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통점 차이점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개념
2.1. 사회과학의 정의
2.2. 사회과학의 분야
2.3. 자연과학의 정의
2.4. 자연과학의 분야
3.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공통점
3.1. 과학적 방법론의 공유
3.2. 객관적 탐구를 통한 법칙 규명
4.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차이점
4.1. 연구 대상의 차이
4.2. 예측과 일반화 능력의 차이
4.3. 법칙성과 관습성의 차이
4.4. 이론과 구성적 의미의 차이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물의 현상에 관한 보편적 원리 및 법칙을 알아내고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식 체계를 우리는 과학이라고 한다. 과학은 어떤 학문이나 활동이 다루고 있는 대상이 무엇인가에 따라 그것이 과학인지 아닌지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다루는 연구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과학은 인간이 관찰할 수 있는 모든 현상에 내재하고 있는 진리를 객관적인 접근방법으로 규명하여 보편적인 진리로 인식하고 그것을 응용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탐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고, 자연과학은 자연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과학이라 할 수 있다."
2.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개념
2.1. 사회과학의 정의
사회과학(社會科學, social science)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인 사회 현상을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동원해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 즉 인간 공동체 내의 현상들 중에서 사회생활의 경제적 측면, 정치적 측면, 행정적 측면, 법적 측면, 사회적 측면 등을 다룬다"" 사회과학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사회학, 정신과학, 문화과학, 인문과학, 인간과학 등의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사회과학이라는 용어는 19세기 후반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사회과학은 연구하고자 하는 사회 현상에 대해 정의하고 변인을 분석하여 가설을 세우고 그에 따른 예측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특성을 가진다""
2.2. 사회과학의 분야
사회과학이 다루는 사회 현상은 사회 그 자체의 구성에서부터 사회에서 일어나는 경제, 정치, 문화적인 사건뿐만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인 개인의 심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사회과학을 응용과 기초로 나눈다면 그 기준은 인간 행동과 사회구조를 일반화하는 모형을 만드느냐로 볼 수 있다. 여기서 기초분야에는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지리학, 인류학 등이 속한다. 그리고 응용분야에는 법학, 행정학, 경영학, 정책학, 커뮤니케이션학, 사회복지학 등이 속한다""
...
참고 자료
임희규, 「사회복지학개론」, 광문각, 2008
김태성,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2012
최선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공동체, 2012
채구묵,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2013
윤선오 외, 「사회복지조사론」, 양성원, 2016
초의수,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9
노성호,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박영사, 2020
최선희,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공동체, 2012
원석조, 「사회복지조사론」, 공동체, 2012
윤선오 외, 「사회복지조사론」, 양성원, 2016
초의수,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9
노성호,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박영사, 2020
천병수, 「자연과학의 이해」, 청문각, 2015
김유신, 「융합연구 : 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대동철학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