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유정의 봄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김유정의 생애
1.1. 김유정의 가정환경
1.2. 김유정의 학창시절
1.3. 김유정의 폐결핵 투병과 작품 활동
2. 봄봄의 줄거리
3. 봄봄 작품 분석
3.1. 데릴사위 제도와 갈등 구조
3.2. 해학성과 유머
4. 봄봄의 해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김유정의 생애
1.1. 김유정의 가정환경
김유정의 가정환경은 그의 문학 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김유정은 1908년 1월 11일 강원도 춘천부 남내이작면 실레에서 8남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고향 실레는 김유정 문학의 산실로, 대부분의 작품들이 실레 마을의 풍경과 인물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김유정은 고향을 "저 강원도 산골이다. 춘천읍에서 한 20리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이다. 앞뒤 좌우에 묻힌 아늑한 마을이다.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 집이래야 쓰러질 듯한 헌초가요, 그나마도 50호밖에 못되는 촌락이다."라고 묘사한다.
김유정의 집안은 천석지기의 지주였고, 서울에도 백여 칸의 집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부유했다. 하지만 김유정이 7살 때 어머니를, 9살 때 아버지를 잃으면서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다. 더욱이 집안을 책임지고 있던 큰형의 방탕한 생활로 인해 가세는 급격히 기울어갔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김유정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어린 나이에 부모님을 잃은 김유정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에 사무쳐 했으며, 이는 성장 후에도 계속되었다. 그는 자신이 말하는 그리움이란 모두 어머니에 대한 환상이었다고 말할 정도였다.
이러한 가정 환경 속에서 김유정은 점차 혼자만의 세계로 빠져들었고, 오랫동안 말더듬이 증상을 보이기도 했다. 문학평론가 김윤식은 "이 같은 언어장애 현상 속에 김유정 특유의 표현 의욕이 잠재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가정의 몰락과 함께 김유정은 마을의 주막집을 드나들며 집시와 같은 생활을 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경험들은 그의 문학 세계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1.2. 김유정의 학창시절
김유정의 학창시절은 1920년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면서 시작된다. 당시 김유정은 7살 때 어머니를, 9살 때는 아버지를 여읽은 뒤 가세가 기울어 집안 형편이 어려웠다. 이에 김유정은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한 후 1930년 서울의 연희전문 문과에 입학하였으나 곧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오면서 학업이 중단된다. 가난한 처지에서 온전히 학업에 전념하지 못하고 집안 형편에 곤란을 겪으며 공부를 해야 했던 것이다.
이후 고향 집이 큰형의 방탕한 생활로 전 재산이 탕진된 상태에서 김유정은 마을의 주막집을 드나들며 집시와 같은 생활을 하고 들병이들과 어울린다. 이러한 경험은 김유정의 문학 세계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들병이는 남편 있는 여인이 시골 주막으로 돌아다니며 술과 몸을 파는 것을 말한다. 들병이의 남편은 아내를 매음시켜 생계를 꾸릴 뿐 아니라 그것을 즐기기조차 한다. 이...
참고 자료
김유정 저, 신두원 편, 《봄봄》, 사피엔스21, 2012.
김영민, 이왕주 저, 《소설 속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1997.
문학사전편집위원회 엮음, 《문학사전》, 강, 1997.
문승준, 이재인 엮음, 《우리소설 50선》, 성림, 1992.
이지훈, 김준우 해설, 《짬짬이 읽는 논술 한국문학2》, 삼성출판사, 2006.
김유정 저, 신두원 편, 《봄봄》, 사피엔스21, 2012.
김영민, 이왕주 저, 《소설 속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1997.
문학사전편집위원회 엮음, 《문학사전》, 강, 1997.
김유정 저, 《동백꽃ㆍ봄봄》, 책만드는집,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