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보건의료정책, 노인전문간호사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문간호사 제도
1.1. 전문간호사 제도의 도입과 현황
1.2. 전문간호사의 업무 범위와 역할
1.3. 전문간호행위에 대한 건강보험수가
2.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 정착과정 및 활성화 대안
2.1.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 정착과정
2.2. 전문간호사 제도 활성화 대안
3. 노인전문간호사 제도
3.1.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직무
3.2. 노인전문간호사 교육과정 및 자격
3.3. 노인전문간호사의 실무 분야
4.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과 노인전문간호사
4.1.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필요성
4.2. 노인대상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간호사 역할
4.3. 노인대상 방문건강관리사업 간호사의 직무 및 과업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문간호사 제도
1.1. 전문간호사 제도의 도입과 현황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는 국내외 보건의료분야의 간호전문화 추세, 간호의 전문적 성장에 대한 요구, 비용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 등 의료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의료비 절감 기대, 전공의 부족현상의 해결책, 자원의 효율적 배분, 실무 표준화와 질적 수준의 유지 및 관리 등의 필요성에 의해 2003년 법제화되었다. 미국의 전문간호사 제도의 경우 60년간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며 법제도를 개선시켜 왔으나 국내 전문간호사 제도는 외국의 전문간호사 제도와는 다르게 처음부터 전문간호사 명칭과 자격요건, 전문간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어 제도의 법제화 이후 의욕적으로 전문간호사를 양성하기 시작하였다.
1.2. 전문간호사의 업무 범위와 역할
전문간호사의 업무 범위와 역할은 다음과 같다.
전문간호사는 전문적인 간호실무 제공, 교육 및 상담, 리더십 발휘, 자문 및 협동 업무를 수행한다.
첫째, 전문간호사는 전문가적 간호실무를 제공한다. 이는 해당 전문 분야의 대상자에게 상급수준의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간호사는 대상자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전문적인 간호실무를 수행한다.
둘째, 전문간호사는 환자, 가족, 간호사, 보건인력 등을 대상으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자가관리 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다른 보건의료 전문가에게 관련 지식과 기술을 전수하는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셋째, 전문간호사는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한다. 변화의 주도자이자 역할모델이 되어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을 이끌고, 간호실무를 옹호한다.
넷째, 전문간호사는 환자, 가족, 타 보건의료인력과 협력하여 자문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다학제 팀 내에서 환자 중심의 통합적 돌봄을 조정하고 촉진한다.
이와 같은 전문간호사의 다양한 역할과 업무는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1.3. 전문간호행위에 대한 건강보험수가
전문간호사의 전문간호실무에 대해서는 국민건강보험제도 안에서 독립적으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다. 간호수가는 국민건강보험제도 안에서 간호관리료 차등지급을 통해 간접적으로 보상받고 있을 뿐이다. 일부 교육수가 중 필수 교육자에 전문간호사가 포함된 경우에 한하여 간호수가가 발생되기도 하나 매우 제한적이다.
노인전문간호사는 노인과 그 가족에게 질 높은 간호제공, 상담자, 교육자역할을 하고 다학제적 팀에서 팀 조정자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일차건강관리 기관인 보건소, 노인진료소 및 요양원, 가정방문 사업소, 주간노인 센터, 노인복지 센터를 비롯하여 병원 외래, 종합병원의 노인병동 등에서 각자의 역할에 맞게 건강보험수가가 마련된다면 노인건강문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 기대된다.
2.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 정착과정 및 활성화 대안
2.1.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 정착과정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 정착과정은 다음과 같다.
미국의 경우 1960년대 이후 교육과정과 자격제도를 갖추며 다양한 형태로 전문간호사 제도가 발전하였다. 1990년대 이후 석사학위 이상의 전문교육과정을 받은 간호사로 전문간호사의 개념과 제도가 정착되었고, 비용 효율적인 면에서 인정을 받으며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004년 미국간호협회에서 개발한 전문간호 실무표준을 토대로 전문간호사의 역량 표준화를 도모하였고, 2011년까지 44개 주에서 간호사법에 전문간호사 관련 사항을 명시하고, 19개 주는 실무 영역에 의사 협력이나 감독을 지정하였다. 전문적인 실무범위에서 전문간호사의 역할, 비용효율성, 입원률 감소, 약물사용 감소 등 환자 안전 측면과 만족도 향상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시행하며 전문간호사 ...
참고 자료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 보건복지부
한국의 사회동향 2018. 통계청
설미이,신용애,임경춘,임초선,최정화,정재심(2017).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4(1), p.37-44.
김미정, 김영경, 신수진(2014). 한국 전문간호사의 업무 성과, 성인간호학회지, 26(6), p.630-641
김용순, 유문숙, 손연정, 박진(2013). 전문간호사를 위한 국내외 관련 법제도 분석 및 방향. 대한간호협회 2013년도 연구사업.
보건복지부(2017). 2017년 노인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7). 한국 전문간호사 현황. 2017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Annual Report. 제2018-01-03
Suh SR, Gwon SH, Gwak WH, Gwon IG, Kim SH, Jang BH et al(2014). A study on the status and survey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policy research report. 2014;24-
이경자외(2004).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노인간호학회지. 6(1):125-133
김현주외(2014). 의사보조인력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법. 한국의료법학회지. 22(1):7-20
Julie Stanik-Hutt et al(2013).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care provided by nurse practitioners.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9(8):492-500
Lusine Pogbosyan et al(2015). Maximizing nurse practitioners' contributions to primary care through organizational changes. Journal of ambulatory care management.38(2):109-117
Hilary Barnes et al(2017). Effects of regulation and payment policies on nurse practitioners' clinicla practices. Med Care Res Rev. 74(4):431-451
대한간호협회 (koreanurse.or.kr)
노인간호사회 (kgna.kr)
국가법령정보센터 (law.go.kr)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
공은숙(2016)노인급증에 따른 간호학의 이슈와 변화. 노인노년학연구회 25(0), 39-43
곽찬영,박진아(2014)전담간호사 운영현황과 역할 실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583-595.
한영란·박언아·방미란·안나원, 「노인대상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간호사의 역할과 직무」,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5권 제3호, 2021, 430-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