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결장(Colon)의 해부생리
1.1. 결장의 구조와 기능
결장은 대장의 일부로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이다. 결장은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구불결장의 4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의 길이와 형태가 다르다. 결장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적으로 결장은 소장보다 지름이 크고 융모가 없으며 점액을 분비한다. 회장에서 내려온 장 내용물은 결장을 지나면서 대변이 된다. 결장의 주요 부위인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에서는 전해질과 수분이 흡수되고 세균성 발효가 일어나며, 하행결장과 구불결장에서는 대변이 되어 직장을 통해 배출된다.
기능적으로 결장은 소화과정의 마지막 단계를 담당한다. 결장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잔류 수분과 요소, 전해질(나트륨, 염소 이온 등)을 흡수하여 대변을 형성한다. 둘째, 근위결장에서 점액을 분비하여 대변의 윤활작용을 돕는다. 셋째, 원위결장에서 대변을 저장하였다가 배출한다.
이처럼 결장은 소화기관 중 대장의 일부로, 수분과 전해질 흡수, 점액 분비, 대변 저장 및 배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대장 전체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1.2. 결장의 주요 부위
결장의 주요 부위는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구불결장으로 구성된다. 맹장은 맹장(caecum)과 충수돌기(vermiform appendix)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장과 대장이 연결되는 부위이다. 상행결장은 맹장에서 시작하여 간 아래쪽으로 주행하는 부위이다. 횡행결장은 상행결장에서 시작하여 가로질러 좌측 복부로 주행하는 부위이며, 하행결장은 횡행결장에서 시작하여 하행하는 부위이다. 구불결장은 하행결장에서 시작하여 S자 모양으로 주행하다가 직장으로 이어지는 부위이다.""
2. 결장암(Colon Cancer)
2.1. 정의 및 발생률
결장암(Colon Cancer)은 대장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의미한다. 결장암은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결장암은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며, 남녀 발생률은 비슷한 편이다. 악성종양의 약 70%는 결장 원위부(구불창자, 직장)에서 발생한다"이다.
2.2. 위험요인
결장암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50세 이상의 고령이다. 결장암은 주로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는데, 이는 나이가 들수록 결장 용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70대 이상에서는 결장암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한다"".
둘째, 가족력이다. 직계 가족 내에 결장암이나 가족성 선종성 용종이 있는 경우 결장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전체 결장암의 10-35%는 유전적 소인과 관련이 있으며, 5%는 명확히 유전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궤양성 대장염 등의 염증성 장질환 병력이다. 염증성 장질환 진단 8-12년 후 결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넷째, 대장 용종 또는 선암 병력이다. 대장 용종이 악성화되어 결장암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용종 병력이 있는 경우 결장암 위험이 높다"".
다섯째, 흡연이다. 흡연자의 결장암 사망률이 비흡연자에 비해 30-40%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섯째, 저섬유소 식이와 고지방 식이이다. 저섬유소 식이는 소량의 변을 형성하여 장내 통과시간이 지연되므로 발암물질과 장점막의 접촉시간이 길어져 위험요인이 된다. 또한 지방 음식과 육류의 과다 섭취도 결장암 발생과 관련된다"".
일곱째, 신체활동 부족이다. 신체활동은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켜 대변의 장내 체류시간을 줄이므로, 운동 부족은 발암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덟째, 과도한 음주이다. 하루 30g 이상의 알코올(소주 2-3잔 정도)을 섭취하는 경우 결장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결장암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가족력, 염증성 장질환, 대장 용종, 흡연, 식이, 신체활동 부족, 과도한 음주 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결장암 예방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3. 병태생리
대부분의 결장암은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화 되는 것은 크기, 조직학적 형태 및 이형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는데, 용종이 악성으로 변이되기까지 약 5~12년이 걸린다.
종양은 주로 간으로 침범하는데, 그 이유는 결장직장 종양으로부터의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악성종양은 위장에서부터 가로결장까지 인접해 있는 기관에 직접 침범함으로써, 간으로는 림프와 혈액을 통해서, 복강 내로는 암세포가 직접 퍼지거나 또는 이식되어 침범한다.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또한 직접 침범되고, 방광과 장 사이 혹은 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기며 혈액을 통하여 폐, 콩팥 및 뼈까지 전이되기도 한다.
결장직장암은 Dukes 분류와 TNM 분류를 사용하여 종양의 단계를 결정하는데, 단계는 종양의 크기가 아니라 침윤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2.4. 증상 및 징후
결장암의 증상 및 징후는 매우 다양하며 비특이적이어서 질병이 진행될 때까지 잘 나타나지 않는다"" 가장 흔한 증상은 직장 출혈이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출혈로 인해 병원을 찾게 된다"" 그 외에도 배변 습관의 변화, 이급후증, 장폐색, 복통, 체중 감소, 식욕 부진, 오심과 구토, 빈혈과 종괴가 만져지는 증상 등이 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배변습관의 변화, 복통, 체중감소, 하혈이 있으며, 위치에 따라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데 우측 대장암은 빈혈, 복부종괴, 복통, 피로감, 무기력이 주증상이고 좌측 대장암은 대변의 굵기가 가늘어짐,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