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A4지 0.5페이지에 그 견해의 핵심을 요약하고, 0.5페이지에 본인이 그 견해를 옹호하는 이유를 기술합니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
2.1.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 개념 정의
2.2.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의 특징
2.3.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이 주는 시사점
2.4.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을 옹호하는 이유
3. 가장 부당한 설명: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3.1.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 핵심 요약
3.2.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관을 수긍할 수 없는 이유
4. 가장 부당한 설명: 홉스의 인간관
4.1. 홉스의 인간관 개념 정의
4.2. 홉스의 인간관의 특징
4.3. 홉스의 인간관이 주는 시사점
4.4. 홉스의 인간관을 수긍할 수 없는 이유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개인적 존재이자 동시에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은 개인적으로 인격을 함양하고 사회적으로 사랑을 실현하는 것이다. 서구의 근대적 인간관은 공동체로서의 사회보다는 개체로서의 개인의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인간관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킴에 있어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자유로워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는 책임의식이 수반되지 않을 때 무한한 방임주의로 흐르게 되며, 공동체의식을 외면할 때 개인적 이기주의로 고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맹목적 투쟁주의와 집단적 이기주의로 전락할 수도 있다. 오늘날 야기되고 있는 개인적·집단적 이기주의는 모두 자기가 속한 사회나 공동체보다는 개인의 자유와 자아실현에만 지나치게 집착하여 강조하는 데에서 초래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가 기초하고 있는 세계관인 서구 근대적 인간관과 사회관속에는 인간의 비인간화는 사회 구조의 산물이며, 사회 구조가 변동하면 자동으로 인간성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믿음이 담겨 있다. 이러한 사회 구조 결정론적인 시각으로 인하여 현대 사회의 인간관에서는 인간의 주체적 도덕적 노력의 중요성이 간과되어 사회제도적인 측면이 더 강조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서구의 근대적 세계관에 내포된 인간관과 사회관을 살펴보면 수기와 치인에 대한 인식이 다산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1.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그 견해를 옹호하는 이유를 기술 2. 이번에는 가장 부당한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견해 하나를 골라, 본인이 그 견해를 수긍할 수 없는 이유를 기술해 보겠다.
2. 인간에 관한 가장 타당한 설명: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
2.1.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 개념 정의
데이비드 흄은 경험주의 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인간을 이성보다 감정과 경험에 의해 움직이는 존재로 이해했다. 흄은 인간의 행동이 주로 감정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즉, 그는 인간이 감정적이며, 이성은 감정을 도구적으로 뒷받침하는 역할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흄에 따르면, 인간의 지식은 경험에 의존하며, 우리의 마음은 오직 감각 경험을 통해서만 정보를 얻는다. 또한 그는 인간의 본성이 사회적 영향을 받기 전에 이미 결정되어 있다고 주장했으며, 사회는 이러한 본성을 바탕으로 관습을 통해 발전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흄은 인간의 도덕성도 이성적 판단보다는 공감(sympathy)과 같은 감정에서 기원한다고 보았으며, 인간의 도덕적 행위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에서 나온다고 설명했다.
2.2. 데이비드 흄의 인간관의 특징
흄의 인간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흄은 인간의 행동이 주로 감정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감정적인 존재라고 보았으며, 이성은 감정을 따르는 도구적 역할에 불과하다고 설명하였다. 즉, 흄에 따르면 인간의 지식과 신념, 도덕적 판단 등은 이성보다는 감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흄은 인간의 본성이 사회적 영향을 받기 전부터 이미 결정되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사회는 이러한 인간의 감정적 본성을...
참고 자료
케네스 월츠 저. 2007. 정성훈 역. 『인간, 국가, 전쟁』. 아카넷.
신창호(2015). 교육철학 및 교육사. 서울: 박영스토리.
목광수. 2012. 「홉스의 이성 개념 고찰: 『리바이어던』의 “어리석은 사람” 논의를 중심으로」. 『철학논총』 .
이준호 「홉스의 인간론에서 정념과 이성」 『哲學硏究』 vol 2, 대한철학회, 2007.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2013). 니코마코스 윤리학(NE). 서울: 숲.
강상진(2003). 아리스토텔레스의 필리아(philia). 인간연구 제4호.
윤희조(2001).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대한 정의적 해석-『니코마코스윤리학』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2016, ‘철학의이해’,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김성환. 철학의이해.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1.
이석호. 인간의 이해.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김은철. 철학의 이해. 경기도: 양성원, 2023.
이정호, 유현상, 박은미, 한길석 (2016),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