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전방전위증 간호중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상세정보

소개글

"요추전방전위증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상자 소개
1.2. 질병의 정의 및 유형

2. 문헌고찰
2.1. 병인론
2.2. 증상과 징후
2.3. 진단적 검사
2.4. 치료 방법
2.4.1. 보존적 치료
2.4.2. 수술적 치료
2.5. 간호중재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건강지각-건강관리 양상
3.1.2. 활동-운동 양상
3.1.3. 신체검진
3.2. 간호진단
3.2.1. 수술 부위의 급성통증
3.2.2. 신체기동성 장애
3.2.3. 낙상 위험성
3.3. 간호중재
3.3.1. 통증 관리
3.3.2. 움직임 증진
3.3.3. 낙상 예방
3.4. 간호 결과

4. 교육계획안
4.1. 교육 요구
4.2. 교육 목표 및 내용
4.3. 교육 방법 및 매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자 소개

본 사례의 대상자는 정OO이라는 71세 여성 환자로, 초졸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경제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환자는 기혼자이며 현재 남편과 함께 살고 있다. 보호자는 환자의 딸이다.

환자는 2022년 2월부터 시작된 허리 통증과 엉치 통증을 주호소로 하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당시 시행한 검사 결과 척추 협착증 진단을 받았으며, 타 병원에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의 호전이 없어 OLIF 수술을 위해 본원에 입원하게 되었다. 환자는 5년 전 넘어지면서 갈비뼈 골절 경험이 있으며, 고혈압과 당뇨 전단계 질환, 뇌경색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환자의 주호소는 허리 통증과 양측 하지의 감각저하 및 근력약화이다. 보행 시 보조기를 사용해야 할 정도의 보행장애가 있는 상태이다. 수술 전 사지근력 검사 결과 RUE(오른쪽 상지)와 LUE(왼쪽 상지)는 정상 수준이었으나, RLE(오른쪽 하지)와 LLE(왼쪽 하지)는 ROM의 제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낙상위험도 사정 결과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질병의 정의 및 유형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은 위 척추뼈가 아래 척추뼈보다 배 쪽으로 밀려나가면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는 척추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하부 요추에서 흔히 발생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선천형, 협부형, 퇴행성, 외상형, 병적형, 수술후형 등으로 분류된다. 선천형은 요천추부의 선천적인 이상으로 발생하며, 협부형은 스트레스 골절에 의한 척추 협부의 결손이 가장 흔한 유형이다. 퇴행성은 나이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40대 이후 여자에게서 호발한다. 외상형은 심한 외상으로 인해 협부 이외 부분이 골절되어 생기며, 병적형은 국소적 또는 전신적 골 질환으로 인한 것이다. 수술후형은 척추 지지조직을 너무 많이 제거한 후에 발생할 수 있다.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나오면서 발생한다. 정상 척추의 후방에서 상하 척추의 관절돌기가 후관절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기전이 손상되면 상위 척추가 전방으로 전위되는 것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나이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40대 이후 특히 여자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그 외에도 선천적 이상, 외상, 골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병인론

척추전방전위증의 병인론은 다음과 같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 하나가 인접하는 그 아래 척추뼈 앞으로 미끄러져 나왔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척추분리증으로 인해 유발된다. 척추분리증은 어떤 원인에 의해 척추뼈 내의 연결 부위에 결손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급성 성장기에 척추에 가해지는 반복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 골절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추측된다. 척추분리증이 있어도 전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결손 부위에서 뼈가 어긋나면서 위쪽 척추가 아래 척추에 비해 앞으로 빠지면(전위) 요추 전방전위증 상태가 된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척추가 장기간 불안정하여 전방전위증이 생길 수 있다.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은 후방 관절의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전방 전위증이 생기는 상태이다. 대개 50대 이후 나이가 들어서 생기며, 특히 여자에게 흔하고 주로 제4요추에 호발한다.

이 외에도 척추관절이 비정상적인 경우나 심한 외상으로 인한 경우도 있다.


2.2. 증상과 징후

척추 전방 전위증은 주로 허리/엉치 통증 및 다리로 뻗치는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대개 서서히 발생해서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지속되며 경우에 따라 그 빈도나 강도가 점점 심해지기도 한다"." 허리통증은 주로 기계적인 통증, 즉 움직이면 악화되고 쉬면 호전되는 양상의 통증이다"." 척추 전방 전위증으로 인한 증상 이외에도 동반된 허리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앞으로 숙이거나 앉는 자세에서 악화되거나 경우에 따라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악화될 수도 있다"." 허리 자체의 통증보다는 엉치뼈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다리로 뻗치는 통증은 척추가 어긋남에 따라 신경에 눌리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흔하지는 않지만 심한 경우 하지 근력이 약해지거나 대소변 기능에 지장을 줄 수도 있으며 이런 증상을 보이는 경우 수술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 '신경성 파행'이란 걸을수록 하지의 통증, 저림 등이 심해지고 쪼그리는 자세나 앉아서 쉬면 나아지는 형태의 증상이며, 증상이 심해지면 몇 발자국 걷기 힘들 정도로 심해질 수도 있다"."


