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프테리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10.13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디프테리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감염성 질환 개요
1.1. 디프테리아
1.1.1. 개요
1.1.2. 진단
1.1.3. 치료
1.1.4. 예방
1.1.5. 환자관리

2. 수족구병
2.1. 질병 개요
2.2. 임상 증상
2.3. 치료 및 합병증
2.4. 간호

3. 수두
3.1. 질병 개요
3.2. 임상 증상
3.3. 치료 및 합병증
3.4. 간호

4. 홍역
4.1. 질병 개요
4.2. 임상 증상
4.3. 치료 및 합병증
4.4. 간호

5. 백일해
5.1. 질병 개요
5.2. 임상 증상
5.3. 치료 및 합병증
5.4. 간호

6. 소아마비
6.1. 질병 개요
6.2. 임상 증상
6.3. 치료 및 합병증
6.4. 간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감염성 질환 개요
1.1. 디프테리아
1.1.1. 개요

디프테리아는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상기도와 피부의 국소 질환이며, 급성 박테리아성 독소 감염을 일으킨다. 디프테리아균은 길이 1-8㎛, 폭 0.3-0.8㎛인 그람양성 간균이지만 염색성은 일정하지 않다. 아포는 없고, 혐막과 운동성도 없는 형태가 다양한 세균이며,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로 염색하면 이염과립(metachromatic granule)이 보인다.

균이 인후에 감염되면 독소를 생성해서 세포의 단백질 생산을 방해하고 주위 조직을 파괴하며 위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위막에 있는 독소는 흡수되어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퍼져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디프테리아 독소는 심근염, 신경염, 혈소판 감소증, 단백뇨 등 주요 합병의 원인이다.

그러나 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균주에 의해 감염된 경우에는 위막 형성 없이 경한 인두염을 발병시킨다. 디프테리아는 1883년 Kelbs에 의해 최초로 균이 관찰되었고 19세기 후반 항독소가 개별된 이래 1920년대에 이르러 톡소이드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백신으로 사용되고 있다.


1.1.2. 진단

병변 부위의 세균 배양검사가 디프테리아 확진 방법이며, 인두, 궤양이 형성되었거나 변색이 있는 부위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배양한다. 배양에서 디프테리아가 검출되면 독소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막에서 검체를 체취해서 그람염색과 Kenyou염색을 하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 디프테리아의 치명률은 빠른 진단과 치료 여부에 달려 있으므로 일단 임상적으로 디프테리아가 의심되면 지체없이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감염에 의한 후두염, 발작성 크룹, 이물 흡인, 바이러스성 후두 및 기도염 등이 있다. 유행지역에서 인두 부위의 막성삼출물이 보이면 디프테리아를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추정진단 시 검체에서 C.diphtheriae 분리 동정하며 확진진단 시 검체에서 독소생성 C.diphtheriae 분리 동정 후 확인이 되면 독소 유전자 검출을 한다.


1.1.3. 치료

디프테리아 환자는 항독소 및 항생제 투여하고 격리한 후 침범 부위에 따라 2-4주간 절대 안정을 취해야 하며, 호흡기 관리와 기도유지를 해야한다. 디프테리아 환자는 증상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의심될 시에는 배양검사를 확인 전이라도 항독소 혈청을 투여하여야 한다. 항독소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정맥 투여 전 피부 반응 검사로 확인을 한 후 투여해야 한다.

항생제 치료는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을 경구 또는 정맥으로 14일간 투여 또는 페니실린 G를 근육 주사로 14일간 투여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 외 클린다마이신이나 테트라사이클린, 리팜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치료를 종료하고 24시간 이후에 24시간의 간격을 두고 시행한 두 번의 배양검사에서 음성임이 확인될 때 균의 완전 제거를 확인할 수 있다.

병의 중증도나 병변 부위 정도에 따라 2-10만 단위를 IM주사하고, 중증에서는 IM주사와 함께 IV주사를 한다. 이어서 항생제를 투여하는데 페니실린G(소아 25,000~50.000단위/kg일, 성인120만단위/kg/일) 또는 에리트로마이신(40~50 mg/kg/최대 2g/일)을 2회에 나누어 PO투여가 가능할 때까지 IV주사 한다. PO투여가 가능하게 되면 페니실린V(0.5~1g/일)를 하루 4회로 나누어 또는 에리트로마이신(상기량)을 전체 치료 기간이 14일이 되도록 투여한다.


