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직업병의 개념과 원인
1.1. 직업병의 정의
직업병(Occupational disease)은 어떤 특정직업에 종사함으로써 근로조건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질환이다. 작업환경의 불비나 근로과중이 겹쳐서 많은 경우에 만성의 경과를 거쳐 발병한다. 직업 자체의 원인에 의하여 일어나는 질병에는 직업병 외에, 재해성 질환이 있다. 재해성 질환도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일어나지만, 유독가스나 고열물의 폭발이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것과 같이 우발적인 사고이거나 과실이므로 직업병과는 구별하여 생각하고 있다.
1.2. 직업병의 발생 원인
직업병의 발생 원인은 크게 작업자 자신의 조건과 작업환경과의 관계에서 나타난다.
작업자 자신의 조건에는 근로시간, 작업자세, 생활 습관 등이 포함된다. 장시간 근무, 부자연스러운 작업자세 등은 직업병 발생의 주요 요인이다. 또한 수면 부족, 불규칙한 식사, 여가 활동 부족 등 개인의 생활 습관도 직업병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작업환경 요인에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위험 요인이 있다. 온열환경, 소음, 방사선, 유해화학물질, 병원체 등 작업 과정에서 노출되는 다양한 요인들이 직업병을 유발한다. 특히 유해물질의 경우 장기간 저농도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직업병은 개인의 건강 상태와 작업 환경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자 개인의 건강관리와 더불어 작업장의 유해요인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1.3. 작업 조건과 환경에 의한 직업병
작업 조건과 환경에 의한 직업병은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작업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직업병에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요인들이 포함된다.
먼저, 물리적 요인에 의한 직업병으로는 온열 질환, 청력 손실, 진동에 의한 질환 등이 있다. 기온, 습도, 공기 유속 등의 열 환경과 소음, 진동 등이 근로자의 건강을 위협한다. 예를 들어 용접 작업이나 발전소 근무 등에서 높은 열과 소음에 노출되면 열사병, 동상, 청력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화학적 요인에 의한 직업병으로는 유기 화합물, 금속, 광물성 분진 등 유해 화학물질에 의한 중독과 암 등이 대표적이다. 화학 공장 근로자, 도장 작업자, 광산 근로자 등이 이런 위험에 노출된다. 특히 석면이나 벤젠 등의 발암 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폐암, 백혈병 등이 발병할 수 있다.
생물학적 요인에 의한 직업병으로는 전염성 질환이 있다. 의료진, 도살업자, 폐기물 처리 근로자 등은 혈액 매개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에 시달릴 수 있다. 이들은 에이즈, 간염, 결핵 등에 감염될 위험이 높다.
이처럼 작업 환경의 유해 요인은 다양하며,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한다. 따라서 작업 환경 개선과 함께 근로자 건강관리, 예방 교육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2. 직업병의 종류와 사례
2.1. 유해 요인에 따른 직업병 분류
유해 요인에 따른 직업병 분류는 작업 환경과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물리적 환경 요인에 따른 직업병으로는 온열질환, 기압질환, 청력장애, 방사선장해 등이 있다. 화학적 환경 요인에 따른 직업병으로는 중금속 중독, 유기용제 중독, 분진 폐질환 등이 있다. 생물학적 요인에 따른 직업병으로는 감염성 질환이 있다.
작업관련 요인에 따른 직업병에는 근골격계 질환, 작업 스트레스 등이 포함된다. 근골격계 질환은 반복적인 동작, 부자연스러운 자세, 과도한 힘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표적으로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손목터널증후군 등이 있다. 작업 스트레스로 인한 직업병에는 우울증, 불안장애, 심혈관계 질환 등이 있다.
이처럼 직업병은 작업 환경과 조건의 다양한 유해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세부적으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작업관련 요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2. 법원 판결례
법원 판결례에 따르면 직업병 인정 여부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데, 일반적으로 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와 부정한 사례로 나뉜다""
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로는 제철소 수질관리업무에 종사하면서 벤젠 등 발암물질에 노출되어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사망한 경우,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재판실에서 13년간 근무하면서 크롬가스에 노출되어 근로자에게 기관지천식이 발병한 경우, 약 9년간 용접업무에 종사하면서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을 오랫동안 마신 결과 진폐증이 발병한 경우 등이 있다""
반면 인과관계를 부정한 사례로는 먼지가 많고 환기가 잘 안되는 세관 입국 검사장에서 근무하던 자에게 폐암이 발병한 경우, 뇌종양은 질병의 특성상 업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