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실조기수축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문헌 고찰
2. 본론
2.1. 자료수집
2.1.1. 대상자 간호 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1.2. 대상자 사정
2.1.3. Chart review
2.2. 간호 과정
2.2.1. 간호 진단 목록
2.2.2. 간호 과정
3. 사례 보고
3.1. 대상자 간호 사정
3.2. 진단검사
3.3. 약물 조사
4. 간호과정
4.1. 전체 간호진단
4.2.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은 구조적 심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흔한 빈맥성 부정맥으로 심실성 부정맥보다는 치명도가 낮지만 가슴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흉통, 현기증, 실신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자주 재발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한다". 대부분의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회귀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로 발생 원인을 정확히 감별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 및 논문이 현저히 적으며 원인별 효과적인 치료법과 간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들을 간호하게 될 미래의 임상 실무자들에게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환자 및 보호자에게 요구되는 건강행위 및 간호를 효과적으로 실천하는데 발판이 되고자 한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의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기 위함이다.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구조적 심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흔한 빈맥성 부정맥으로, 심실성 부정맥보다는 치명도가 낮지만 가슴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흉통, 현기증, 실신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자주 재발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한다. 따라서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의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을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의 간호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의 경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이에 대한 간호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의 치료 후 질환 관리 간호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의 경우 고주파 도자 절제술 등의 치료 이후에도 질환 관리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간호 방법을 확인하고자 한다."
1.3. 문헌 고찰
문헌고찰에 따르면,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은 심실상부의 이소성 심박조절자에 의해 빠른 흥분이 갑자기 발생하는 상태로서, 심박동수가 150~250회/분으로 현저히 증가하는 상태이다. 이는 흥분의 회귀장애로 발생되며, 심실상부의 이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QRS모양은 일반적으로 정상이다.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정상인에서도 나타나지만, 흔히 심장 문제가 있는 경우에 나타난다고 한다.
원인으로는 ①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AV nodal reentrant tachycardia)과 ② 불현성 우회로를 이용한 방실회귀성 빈맥(AV reentrant tachycardia utilizing concealed bypass tract)이 있다. 전자는 전기 전도 속도가 빠른 급속 방실결절로와 전도 속도가 느린 완속 방실결절로에 의해 발생하며, 후자는 심방과 심실 사이에 정상적으로 있는 방실 전도로인 방실결절 이외에 심방과 심실 사이에 심근조직으로 구성된 우회로(bypass tract)가 있어서 발생하는 빈맥이다.
임상증상으로는 주로 심계항진을 호소하지만,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저혈압, 호흡곤란, 흉통, 어지럼증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발작이 시작되고 끝나는 순간을 자신이 분명하게 알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발작은 몇 초에서 몇 시간까지 지속된다.
진단은 EKG를 통해 빈맥이 기록되어 확진할 수 있으며, Holter 모니터나 사건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전극도자를 심장에 넣어 심장의 전기흐름을 기록하고, 자극을 가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을 분석할 수 있다.
치료 및 간호로는 adenosin, verapamil, digoxin 등의 약물치료와 전기적 심장리듬전환술(Cardioversion), 고주파 도자 절제술(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A) 등의 치료법이 있다. 약물치료와 더불어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와 심전도를 모니터링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를 관찰하며,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2. 본론
2.1. 자료수집
2.1.1. 대상자 간호 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대상자 간호 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환자의 이름은 000이며, 73세의 남성 환자이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고 교육 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이며, 직업은 자유업이다. 종교는 없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과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었고, 약 20년 전 위암으로 위아전절제술을 받았으나 완치 판정을 받았다. 가족력에는 고혈압이 있다.
현재 호소하는 증상은 가슴...
참고 자료
최희정 외(2010). 소아 선천성 심장병 개심술 후 발생한 조기부정맥. 대한소아과학회. 53(4), 532-537
이선주(2010). 심전도 R-R 간격 정보를 이용한 심실조기수축 부정맥 검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민(2013), 심실조기수축,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Heart Rhythm Society, 14(3), 6-9.
김금순, 최경옥, 현경선,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소향숙, 김혜순 외(2014). 성인간호학 I, 수문사, 7(3), 825-826.
이영휘외 (2020) 성인간호학1 chapter 16.심혈관계 장애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심실빈맥”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39
서울대학교병원 질환백과 “심실빈맥”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225937&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장 초음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530&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전도 검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573&cid=51007&categoryId=51007
송파구보건소, "일반소변검사", https://www.songpa.go.kr/ehealth/contents.do?key=450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133867&cid=60408&categoryId=5958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75
이은희 외 7인(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26-319.
최명애 외 6인(2021). 임상약리학. 현문사. 179-200.
양선희 외 8인(2021).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22-240, 293-294.
이명휘 외 61인(2020). 간호과학의 임상적용을 위한 성인간호학Ⅰ. 학지사메디컬. p503-514.
양선의 외 193인(2021). 핵심 기본간호수기. 현문사. 430-468.
이누리(2020).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의 원인별 유병률의 변화.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