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예술에 대한 다양한 견해
1.1. 예술의 자기 충족성과 심미성
예술의 자기 충족성과 심미성은 예술이 그 자체로 가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는 예술이 사회적 도덕적 기여보다는 오직 예술 그 자체의 아름다움과 심미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장에 따르면 예술은 예술가의 창조성과 개성을 발현하는 것이 핵심이며, 그 자체로 완결된 것이어야 한다. 예술의 가치는 외부적 기준이나 목적에 의해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작품 내부의 형식적 측면과 감각적 요소에 의해 정해진다. 즉 예술작품의 심미적 완성도와 예술가의 창의성이 가장 중요할 뿐, 사회적 기여나 교훈적 의미는 부차적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예술은 현실 세계와 단절된 채 자기 완결적으로 존재해야 하며, 작품의 의미보다는 작품 그 자체의 아름다움과 세련됨이 핵심적 가치가 된다. 예술가는 단순한 감각적 쾌락을 제공하는 것 외에 어떠한 사회적 역할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중요한 것은 작품이 관람객의 심미적 감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이러한 입장은 예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을 강조하며, 예술을 현실과 분리된 독립적인 영역으로 간주한다. 예술이 사회적 맥락이나 현실의 문제에 얽매이지 않고 오롯이 창조성과 심미성 자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보장하려는 것이다.
1.2. 예술의 실용성과 사회적 기여
예술의 실용성과 사회적 기여란 예술이 단순한 미적 향유의 대상을 넘어 실용적이고 공공의 영역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견해이다.
제시문에 따르면, 예술은 사회적 반응과 요구에 의해 의미를 부여받으며, 인성을 창조하고 인간의 고통을 해결하는데 쓰임받는다. 예를 들어, 음악은 심성을 교화시켜 사회구성원 간의 조화로움을 만든다. 유교의 "예에 사람이 서고, 악에서 사람이 완성된다"는 관념에 따르면, 음악은 도덕적이면서 조화로운 인격을 향상시키고 공동체의 안녕에 기여한다"" 이처럼 예술은 단순히 심미적인 가치를 넘어 실용적이고 사회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예술은 단순히 개인의 만족감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 전체의 이해관계와 가치를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 제시문에 따르면, 예술은 사회적 반응과 요구 속에서 의미를 얻으며, 교육적 기능을 갖는다. 즉, 예술은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전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예술의 실용성과 사회적 기여는 예술이 단순한 심미적 향유의 대상을 넘어 사회적 가치와 공공의 이해관계를 대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술은 개인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전체의 도덕적, 교육적, 그리고 정서적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1.3. 예술과 도덕성의 관계
예술과 도덕성의 관계는 오랫동안 철학자들과 예술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일부 학자들은 예술이 도덕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이들은 예술이 도덕과 무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시문 3은 예술이 도덕적 성격을 지녀야 한다는 입장을 대변한다. 이 제시문은 특히 음악이 심성을 교화시키고 사회구성원 간의 조화를 만든다고 설명한다. 즉, 음악은 도덕적이면서도 조화로운 인격을 함양시키고 공동체의 안녕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예에 사람이 서고, 악에서 사람이 완성된다"는 표현은 예술이 도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제시문 1과 4는 예술이 도덕과 무관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여준다. 제시문 1은 예술이 "보편성과 전체성과 거리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