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탈리아마스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19와의 전쟁: 유럽의 방역 및 과제
1.1. 서론: 끝나지 않는 전쟁
1.2. 유럽 국가의 코로나19 방역 실패와 한계
1.2.1. 영국: 공공의료체계의 취약성과 정부의 오판
1.2.2. 이탈리아: 느슨한 대응과 사회주의 포퓰리즘
1.2.3. 그리스: 강력한 봉쇄 조치와 개인의 자유 간 갈등
1.3. 마스크 정책과 개인의 자유: 유럽 vs. 한국
1.4. 코로나19 대응에서 국가와 개인의 역할
1.5. 결론: 자유와 안전의 균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19와의 전쟁: 유럽의 방역 및 과제
1.1. 서론: 끝나지 않는 전쟁
세상을 삼킬 듯 덮쳐오던 바이러스가 어느새 일정한 수치를 보이며 소각되어 간다고 생각했다. 어느덧 바이러스 관련 수치는 우리에게 일상적인 뉴스가 되었다. 그런데도 우리는 여전히 코로나19에 경계를 풀지 못하고 매일 몇 건의 비상 알람 소리를 들으며 확진자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확인하며 불안해하고 있다. 인간의 안일함을 비웃기라도 하듯 무증상이라는 변이성을 갖고 다시 접근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타임스에 의하면 유럽발 코로나바이러스를 소개하며, "사람 간 전파되면서 조금씩 변이를 일으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 배열을 연구한 결과 3분의 2 이상이 유럽에서 유입됐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아시아 각지에서도 변이성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다시 비상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일보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유럽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가 부채에 허덕이는 나라에서 많이 나왔다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나랏빚에 허덕여서 보건·의료 분야에 충분한 재정 투자를 못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끝나지 않는 전쟁 같은 상황 속에서 우리는 매일 새로운 소식과 변화에 귀 기울여야 한다. 바이러스에 대한 위협이 지속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대응책을 마련해나가야 할 것이다.
1.2. 유럽 국가의 코로나19 방역 실패와 한계
1.2.1. 영국: 공공의료체계의 취약성과 정부의 오판
영국은 국민 보건 서비스(NHS, 1948년)라는 공공의료 체계의 취약성과 정부의 오판으로 인해 코로나19 사망자가 크게 늘어났다.
NHS는 100% 세금으로만 운영되는데,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의사와 간호사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영국 병원은 모두 공영(公營)으로 운영되어 의사를 공무원에 예속시키고, 영국법에 따라 59세에 은퇴해야 한다. 이에 따라 부족한 의료진을 외국인으로 채워왔지만, 최근 영국의 EU 탈퇴로 인해 EU 소속 의료진이 대거 영국을 떠났다. 또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국가 전체의 보건비용이 불어나 공공의료 체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더해 존슨 내각은 NHS 체계를 과신하면서 코로나19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 3월 초 이탈리아 등이 전국 봉쇄령을 내릴 때 존슨 총리는 "전체 인구의 일정 비율 이상이 면역력을 가지면 코로나19를 이길 수 있다"며 소위 '집단면역' 전략을 추진해 귀중한 시간을 허비했다. NHS 내부 전문가들 또한 코로나19를 독감의 일종으로 잘못 판단했다.
결과적으...
참고 자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국가별 코로나 대응 유형과 그 성패가 인류의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국가별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상황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1.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응하는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코로나19 국가별 대처 방안 https://crew-factory.tistory.com/242
https://crew-factory.tistory.com/242[Laviii]
포퓰리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
팬데믹,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
「고강도 봉쇄로 이탈리아 어린이 10명 중 7명 수면장애 증상」, 연합뉴스, (2020. 06. 17),
www.yna.co.kr/view/AKR*************0109?section=-popup
「그리스의 방역 마법」, 조선일보, (2020.5.5) www.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5/2020050500011.html
「뉴욕 코로나는 아시아발 아닌 유럽발」, 뉴스핌, (2020. 4. 9) www.newspim.com/news/preview
「마스크는 위대했다.. 최악피해 뉴욕,이탈리아에서 효과 입증」, 연합뉴스, (2020. 6. 13),
www.yna.co.kr/view/AKR*************0009?section=popup++
「이탈리아 방역 실패, 사회주의 포풀리즘」, 제3의길, (2020. 3. 24),
www.road3.kr/?p=30330&cat=118&ckattempt=1
「코로나19 방역에 실패한 ‘유럽연합’의 숙제,
https://www.joseilbo.com/news/htmls/2020/04/20200407395542.html, 조세일보, (2020. 4. 7)
「포퓰리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D%93%B0%EA6%AC%EC%A6%98
「英 코로나19 사망자 급증 이유는… “伊 제치고 유럽 최대 피해국 될 것」, 동아일보, (2020. 5. 4) www.donga.com/news/view?gid=100905184&date=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