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발의 결합에대해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모발의 결합에대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모발의 화학적 구조
2.1. 펩티드 결합
2.2. 시스틴 결합
2.3. 이온결합
2.4. 수소결합

3. 모발의 화학적 특성이 모발에 미치는 영향
3.1. 펌과 염색
3.2. 모발의 팽윤 및 연화
3.3. 모발의 산성과 알칼리성

4. 모발의 pH와 모발 관리
4.1. 모발의 등전점
4.2. 산성과 모발
4.3. 알칼리와 모발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모발은 일반적인 정의로는 머리카락뿐만 아니라 신체에 분포하는 모든 털을 이르는 말로, 두발, 수염, 눈썹, 속눈썹, 코털, 귀털, 겨드랑이털, 음모 등이 해당된다. 이는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길이나 굵기가 서로 다르며, 일부 부위를 제외한 몸 전체에 분포한다. 생물학적 정의로는 모발은 상피세포가 단단하게 각화되어 발생한 것으로 포유동물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포유동물만의 특징인 모발에 대한 구조를 이해하고 그 결합과 그것을 이용한 시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모발의 화학적 구조
2.1. 펩티드 결합

펩티드 결합은 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결합하면서 한쪽 아미노산의 카르복시기와 다른 쪽 아미노산의 아미노기가 탈수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결합이다. 이러한 펩티드 결합이 단백질의 경우 폴리펩티드 결합이라고 한다. 모발의 주성분인 케라틴은 약 4천개의 폴리펩티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결합은 측쇄결합보다 훨씬 강하다. 모발의 주 사슬을 이루는 펩티드 결합은 끊어질 경우 모발의 손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펩티드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모발을 보호하는 시술에 이용된다. 따라서 모발의 펌이나 염색과 같은 화학적 시술에서는 측쇄결합을 주로 절단 및 재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펩티드 결합은 최대한 보호되어야 한다.


2.2. 시스틴 결합

시스틴 결합은 모발의 아미노산 중에서 시스틴 아미노산이 만드는 결합이다. 또는 시스틴 아미노산에 들어있는 황과 황(S-S)이 결합한다고 하여 이황화결합으로도 불린다. 시스틴은 중성을 띄는 아미노산으로 모발 구성에서 16~18%라는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여 케라틴의 성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시스틴 결합은 측쇄 결합 중에서 가장 강한 결합이기도 하다. 그러나 화학적으로는 약하여, 치오클콜산 염류 등에 화학적 반응에 쉽게 단절된다. 그리고 브롬산염류나 과산화수소 등 산화제를 사용하면 재결합 시킬 수 있다. 이때 모발에 원하는 모양으로 웨이브를 생성하여 고착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3. 이온결합

이온결합(염 결합)은 모발의 측쇄(가로) 결합 중 하나로, 양성 아미노산의 아미노기(NH3+)와 음성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COO-)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형성된다.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을 이루면 적정 범위의 pH에서 잔기 중에 염기성 아미노기와 산성 카르복실기가 남게 되는데, 이 두 이온 간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이온결합이 이루어진다.

모발의 등전점인 pH 4.5~5.5 범위에서 이온결합의 힘이 가장 강하며, 이 결합은 산성 또는 알칼리성에 의해 쉽게 끊어지게 된다. 모발이 산성이나 알칼리성으로 벗어나면 이온결합의 힘이 약해지면서 모발이 팽윤되고 연화된다. 특히 알칼...


참고 자료

『손에 잡히는 모발과학』 김옥연, 메디시언, 2021년 3월 20일 발행
(이온의 정의) 비상학습백과 중학교 과학② 물질의 구성 입장 중 이온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44280&cid=47337&categoryId=47337
강미경 등 21인(2010). 미용과학, 서울; 청구문화사.
서윤경 (2008). 모발과학의 기초 서울 :예림.
김혜숙. Bacillus sp. Keratinase의 모발 처리 영향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28-142. 2010.
송경희(2014). 영구염모제와 천연염모제 사용에 따른 선호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30∼60대 여성을 중심으로. 영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윤경, 화학 시술 시 펄빅산 기능수 사용이 모발 내 중금속 저감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7
한경희, 모발과학, 훈민사, 200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