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 수행시 필요한 철학 및 가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의 인문학적 접근
1.1. 서론
1.2. 인문학과 간호
1.3. 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1.4. 의료인의 인문학적 사유
1.5. 윤리적 간호 실천
1.6. 결론
2. 간호사 윤리강령과 자기성찰
2.1. 서론
2.2.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2.3. 한국간호사 윤리지침
2.4. 자기성찰 및 간호비전 제시
3. 과학 연구방법과 간호철학
3.1. 연구방법론
3.2. 간호철학의 기능
3.3. 간호학적 기초 철학사조
4. 간호윤리 강화의 필요성
4.1. 간호윤리의 중요성
4.2. 간호윤리 필요성의 배경
4.3. 간호윤리의 주요 개념
5. 도덕성 발달과 윤리적 의사결정
5.1. 도덕성 발달 단계
5.2. 길리건의 도덕 발달 이론
5.3. 병원 윤리위원회의 기능
6. 윤리 이론과 생명의료윤리 원칙
6.1. 공리주의
6.2. 의무론
6.3. 생명의료윤리 원칙
6.4. 추가적 필요 원칙
7. 윤리적 의사결정 과정
7.1. 윤리적 의사결정 내용
7.2. 윤리적 사고 단계
7.3. 간호과정 적용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의 인문학적 접근
1.1. 서론
의료인은 의학뿐만 아니라 인문학도 의학과 함께 배워야 한다고 생각을 하여 1970년대 미국의 의사이자 의료 인문학자이며 의철학자인 펠레그리노가 의학 교육에 인문학의 이념을 도입하게 되었고, 펠레그리노의 영향으로 그 후에 의료 인문학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1.2. 인문학과 간호
인문학과 간호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인문학은 간호사에게 인간 감정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어 환자를 치료할 때 단순히 병만 치료하는 것이 아닌 환자가 느끼고 있는 신체적, 정신적 아픔이라는 다양한 감정들을 잘 이해하고 공감해줌으로써 인간중심 돌봄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게 되면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인문학은 임종간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감성지능을 향상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업무수행 능력 향상과 의사소통에서의 충돌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며, 간호의 깊이과 폭이 발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처럼 간호사에게 인문학은 단순한 교양이 아닌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필수적인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1.3. 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은 환자를 이해하고 돌봄을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간호사는 환자의 감정과 경험을 깊이 공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인문학의 교육은 간호사들의 임종간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감성지능을 높여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갈등을 줄이고 전문적 성장을 돕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수준은 중간보다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호스피스나 중환자실 등 죽음에 근접한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인문학적 소양이 더욱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간호학과 교육과정에서부터 철학, 윤리, 의사소통 등 인문학 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인문학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 또한 임상 현장에서도 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수교육과 세미나 등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이 환자 중심의 돌봄을 실천하고 전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1.4. 의료인의 인문학적 사유
의료인의 인문학적 사유는 의료인에게 매우 중요하다. 의학은 인간의 삶에 유용하고 편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학문이기에 본질은 의료 기술 자체가 아닌 인간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의학이 발달하고 의료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의료는 인간중심에서 벗어나고 비인간화되는 경향이 높아졌다. 이에 인간중심의 의료로 돌아가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인문학은 간호사에게 인간 감정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어 환자를 치료할 때 단순히 병만 치료하는 것이 아닌 환자가 느끼고 있는 신체적, 정신적 아픔이라는 다양한 감정들을 잘 이해하고 공감해주어 인간중심 돌봄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인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게 되면 전인적이고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인문학은 임종간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감성지능을 향상하여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업무수행 능력 향상과 의사소통에서의 충돌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간호의 깊이와 폭이 발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인문학을 통해 지식과 비판적 사고를 개발함으로써 임상문제의 효율적인 해결을 위해 적합한 근거를 사용하고 분석하고 판단하여 전문직으로서 더욱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인들이 인문학적 소양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의학 및 간호, 보건교육과정을 보면 지식과 기술에만 치중되어 있고 1학년 교양과목으로만 한두 과목정도 인문학과 관련이 있는 과목을 배우고 있다. 이에 간호학과 학생 교육에서부터 철학과 윤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인문학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교육에 적용해야 하며, 의사소통기술, 인간에 대한 이해와 같은 인문사회과목에 대한 이수가 더욱 중요하게 필요할 것이다.""
