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즈 차원바꾸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10.12
11,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트리즈 차원바꾸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트리즈(TRIZ)의 개요
1.1. 트리즈의 정의와 배경
1.2. 트리즈의 역사와 발전
1.3. 트리즈의 기본 가정
1.4. 트리즈와 창의성, 혁신의 관계

2. 트리즈의 기본 개념
2.1. 기능 분석
2.2. 문제일반화
2.3. 시스템적 사고
2.4. 이상해결책(IFR)
2.5. 모순
2.6. 자원

3. 트리즈의 40가지 발명 원리
3.1. 발명 원리의 정의 및 사례

4. 트리즈의 기술 모순 매트릭스
4.1. 기술 모순 매트릭스의 구조 및 활용
4.2. 물리적 모순 해결을 위한 '분리의 법칙'

5. 트리즈의 문제 해결 프로세스
5.1. 문제 분석
5.2. 아이디어 도출
5.3. 아이디어 구체화

6. 트리즈의 주요 유형
6.1. Classical TRIZ
6.2. Contemporary TRIZ
6.3. Business TRIZ

7. 트리즈의 한계 및 극복방안

8. 트리즈의 국내외 활용사례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트리즈(TRIZ)의 개요
1.1. 트리즈의 정의와 배경

트리즈(TRIZ)는 러시아 학자 겐리히 알트슐러(Genrich Altshuller)가 창안한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론"이다. 알트슐러는 1926년 10월 15일 구 소련에서 태어났으며, 14세에 잠수장비와 관련된 첫 특허를 취득하는 등 발명에 재능을 보였다. 이후 석유화학 공대를 졸업한 알트슐러는 1946년부터 소련 해군에서 특허 심사 업무에 종사하면서 "모든 발명 과정에는 공통의 법칙과 패턴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에 관한 가설을 세우게 된다. 이것이 바로 트리즈의 기반이 된 가설로, 문제 해결의 일반 원리가 존재한다는 내용이었다. 기존에는 발명, 문제 해결, 창의성 등이 정신적 특성으로 일종의 재능의 결과물로 여겨졌으나, 알트슐러의 가설은 당시 매우 혁신적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기술과 공학 모순을 해결하는 이론을 세우게 되는데, 이는 몇 가지 경향, 원리, 효과 등에 대한 내용이었다.


1.2. 트리즈의 역사와 발전

트리즈의 역사와 발전은 다음과 같다:

겐리흐 알츠슐러(1924~1998)가 1946년부터 17년 동안 러시아 특허 20만 건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된 기술의 밑바탕에 있는 아이디어 패턴이 수십 가지에 불과했음을 발견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아이디어 패턴 40개를 뽑아내 "트리즈(TRIZ)"라는 이론을 정립했다. 즉, 트리즈는 겐리흐 알츠슐러가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으로 개발한 이론이다.

알츠슐러는 1940년대 당시 소련 해군 특허청에서 근무하며, 단순히 특허업무 뿐만 아니라 실제로 군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면서 발명특허에는 어떤 법칙과 패턴이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그는 탁월한 창의성이 소수 특정인들의 선천적인 능력이 아니며, 기술 발전 역사의 객관적 법칙을 따라 사고함으로써 누구나 자신의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에 따라 1946년 이후 특허 자료 연구를 수행하여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이룰 수 있는 사고 방법론 및 표준해법을 얻어내었다. 그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모순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 그 해결안이 알려져 있지 않은 문제를 "창의적 문제"라고 명명하였다. 혁신적인 문제해결은 주어진 문제에 내재하는 근본 모순의 제거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1954년 알츠슐러가 석방된 이후 최초의 트리즈 논문을 발표하면서 트리즈의 본격적인 발전이 시작되었다. 이 논문에는 트리즈의 기본 개념인 진화의 법칙, 기술모순, 다기능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을 통해 1960년대에는 최초의 트리즈 도서인 'How to learn to invet'가 발간되었고, 1964년에는 최초의 기술모순 매트릭스를 만들어냈다.

1968년에는 35개의 발명원리가 공표되었고, 1969년에는 'Algorithm of Inventing'이라는 새로운 책이 출간되었다. 1971년까지 5개의 원리가 새로 추가되었고, 기술모순 매트릭스가 완성되었다. 이후 물리적 모순에 대한 분석이 시작되면서 물질-장 분석, 물리적 효과 등 트리즈의 핵심 개념이 추가되었다.

1975년 ARIZ-75, 1977년 ARIZ-77이 만들어지고 발명문제의 표준해 개발이 시작되었다. 1979년에는 'Creativity as an Exact Science'가 출간되었다. 1984년에는 아이들을 위한 'And Suddenly the Inventor appeared'가 출판되었다.

