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1.1. 정의 및 원인
1.1.1. 유해한 입자나 가스 노출에 의한 기도와 폐포의 이상
1.1.2. 담배 연기의 유해 물질이 기관지 자극 및 염증 유발
1.1.3.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의 주요 원인
1.2. 병태생리
1.2.1. 기류 제한
1.2.2. 가스 교환 장애
1.2.3. 폐동맥 고혈압
1.2.4. 전신적 염증 반응
1.3. 임상 증상
1.3.1. 경미한 증상
1.3.2. 일반적 증상
1.3.3. 중증 증상
1.4. 진단
1.4.1. 폐기능 검사
1.4.2. 영상 검사
1.4.3. 혈액 검사
1.5. 치료 및 간호 중재
1.5.1. 내과적 치료
1.5.2. 외과적 치료
1.5.3. 간호 중재
1.6. 합병증
1.6.1. 심혈관 질환
1.6.2. 급성 악화
1.6.3. 폐암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1.1. 정의 및 원인
1.1.1. 유해한 입자나 가스 노출에 의한 기도와 폐포의 이상
유해한 입자나 가스 노출에 의한 기도와 폐포의 이상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유해한 입자나 가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폐의 기도와 폐포에 여러 가지 병리학적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먼저, 유해한 물질이 기관지를 자극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이러한 염증은 점차 만성적으로 진행되면서 기관지 벽이 두꺼워지고 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기류 제한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해 물질에 의해 폐포 벽이 파괴되면서 폐포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폐기종이 발생한다. 폐기종이 진행되면 폐의 탄력성이 감소하고 폐포와 기도의 지지 구조가 손상되어 공기가 폐포에 가둬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로 인해 가스 교환 장애가 발생하고 호흡 곤란이 악화된다.
이처럼 유해한 입자나 가스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만성적인 기도 염증과 폐 실질의 손상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기류 제한과 가스 교환 장애라는 COPD의 핵심적인 병태생리학적 변화가 초래된다. 따라서 COPD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유해 물질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2. 담배 연기의 유해 물질이 기관지 자극 및 염증 유발
담배 연기의 유해 물질이 기관지 자극 및 염증 유발이다.
흡연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흡연 시 흡인된 연기 속 유해물질이 폐의 정상적인 단백분해효소를 자극하여 과잉 방출하게 된다. 이 단백분해효소들이 폐포의 주요 구성 요소인 elastin을 파괴한다. 또한 섬모 작용을 방해하여 기관과 기관지의 점액, 세포 조직 파편, 체액 등을 제거하는 섬모의 기능을 억제한다. 직접 흡연뿐만 아니라 간접 흡연도 상, 하부 호흡기도에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좁은 공간에서 흡연에 노출될 경우 그 위험이 더 크다.
1.1.3.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의 주요 원인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의 주요 원인은 "흡연"이다. 흡연은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으로, 담배연기 속 유해 물질이 기관지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이것이 오랜 시간 동안 반복되면 기관지 벽이 두꺼워지면서 기관지가 좁아져 만성 기관지염이 발생한다. 또한 만성 기관지염은 폐포가 탄력을 잃고 산소 교환이 원활하지 않아 망가진 폐포끼리 뭉쳐서 기관지를 압박하는 폐기종을 유발한다. 따라서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은 COPD의 주요 원인이 된다.
1.2. 병태생리
1.2.1. 기류 제한
COPD 환자에서 기류 제한은 다음과 같은 병태생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첫째, 기도 저항의 증가와 함께 폐기종에서 폐포 부착부위의 파괴로 인해 폐탄력 반동이 감소하여 폐유순도가 증가한다. 폐 탄력의 감소는 폐포 및 기도 내압을 감소시켜 최대 호기 시 흉강 내압에 비해 기도 내압이 같아지는 지점이 흉강 내에서 생기게 된다. 이보다 근위부에서는 흉강 내압이 기도 내압보다 높아 기도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폐기종 환자들이 기도 내압을 높이려고 입술을 오므리고 호흡을 하는 특징을 보인다.
둘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운동 등 환기 요구량의 증가가 필요한 상황에서 흡기 시 평상시보다 많은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호흡수가 빨라지면서 상대적으로 호기시간이 줄어들어 호기 시 공기 배출이 더욱 어려워진다. 그 결과 호기말폐용적이 점차 증가하게 되는데, 일시적으로 호기말폐용적이 시작지점보다 증가하게 되는 상태를 동적 과팽창이라고 한다.
이러한 동적 과팽창은 폐포 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는 내인성 호기말양압 발생을 초래한다. 내인성 호기말양압 증가 상태에서 흡기를 시작하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흉곽의 호흡근이 만들어야 할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기도저항이 증가하고 호흡수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과팽창으로 가장 중요한 호흡근인 횡격막이 평탄해짐에 따라 근섬유가 짧아져 호흡근의 약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변화는 환자의 호흡곤란과 운동능력의 제한을 가져온다.
이처럼 COPD 환자에서의 기류 제한은 기도 저항 증가와 폐탄력 반동 감소, 동적 과팽창 등의 복합적인 병태생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환자의 증상과 운동능력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1.2.2. 가스 교환 장애
COPD 환자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가스 교환 장애는 폐 관류-환기의 불균형이다. COPD는 만성적인 염증반응으로 인해 소기도벽이 두꺼워지고 내강이 좁아지며 점액 분비가 증가하여 기도저항이 증가하고 기류제한이 나타난다. 또한 폐기종의 발생으로 폐포가 파괴되어 폐포-기도 부착이 약화되고 폐포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참고 자료
수문사 2022 성인간호학Ⅰ 윤은자, 김숙영외 공저
연구의 필요성: 장희정 ( Jang Hee Jung ),& 김정엽 ( Jung Youp Kim ). (2006). 만성폐쇄성폐질환 외래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1(6), 533-546.
병태생리: Hyun Kuk Kim, M.D., Sang-Do Lee,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No. 1, Jul. 2005
그림: 네이버 이미지
https://www.msdmanuals.com/
https://www.amc.seoul.kr/서울 아산병원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공저, 현문사 (2013)
근거기반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임난영 외 공저, 수문사 (2012)
성인간호학1, 김금순 외 공저, 수문사 (2012)
유철규. (2009).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인과 병태생리. , 77(4), 383-400.
한유석, 김현아, 김용주, 김창근, 정다은, 김성희. (2005). 홍역 감염 후 곤봉지를 동반한 폐쇄성 세기관지염. , 15(4), 451-457.
김현국, 이상도. (2005).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태생리.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59(1), 5-1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폐기종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49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만성폐쇄성폐질환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