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인지이론의 개요
1.1. 인지이론의 정의와 특징
인지이론이란 인간의 인지(認知), 즉 사고, 판단, 지각 등의 정신과정이 행동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 이론이다. 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을 매우 주관적인 존재로 규정하며, 객관적인 현실보다는 각 개인이 구성한 주관적 현실이 중요하다고 본다"이다.
인지이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을 비결정론적 존재로 간주한다. 즉, 인간은 유전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인지를 능동적으로 구성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고 본다.
둘째, 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의 행동과 정서가 그 사람이 세계를 어떻게 구조화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본다. 즉, 인간은 주관적으로 구성한 현실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한다는 것이다.
셋째, 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의 사고과정에 주목한다. 인간은 환경의 자극에 단순히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인지적 과정을 통해 능동적으로 환경을 해석하고 구성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넷째, 인지이론에서는 인지의 변화가 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즉, 부적응적이거나 문제적인 행동은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인지로 인한 것이므로, 이러한 인지를 변화시키면 행동도 변화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처럼 인지이론은 인간의 인지과정에 초점을 맞추면서 행동과 정서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1.2. 인지이론의 발달과 분류
1.2.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인지 발달 과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 아동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진적으로 사고 구조가 발달해 가는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다.
피아제는 아동의 인지 발달을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감각운동기(0-2세)에는 감각과 운동만을 통해 세상을 탐색하고 인지 구조를 형성하며, 전조작기(2-7세)에는 언어와 상징 사용이 발달하지만 아직 논리적이지 않은 직관적 사고를 한다. 구체적 조작기(7-11세)에는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해지며, 마지막으로 형식적 조작기(11세 이후)에는 추상적 사고와 연역적 문제 해결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피아제는 아동이 능동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인지 구조를 발달시킨다고 보았다. 즉, 아동은 자신의 기존 지식 체계와 새로운 경험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동화와 조절 과정을 거치며 인지 구조를 재구성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때 아동의 자발적인 탐구심과 호기심이 인지 발달의 핵심적인 동력이 된다.
또한 피아제는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는데, 아동은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점차 벗어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탈중심화 과정을 거친다고 보았다. 이처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아동 교육과 지도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2.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인간의 도덕적 행동과 판단이 단계적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콜버그의 이론에 따르면 도덕성 발달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 내에는 두 개의 하위 단계가 존재한다.""
첫 번째 단계는 '전통적 도덕성' 단계로, 이 단계에서 개인의 행동은 처벌과 보상에 의해 동기화된다. 하위 단계인 '복종과 처벌 지향성' 단계에서는 타인의 권위나 처벌을 회피하기 위해 규칙을 준수하며, '도구적 상대주의' 단계에서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규칙을 준수한다.""
두 번째 단계는 '상호 개인적 도덕성' 단계로, 이 단계에서 개인은 타인과의 대인관계와 상호 호혜성에 기반하여 도덕적 판단을 한다. 하위 단계인 '대인 간 일치' 단계에서는 타인의 기대와 승인을 얻기 위해 행동하며, '타인중심적 도덕성' 단계에서는 타인의 감정과 요구를 고려하여 행동한다.""
마지막 단계는 '자율적 도덕성' 단계로, 이 단계에서 개인은 자신의 양심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한다. 하위 단계인 '사회계약 지향성' 단계에서는 법과 사회 규범을 준수하며, '보편적 윤리 원칙 지향성' 단계에서는 정의, 평등, 인권 등의 보편적 윤리 원칙에 따라 행동한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도덕 판단의 기준이 점차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린 시절에는 처벌과 보상에 의해 도덕적 행동이 동기화되지만, 성장하면서 타인과의 관계와 사회 규범, 나아가 보편적 윤리 원칙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하게 된다.""
이러한 콜버그의 이론은 도덕 발달에 대한 체계적인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문화적 차이와 개인차를 간과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가치판단에 있어 연령에 따른 고정성을 강조했다는 한계도 지적된다.""
1.2.3. 벡의 인지치료이론
벡의 인지치료이론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병리를 동기나 본능보다는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론적 공헌을 하였다"" 벡은 인간이 사건과 현상을 인지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정서와 행동이 달라진다고 보았다"" 즉, 인간의 행동에 관하여 정보처리 모형과 현상학적 입장에서 접근하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