1989년에는 러시아에 트리즈협회 MATRIZ가 설립되고 알츠슐러가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서방세계에 트리즈가 보급되면서 VE, Database 등의 기법이 접목된 'Contemporary TRIZ'가 나오게 된다. 또한 비즈니스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Business TRIZ'도 개발되었다.

지속적인 발전과 보급을 통해 트리즈는 오늘날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경영혁신 도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1.3. 트리즈의 기본 가정

트리즈의 기본 가정은 총 3가지이다.

첫째, 많은 문제들 중 90% 이상은 과거에 이미 고민된 적이 있거나 해결된 문제이다. 즉, 새로운 문제가 아니라 이미 해결책이 있거나 유사한 패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둘째, 혁신은 임의적인 프로세스가 아니라 표준화된 절차가 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발명품은 우연히 나오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혁신에는 일정한 법칙이 있으며, 이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습이 가능하다. 즉, 혁신의 과정에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일정한 패턴이 존재하며, 이를 분석하여 학습하면 혁신을 체계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3가지 기본 가정을 토대로 알트슐레르가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론인 트리즈를 개발하였다.


1.4. 트리즈와 창의성, 혁신의 관계

트리즈와 창의성, 혁신의 관계"

트리즈는 창의성과 혁신의 밀접한 관계 속에서 발전해온 문제해결 방법론이다. 트리즈의 핵심 가정 중 하나는 "혁신은 임의적인 프로세스가 아닌 표준화된 절차가 있다"는 것이다. 즉, 창의성을 통해 혁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에도 일정한 법칙과 패턴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알트슐러는 창의성이 단순히 몇몇 개인의 선천적 능력이 아니라 경험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믿었다. 그는 특허 자료 분석을 통해 창의적인 문제해결에는 반복적으로 활용되는 원리와 패턴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트리즈'라는 체계적인 문제해결 방법론으로 정립하였다.

트리즈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도출과 실행을 위한 다양한 원리와 도구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능 분석', '모순 극복', '이상해결책 도출' 등의 개념과 방법은 창의성을 발휘하여 혁신적인 문제해결에 기여한다. 또한 '40가지 발명 원리'와 '기술 모순 매트릭스'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을 촉진한다.

이처럼 트리즈는 창의성과 혁신의 본질을 이해하고 체계화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창의성이 혁신의 근간이 되는 만큼, 트리즈는 혁신을 위한 강력한 문제해결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경제와 지식사회에서 기업의 경쟁력은 곧 '혁신'을 얼마나 신속하게 이루어내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트리즈와 같은 창의성 증진 기법은 기업이 혁신 역량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2. 트리즈의 기본 개념
2.1. 기능 분석

기능 분석은 트리즈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문제 해결을 위한 기반이 되는 중요한 단계이다. 기능 분석은 객체 또는 시스템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으로, 상품의 가치는 상품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품이 제공하는 "기능"에서 나온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상품의 가치를 상품 자체에서 찾지만, 트리즈의 관점에서는 상품의 가치가 그 상품이 제공하는 "기능"에서 나온다고 본다. 따라서 기능 분석을 통해 상품의 본질적인 기능을 파악하고, 그 기능을 극대화하거나 유해한 기능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혁신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

기능 분석의 주요 개념으로는 "도구", "대상", "특성", "작용" 등이 있다. 기능은 "어떤 대상의 특성을 바꾸는 작용"으로 정의되며, 이를 도식화하면 "도구 - 작용 - 대상"의 구조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경우 바퀴는 도구, 차량은 대상, 회전운동은 특성, 그리고 운반하는 작용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기능 분석을 통해 상품의 본질적인 기능을 파악하고, 그 기능을 극대화하거나 유해한 기능을 제거할 수 있다.

기능 분석의 ...


참고 자료

[사이트] (사)한국트리즈협회, http://www.triz.or.kr/main/
[논문] 팀 조직의 창의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이지예
[학회지] 트리즈(TRIZ)의 창의성, Journal of KSDET, 2005, 김호종
[Seri] 창의적 문제해결이론(트리즈), Seri, 2011, 윤세한
[도서] 트리즈씽킹, 2017, 신정호
[도서] 지혜의 심리학, 2017, 김경일
[Seri] Business TRIZ의 적용사례와 시사점, 포스터경영연구소, 2010, 최영근 외 3명
[도서] 비즈니스 트리즈, 2009, 한국트리즈협회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창의와 혁신',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요구사항과 수단',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기능분석',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자연법칙',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IFR',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시스템 발전법칙',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특성 전이법',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공정분석',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공정혁신', 2002, 윤홍열
[기고문] 트리즈(TRIZ) 소개 시리즈 '트리즈로 본 지식경영', 2002, 윤홍열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