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백일해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백일해 CASE STUDY
1.1. 백일해 질환 개요
1.2. 환아 사례 소개
1.3. 진단적 검사
1.4. 약물요법
1.5. 의학 및 간호학적 처치와 관리
2. 예방접종 문헌고찰
2.1. 예방접종의 역사와 현황
2.2. 예방접종의 시기와 표준예방접종일정표
2.3. 예방접종 전, 중, 후 간호 관리
2.4. 예방접종 주의사항 및 금기증
2.5. 예방접종 부작용
2.6. 예방접종 유의사항
3. 세균의 그람염색 분류
3.1. 그람염색의 정의
3.2. 그람양성 세균 분류와 중요 세균
3.3. 그람음성 세균 분류와 중요 세균
4. 이식 거부반응
4.1. 이식 거부반응의 정의 및 기전
4.2. 이식 거부반응의 형태
4.3. 이식 거부반응에 대한 간호중재
5. 산-염기 불균형
5.1. 대사성 산증
5.2. 대사성 알카리증
5.3. 호흡성 산증
5.4. 호흡성 알카리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백일해 CASE STUDY
1.1. 백일해 질환 개요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제2군 법정감염병에 속한다. 백일해 감염은 면역력이 없는 아동의 경우 거의 100% 감염되며, 5세 이하 연령에서 발병률이 높다. 백일해의 원인균은 그람음성균인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이며, 인간이 유일한 숙주이다. 백일해 감염은 백일해 환자와의 직접 접촉, 기침 및 재채기 등을 통한 호흡기 전파로 이루어진다. 백일해 감염 초기에는 가벼운 증상부터 시작하여 점차 심각한 증상으로 진행하는 3단계의 경과를 거친다.
먼저 전구기(카타르기)에는 콧물, 결막염, 눈물, 경미한 기침, 미열 등의 가벼운 상기도염 증상이 1~2주간 지속된다. 이 시기가 가장 전염력이 강한 시기이다. 다음으로 발작기(경해기)에는 기침이 점차 심해지면서 특징적인 발작적 기침이 시작되고 기침 끝에 '흡(Whoop)'하는 소리가 들린다. 기침이 심할 때 얼굴과 눈이 충혈되고 구토가 동반되기도 하며 끈적이는 가래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시기는 2~4주 정도 혹은 그 이상 지속된다. 심하면 무호흡, 청색증, 비출혈, 경막하 출혈, 하안검 부종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회복기에는 기침의 정도와 횟수, 구토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며, 1~2주간 지속된다. 그러나 회복기 이후에도 상기도 감염이 발생하면 발작적인 기침이 다시 악화될 수 있다.
1.2. 환아 사례 소개
이 환아는 백일해(Pertussis, Whooping cough) 진단 받은 5살 된 학령전기 남아이다. 내원 2주 전 미열과 경미한 기침 증상이 있어 지역의원에서 급성 세기관지염으로 진단받고 약물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특히 밤사이 발작적인 기침 증상과 구토가 반복되면서 악화되어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게 되었다.
환아는 기침을 한번 시작하면 잘 멈추지 않는 발작적인 기침(Paroxysmal cough)을 보였고, 기침 발작 이후 구토를 동반하며 끈적한 객담이 관찰되었다. 흡기 시 특징적인 "흡(Whoop)"소리도 들렸다. 입원 당시 산소포화도는 96%였으나 기침 발작 시 88%까지 저하되어 비강캐뉼라를 통해 산소 2L/min가 공급되고 있었다.
환아는 3.2kg으로 만삭 출산하였고, 1녀 1남 중 둘째이며 가족력이나 과거력상 특이사항은 없었다. 예방접종은 DTaP 4차까지 맞았으며, 한 달 전 키즈카페에서 백일해 환아와 접촉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내원 시 활력징후는 체온 37.2도, 맥박 90회, 호흡수 32회였으며, 키 106.5cm, 체중 17kg으로 측정되었다. 입원 전 지역의원에서 진해거담제를 처방받아 경구 투여 중이었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고, 오히려 밤낮으로 심한 기침, 헛구역질, 구토가 반복되었다고 한다.
입원 후 시행한 세균배양 검사와 백일해균에 대한 PCR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아 백일해로 최종 확진되었다.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17.6 k/ul, 혈소판 550,000/mm3, C-반응단백 25 mg/dL로 감염상태가 확인되었다.
