 개념은 전통적인 사회제도 중심에서 개인과 관계의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가족이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집단이기도 하지만, 구성원의 정서적 욕구와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집단이라는 인식의 확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2. 가족기능의 변화
가족의 기능은 현재 변화하고 있다. 동거, 이혼, 혼전 및 혼외출산, 그리고 무자녀 부부의 등장은 가족의 재생산과 가족집단 형성 기능의 약화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의식주 문화의 상업화와 독신 혹은 단독가구의 증가는 가족의 경제적 지지 기능이 약화됨을 나타내고, 학교 교육의 증대와 보육시설 확대, 교육기간 연장 등은 가족의 양육, 교육, 사회화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노약자 보호시설의 공적, 사적 제도 확립 및 보급은 가족의 노약자 보호 기능을 대체하고 있으며, 부양의식 약화 역시 기능 약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족 기능의 변화 양상과 속도는 각 사회마다 다르지만, 한국사회는 서구에 비해 가족의 양육, 교육 및 사회화 기능과 노약자 보호 기능이 강하게 유지되며, 재생산과 가족집단 형성 기능도 상대적으로 강하게 유지되는 편이다". 또한 과거에 비해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다른 기관에 의해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가족은 위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중심적인 제도로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의 사회변화에 따라 특정 기능이 더욱 강화되거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될 가능성도 있다".
1.3. 현대 가족형태의 변화
가족형태의 변화는 전통적인 핵가족 중심에서 다양한 가족 형태로 확장되고 있다. 전통적인 핵가족이었던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가족은 2019년 현재 전체 가구의 28.64%로 감소하였다. 반면 이혼이나 한부모 가족 등 정상가족의 범주에서 벗어난 가족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1인가구의 증가이다. 1인가구는 2000년 15.55%에서 2019년 현재 29.58%로 무려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가장 많이 분포하는 가구형태가 되었다. 이는 개인의 가치관 변화와 함께 결혼이나 동거에 대한 선택 등 개인화된 생활방식의 확산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해 형성되던 핵가족 중심의 가족이 독신, 동거부부, 계약결혼, 동성애관계 등의 다원적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다원적 가족은 어떤 구성이 좋은 가족인지에 대한 이상을 제시하기보다는 개인적 만족과 함께 유연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가족형태의 다양화는 개인의 선택과 행복 추구가 중요해짐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가족 개념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가족 형태를 사회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4. 가족관의 변화
우리나라 가족관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부장적이고 수직적 위계질서의 가족에서 벗어나 현대가족에서는 부부관계 뿐만 아니라 부모-자녀 관계에서도 수평적, 동등한 관계로 변화해 가고 있다". 즉 전통적인 가부장제 문화에서 벗어나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가 보다 수평적이고 평등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가족관은 성별에 따라서도 시각차가 확인된다. 결혼을 기피하는 풍조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편인데, 이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가부장제 문화에 대한 거부로 이해할 수 있다.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경제활동참여 증가에도 불구하고 핵가족을 전제로 한 산업화시대의 성별 분업은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다. 그 결과 기혼여성은 가계부양과 자녀돌봄이라는 이중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부계 가족 중심의 친족관계가 부?모계의 가족 모두 동등하게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나아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어린자녀들의 양육을 조부모가 대신 맡게 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부(父)보다 모(母)쪽의 조부모에게 위탁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모계(母系)가족 중심으로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 다양해지는 가족의 형태
2.1. 다문화 가족
다문화 가족은 현재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근로자가정과 결혼이민자가정 그리고 북한이탈주민가정 등 문화적 배경이 다른 가정을 총칭하는 말이다. 이들 다문화가정들이 가장 많은...
참고 자료
김두섭,김정석,송유진,최양숙(2005)「가족구조와 관계의 변화 및 전망」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은경(2003)「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에 관한 연구」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경희,김순옥(1999)「한국의 공동체가족에 관한연구」한국가족관계학회지
박창기(2001)「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족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변수정,김유경,최인선,김지연,최수정,김희주(2019)「미혼모가족의 출산 및 양육 특성과 정책과제」한국보건사회연구원
양인빈(2017)「1인가구 김치조달 특성에 관한 연구」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위효진(2011)「한부모 가족 자녀 감정억압에 대한 성경적 상담」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민정,박수호(2019)「대안적 가족담론으로서의 행복가족」사회사상과 문화 22권 2호
이병호(2017)「경기도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 지원방안 연구」경기연구원
이삼식,최효진,윤홍식(2015)「가족 변화에 따른 결혼.출산행태 변화와 정책과제」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소희,도미향,김영희(2004)「계부모의 아이들」양서원
이진숙(2017)「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가족 서비스 지원 체계 효율화 방안 모색」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고운(2011)「세계화 시대의 한국 가족주의(‘기러기 아빠’ 사례 연구)」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정숙(2007)「입양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한국가족복지학,20
사회복지조사론 강의교안
동대신문(동대신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임신기 및 출산 후 미혼모 지원방안 연구보고서
2018년 KBS 국민패널 인터넷 설문조사(IPS)
2018년 인구보건복지협회
낙태죄 헌법불합치 이후…'미프진 사기 주의보',
https://www.yna.co.kr/view/AKR20190411153800011?input=1195m, 2019.4.12
낙태하려니 “성폭행 입증하세요”, 채널A,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449&aid=0000142702. 2017.11.29,
“불법 판매된 낙태약...부작용 속출”, YTN,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2&aid=0000513543, 2014. 3. 27
주호노 ,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0 No.2, 2012
‘태아 생명권‘VS’여성 자기 결정권‘...팽팽한 낙태죄 줄다리기의 역사/비디오머그
https://www.youtube.com/watch?v=EnQzS7_WMe0&feature=share, 2019. 4. 11.
“미혼모는 일에 열정 없다” 해고...차별 호소한 한무보들“, KBS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6&aid=0010604031. 2018. 7. 30,
미혼모, 독립 꿈꾸지만…"녹록지 않은 현실", MBC뉴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715624 , 2016.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