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국 문학의 발생과 형성
1.1. 초기 미국 문학의 특징
1.1.1. 청교도 문학
청교도 문학은 초기 미국 문학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청교도들은 새로운 세계로의 이주를 통해 자유와 종교적 신념을 추구하였고, 이는 그들의 문학 작품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먼저, 청교도 문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캡틴 존 스미스와 메리 롤랜드슨을 들 수 있다. 캡틴 존 스미스는 다양한 계층의 독자들을 두루 보유했던 작가로, 자신의 수감 경험과 노예 경험, 포카혼타스에 관한 글로 유명하다. 그의 작품들은 신대륙에 정착하고자 했던 사람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한편 메리 롤랜드슨은 청교도 목사의 부인으로, 자신이 포로로 잡혀갔던 경험을 담은 포로 수기를 집필하였다. 그녀는 인디언을 악마로 보고, 자신의 신앙 생활에 혼란을 겪었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다음으로 윌리엄 브래드퍼드와 존 윈드롭을 들 수 있다.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인디언과의 관계와 초기 정착의 어려움을 다뤘으며, 이를 모두 신의 뜻으로 해석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존 윈드롭은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이주한 이들이 돈이 아닌 신앙을 위해 그곳에 왔다고 역설했으며, "언덕 위의 도시"라는 이상향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청교도 문학은 신앙과 종교적 색채가 강하게 드러나는 특징을 보인다. 그들은 모든 현상을 신의 뜻으로 해석하며, 선과 악의 이분법적 관점에서 자신들의 역사를 서술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초기 미국 정착민들의 삶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미국 문학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1.1.2. 영국 문학 전통의 추구
영국 문학 전통의 추구는 초기 미국 문학이 갖는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신대륙에 정착한 미국 작가들은 유럽, 특히 영국의 문학 유산을 모방하고 계승하고자 하였다. 이는 새로운 정체성 형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초기 미국 작가들은 영국 문학의 영향 속에서 자신들만의 목소리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워싱턴 어빙은 영국의 낭만주의와 고전주의의 전통을 수용하며, 동시에 뉴욕의 지방색을 반영한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 어빙은 많은 영국 작가들의 소재와 문체를 차용하였지만, 이를 미국적 정서와 배경에 맞게 변용하여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형성하였다.
제임스 펜모어 쿠퍼 또한 영국 로맨틱 소설의 영향 아래에서 미국적 서부 개척의 역사와 원주민과 백인의 갈등을 다뤘다. 그의 작품 속 주인공 내티 범프포는 영국 작품의 전형적인 영웅상과는 구분되는 독특한 미국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 낭만주의와 리얼리즘의 전환기에 활동한 나다니엘 호손, 허먼 멜빌, 에드거 앨런 포는 영국 문학의 고딕 소설 및 심리 소설 전통을 바탕으로, 미국 특유의 어두운 내면과 불안을 천착하며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
이처럼 초기 미국 문학은 영국 문학 전통을 토대로 성장하였지만, 동시에 미국적 정체성 확립을 위해 기존의 유산을 변용하고 혁신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미국 문학은 점차 독자적인 면모를 갖추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1.1.3. 미국적 정체성 형성
미국적 정체성 형성은 청교도 문학과 영국 문학 전통의 추구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청교도 정착민들은 신대륙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며 유럽 문화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청교도 신앙과 가치관을 기반으로 하여 자신들만의 고유한 문화를 만들어갔다. 특히 인디언과의 접촉,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 등을 통해 전통적인 유럽 문화와는 다른 새로운 문화가 발현되었다.
한편 영국 문학 전통을 계승하고자 했던 초기 미국 작가들의 노력도 미국적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유럽의 문화유산과 문학적 전통을 바탕으로 하되, 미국이라는 새로운 환경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해나갔다. 특히 워싱턴 어빙과 제임스 펜모어 쿠퍼 등은 미국의 지방색과 역사를 작품에 담아내며 미국만의 독특한 문화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처럼 초기 미국 문학은 청교도 정신과 영국 문학 전통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미국적 정체성을 만들어내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노력은 향후 낭만주의와 리얼리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등 다양한 문학 사조를 거치며 더욱 구체화되고 발전되어 나갔다. 결국 미국 문학은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실험장이자 실천의 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1.2. 독립전쟁과 새로운 국가 건설
1.2.1. 건국 이념과 독립선언
미국 건국 이념과 독립선언은 미국 문학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식민지 시절부터 존재했던 영국 문화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립을 쟁취하면서 미국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 것이다.
건국의 초석이 된 바로 이 독립선언서는 토마스 제퍼슨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당시 혁명사상과 계몽주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제퍼슨은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불가양의 권리인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가지고 있다고 천명했다. 이는 신민이 아닌 시민으로서의 자격을 천명한 것이었다. 또한 국민주권과 저항권도 명시하여 정부는 국민의 동의에 의해 성립되며, 정부가 국민의 권리를 침해할 경우 국민은 이에 저항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로써 미국의 건국 이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