1.5. 윤리적 간호 실천
윤리적 간호 실천은 간호사가 환자의 인권과 생명을 존중하며 최선의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환자의 요구를 존중하며 사생활을 보호해야 한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에 대한 비밀을 준수하고, 환자의 알 권리와 자기결정권을 보장해야 한다. 나아가 간호사는 간호 행위에 있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간호 전문직 윤리에 부합하는 행동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윤리적 판단력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1.6. 결론
과학이 발달하고 의료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의료는 비인간화되는 경향이 높아졌고 인간중심의 의료로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의학 및 간호, 보건교육과정을 보면 지식과 기술에만 치중되어 있고 1학년 교양과목으로만 한두 과목 정도 인문학과 관련이 있는 과목을 배운다. 인문학은 인간의 기본 존재가치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에게는 전문 지식을 배우는 간호학 다음으로 정말 중요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문학적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학과 학생 교육에서부터 철학과 윤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인문학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교육에 적용해야 하고, 의사소통기술, 인간에 대한 이해와 같은 인문사회과목에 대한 이수가 더욱 중요하게 필요해야할 것이며 인문학적 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체험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평소 소설이나 시 등을 읽고, 음악을 감상하며, 연극이나 영화관람 등을 통해 풍부한 인간성과 공감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의사와 간호사 등 많은 의료인들이 학교에서의 인문학 교육을 통해서 의학만큼 인문학의 중요성도 잘 알게 되었으면 좋겠다.
2. 간호사 윤리강령과 자기성찰
2.1. 서론
우리는 모두 간호사가 되기 위해 준비하는 학생이다. 아직 1학년이라 간호와 관련하여 아주 깊이 있는 지식을 다루고 있지 않지만 간호학개론은 간호의 역사에서 시작하여 간호사가 갖춰야 할 덕목들과 같은 간호학에 대해 깊이 있게 알려주고 있다. 간호사는 많은 지식을 갖춰야 하지만 특히 간호학개론에서는 '간호사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윤리란 무엇일까? 윤리에서 윤(倫)은 무리, 또래, 질서 등의 의미가 있으며 리(理)는 이치, 이법 또는 도리 등의 뜻이 있다. 그러므로 윤리는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고 살아가는 데 있어 지켜야 할 이치 또는 도리라는 의미이다. 이러한 윤리는 왜 간호학에서 특히 강조하고 있는가? 윤리의 일차적인 목표는 '선한 일을 행하고 해로움을 피하는 것'이다. 의료현장에서 간호사의 윤리가 더 많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간호사의 역할과 위상이 변화하여 간호사가 마땅히 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답이 확실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발전으로 의료의 범위와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으로 대상자에게 이익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이제는 확신하기가 힘들어졌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경제적, 인구학적 구조의 변화로 말미암아 여상의 사회참여가 확대되고 노인 인구가 증가되었으며 인권의식 역시 급격히 신장됨에 따라 사람들의 사고체계나 가치관이 예전과는 크게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2.2.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한국간호사 윤리강령은 "간호의 근본 이념은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존중하고 옹호하는 것"이며, 간호사의 책무는 "...
참고 자료
하주영, 전소영, 천지원(2017), 인문학적 소양에 관한 개념분석: 간호학적 적용,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하주영, 전소영(2016), 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과 감성지능 및 의사소통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조규영, 하명남, 서미경(2020),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인문학적 소양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중환자간호학회지
홍성경(2017),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회복탄력성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의료커뮤니케이션
조계화, 박애란, 이진주, 최수정(2015),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윤리학회지
권상옥(2008), 의료 인문학의 성격과 전망, 의철학연구
홍은영(2013), 돌봄과 철학, 수문사
네이버지식백과. 윤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3310&cid=50765&categoryId=50778
대한간호협회. 협회소개. 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s1
김현진. 2018. “간호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간호철학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