1.1.4. 예방

디프테리아는 백신의 보급으로 인하여 최근 국내에서의 발생이 극히 드물어졌다. 과거에는 15세 이하 연령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소아에서는 거의 발생 예가 없으며 반면 추가 접종률이 낮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7년 이후 새로운 환자 보고가 없을 정도로 백신에 의하여 발생이 잘 조절되고 있다. 그러나 20대 이후 성인 연령에서 디프테리아에 대한 면역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성인형 파상풍-디프테리아 백신을 통한 면역력 유지가 필요하다."


1.1.5. 환자관리

디프테리아 환자는 환자나 보균자와의 직접접촉에 의해 감염되고, 드물게 분비물을 통한 간접감염이나 생우유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직접 접촉에 의한 전파를 막기 위한 격리가 중요하다. 표준격리에 추가로 비말 격리를 실시한다. 인두 디프테리아 환자는 격리하여 치료하며, 환자의 분비물은 신체물질 격리방법에 준해 처리한다. 피부 디프테리아 환자의 병변 부위를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환자와 접촉한 자에게는 예방 투약이 권장된다. 페니실린 1회 정주 또는 에리트마이신 (소아는 40mg/kg/일,성인은 1g/일,4회/일)을 7-10일간 PO투여한다. 또한, 백신 미접종자는 누락된 접종을 연령별 일정에 따라 실시하고 7일간 임상 증상 발현 여부를 적극 관찰해야 한다. 항생제 치료 후 24시간 이상이 경과한 다음,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채취한 비강 및 인두 부위 (피부형에서는 피부도 필요)의 검체에서 모두 균이 음성이면 격리는 해제시켜도 좋다. 임상적으로는 14일간의 치료가 끝나면 격리는 해제된다."


2. 수족구병
2.1. 질병 개요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질병이다. 주로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호흡기 분비물, 배설물, 수영장, 보육시설 등 밀접한 장소에서 전파된다. 잠복기는 평균 3~10일이다. 손등,...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 [제2군] 디프테리아. 2008-03-02(최종수정:2012-08-05)
http://www.cdc.go.kr/board.es?mid=a20503050000&bid=0021&act=view&list_no=127817#serch
예방접종관리과. 디프테리아 사례(프랑스남부지역). 2011-05-23
https://nip.cdc.go.kr/irgd/support.do?service=getTrendView&strNum=116&GUISEQNUM=116
예방접종도우미.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https://nip.cdc.go.kr/irgd/introduce.do?MnLv1=2&MnLv2=3&MnLv3=1
예방접종관리과.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디프테리아). 2017-05-17
https://nip.cdc.go.kr/irgd/reference.do?service=getGuideView&strNum=122&GUISEQNUM=122
질병관리본부 국가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6100
김해시보건소
http://www.gimhae.go.kr/00976/01553/01655.web
관악구보건소. 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
https://www.gwanak.go.kr/site/health/03/10304050300002016051311.jsp
남해군보건소.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백신
https://www.namhae.go.kr/health/Index.do?c=HF0305030000
이광철 기자. 콜레라 휩쓴 예멘, 이번에는 디프테리아 확산. 2018-01-05
https://www.yna.co.kr/view/AKR20180104177451088?input=1195m
TODAR’S ONLINE TEXTBOOK DF BACTERIOLOGY (kennth todar, ph.d) – Diptheria (kennth todar, ph.d)
MEDICAL MICROBIOLOGY 교과서
구상현 외 4명(2014) 대한피부과학회지 (대한피부과학회) 『수족구병 발병 후 발생한 손발톱탈락증 』
이용우 외 5명(2015), 대한피부과학회지 (대한피부과학회) 『가족 내 전염에 의해 건강한 성인에서 발생한 수족구병』
김미예 외(2015), 수문사, 『최신 아동건강 간호학』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