1.3. 진단적 검사
환아의 진단적 검사로는 혈액검사, 세균 배양 검사, 흉부 X-ray 등이 이루어졌다. 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수치가 17.6 k/uL로 증가되어 있고 C-반응단백도 25 mg/dL로 감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균 배양 검사와 PCR 검사에서 보르데텔라 백일해균이 검출되어 백일해로 확진되었다. 또한 흉부 X-ray 상 폐실질 내 침윤 소견이 있었다. 이러한 진단적 검사 결과들을 통해 입원 당시 백일해 감염이 의심되었고, 이후 확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4. 약물요법
발작적인 기침 및 분비물 구분 약물 용량/경로 효능(주효과) 부작용 비고
항생제 아이로손시럽 Erythromycin 15ml #4 PO 에리트로마이신 감수성인 연쇄구균, 포도구균, 폐렴연쇄구균, 미코플라스마, 디프테리아균 감염치료 구역, 구토,설사, 위장 증상 - 증상이 개선되더라도 전문가와 상의없이 투약중단 금지
항생제 클래리시드 건조시럽 Clarithromycin 127mg #2 PO 황색포도구균, 폐렴연쇄구균, 보르데텔라 백일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임균의 감염치료 (상·하기도 감염) 복부팽만감, 발진, 구역, 구토, 소화불량, 변비, 발열,어지러움 - 복용 전 흔들어서 사용 - 물에 녹여서 사용 - 조제 후 실온보관하고 14일 이내 사용
진해 거담제 코푸시럽에스 Cough-S Syrup Ammonium Chloride 5ml #3 PO 기침, 가래 완화 발진, 발적, 가려움, 구토, 식욕부진, 어지럼, 배뇨곤란, 목마름, 불안, 떨림, 불면 - 복용 중 음주 금지 - 졸음이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자동차 운전 또는 기계류의 운전조작 피할것
진해 거담제 시네츄라시럽 (15mL) Coptis Rhizome Butanol Dried Ext, Ivy Leaf 30% Ethanol Dried Ext 5ml #3 PO 기침, 가래 : 급성 상기도 감염, 만성 염증성 기관지염 구강건조, 변비, 딸꾹질, 졸림, 불면증, 진전, 두근거림, 갈증 - 만 24개월 미만의 영아는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투여
비효과적 호흡양상 구분 약물 용량/경로 효능(주효과) 부작용 비고
기관지 확장제 삼아아토크 건조시럽 Formoterol Fumarate Hydrate 2g #2 PO 기도폐쇄성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여러 증상의 완화 두통, 구갈, 구내염, 식욕부진, 소화불량, 구역, 구토, 복통 투여초기에 일시적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손이 떨릴 수 있음
점액용해제 소아용 뮤코론시럽 Carbocysteine 400mg #4 PO 객담(가래) 배출곤란 구역, 구토, 발진, 복부팽만감, 습진 ·· - 24개월 미만 금기
기타 구분 약물 용량/경로 효능(주효과) 부작용 비고
혈액대용제 이노엔0.9%생리식염주사액 (250mL) Sodium Chloride 250ml 1# IV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대량·급속 투여시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 전해질 이상 -
혈액대용제 5%포도당가엔에이케이주1 (1000mL/백) Glucose,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1000ml 1# IV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ㆍ전해질 보급 및 에너지...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Ⅰ 제2판. 윤희옥 외. 현문사.
아동간호학Ⅱ 제2판. 윤희옥 외. 현문사.
최신아동간호학Ⅰ. 홍경자 외. 수문사.
최신아동간호학Ⅱ. 홍경자 외. 수문사.
기본간호학Ⅰ. 손정태 외. 현문사.
기본간호학Ⅱ . 손정태 외. 현문사.
기본간호중재와술기. 송경애 외. 수문사.
정용선, 이용화, 박기원, 이자형. (2008). 아동의 발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대처방법.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1(2), 105-114.
Yong Sun Jeong, Yong Hwa Lee, Ki Won Park, Ja Hyung Lee. (2008). Parent`s Knowledge and Cope of Their Child Fev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11(2), 105-114.
김순주, 김상은, 김종현, 이정현, 오진희, 고대균, 성화영, 유재연. (2009). 영아 백일해의 임상 양상.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16(2), 167-174.
Soon Ju Kim, Sang Eun Kim, Jong Hyun Kim, Jung Hyun Lee, Jin Hee Oh, Dae Kyun Koh, Hwa Young Sung, Jae Yon Yu. (2009). The Clinical Features of Pertussis in Infancy. Pediatr Infect Vaccine, 16(2), 167-174.
서혜경, 김란희, 김성헌, 김혜영, 박수은, 박희주, 이승주, 김혜정. (2011). DTaP 접종력이 없는 3개월 미만 영아의 백일해 3례.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1(1), 56-60.
Hyung Kung Seo, Ran Hee Kim, Seong Heon Kim, Hye Young Kim, Soo Eun Park, Hee Ju Park, Seung Ju Lee, Hye Jung Kim. (2011). Three Cases of Pertussis in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without Immunization of DTaP.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1(1), 56-60.
김경효. (2013). 다시 출현하는 감염병: 홍역, 볼거리, 풍진, 백일해의 진단을 중심으로.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0(3), 115-122.
Kyung-hyo Kim. (2013). Reemerging Old Infectious Diseases: Diagnosis of Measles, Mumps, Rubella, and Pertussis. Pediatr Infect Vaccine, 20(3), 115-122.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질병관리본부 KCDC 예방접종 도우미, 예방접종 주의사항 및 금기사항 참고
https://nip.cdc.go.kr/irgd/introduce.do?MnLv1=1&MnLv2=3
최신 아동간호학 총론 (이수연 등, 2019). PP. 385-392
네이버 지식백과 예방접종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592&cid=40942&categoryId=3274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646&cid=51004&categoryId=51004
-『 목요세평] 꼭 필요하지만 잘 모르는 국가 예방접종』, 『『 충청투데이 』』, 2019-11-06.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3555, 2019-11-06 )
이수진, 최명애, 안경주 공저(2022). 기초간호과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기초간호학회, 대한미생물학회(2018). 간호미생물학. 서울: 현문사.
김연정 등(2017).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 서울: 엘스비어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