2.3. 진단적 검사

X-선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CT), 자기공명 촬영(MRI)은 척추 전방 전위증을 진단하는 데 주요 검사이다.

X-선 검사를 통해 척추뼈의 구조를 볼 수 있고, 척추관절과 관절 사이의 분리, 척추뼈의 밀려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가시뼈, 관절의 비대 등을 볼 수 있다. X-선 검사 중 굴곡, 신전 검사는 척추뼈의 밀려나는 정도의 변화로 척추 불안정 상태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전산화 단층 촬영(CT)은 척추 관절과 관절 사이의 분리, 척추뼈의 전위된 정도, 척추뼈, 관절, 인대의 비대로 신경이 눌리는 정도를 알 수 있다.

자기공명 촬영(MRI)은 디스크의 구조와 척추뼈가 밀리면서 신경의 압박 상태, 관절, 인대의 비대로 척추관 협착 정도를 알 수 있다.

척추 전방 전위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메이어딩 그레이드(Meyerding's Grade)가 있다. 이는 밀려 나간 척추뼈 아래에 있는 척추뼈의 상위 면을 4등분으로 그레이드를 나누고 각 그레이드 별로 얼마나 밀려 나갔는지 평가하는 방법이다.


2.4. 치료 방법
2.4.1.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는 수술적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들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경우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며,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경우에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보존적 치료에는 침상 안정, 물리치료, 약물치료, 보조기 사용 등이 포함된다. 먼저 침상 안정은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증상이 심한 경우 2-4일간 단단한 침대 위에서 안정을 취하며, 이때 다리 밑에 베개를 대어 고관절과 슬관절을 약간 굴곡시켜 좌골신경을 이완시키는 자세를 취하게 한다.

물리치료는 심부 초음파, 온열 및 습열 치료, 전기 신경 자극 치료 등을 통해 통증을 경감시키고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코르셋이나 보조기를 사용하여 척추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만 3개월 이상 장기간 보조기를 착용하면 근육이 약화되고 척추 구조가 퇴행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약물치료로는 소염진통제, 근이완제, 신경 차단술 등이 사용된다. 소염진통제는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근이완제는 근육 경련을 줄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또한 신경 차단술은 신경근에 직접 스테로이드를 주입하여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사용된다.

환자 교육 또한 ...


참고 자료

박정숙 외(2019). 성인간호학1. 현문사.
박정숙 외(2019). 성인간호학2. 현문사.
송영신 외(2021). EBN 기본간호학1. 수문사.
송영신 외(2021). EBN 기본간호학2. 수문사.
권두현. "척추관 협착증과 동반된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에서 후외방 유합술과 후방추체간 유합술의 비교." 국내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대구
Meg Gulanick and Judith L. Myers,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역, 현문사, 2017.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이영희 외 해부생리학 II, 2015, 수문사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I, 2017 수문사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 II, 2017 수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 2013 현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I, 2013 현문사
조경수 외9, 성인간호학 上, 제6판, 현문사
송경애 외9,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2017, 수문사
최수미 외 알기 쉬운 핵심약리학 수문사
최영희 · 신경림 외 3, 노인과 건강, 제5판 현문사,
고려대학교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s://www.koa.or.kr/info/index_4_6.php 대한정형외학회, 척추전방전위증 원인, 분류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2 서울아산병원, 증상
대한정형외과학회지 제26권 제3호, 척추전방전위증의 수술적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인재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김영일, 손정환, 최장석, 이영구 685~686
성인간호학, 수문사, p. 1211 비수술적 치료
성인간호학, 수문사, p. 1212~1213 간호중재
https://www.nhis.or.kr/magazin/125/html/c04.html 건강매거진, 척추전방전위증 합병증, 치료
http://www.jkhospital.co.kr/bbs/content.php?co_id=sub04_03 전주고려병원- 척추 수술
https://spinelove.com/spine-center/minimally-invasive-surgery/oblique-lateral-interbody-fusion/ 척사랑 병원 – 사측방 경유 척추 유합술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성인간호학, 수문사, p. 1194~1213
http://www.snuh.org/board/B016/view.do?bbs_no=3601&searchKey=&searchWord=&pageIndex=1 서울대학교병원,12 척추 수술 후 운동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