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윤리적 의사결정
1.1. 윤리적 의사결정 이해
1.1.1. 윤리이론, 원리, 규칙의 실제 적용
윤리이론, 원리, 규칙의 실제 적용이란 윤리이론, 윤리원리, 윤리규칙들을 실제 상황에서 도덕적 판단을 하거나 행동을 선택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리이론, 윤리원리, 윤리규칙은 계층적 관계에 있는데, 가장 이론적이고 보편적인 수준이 윤리이론이며, 그로부터 좀 더 구체적인 윤리원칙이 도출되고, 이러한 원칙들이 다시 더욱 구체적인 윤리규칙으로 나타난다"."
윤리이론은 개인이나 집단의 도덕규범이나 규범이론을 가리키며, 가장 이론적이고 보편적인 수준의 윤리적 판단과 사고의 기반이 된다"."
윤리원리는 윤리이론에서 나오는 더 구체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의 원칙들로, 예를 들어 선행의 원칙, 악행 금지의 원칙, 정의의 원칙 등을 들 수 있다"."
윤리규칙은 이러한 윤리원칙들을 더욱 구체화한 것으로, 특정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행동의 준거가 된다"."
예를 들어 선행의 원칙에서는 자비, 친절, 우정, 자선 등의 실천이 도출되고, 악행 금지의 원칙에서는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끼치지 않는 것 등이 도출될 수 있다"."
이처럼 윤리이론, 윤리원리, 윤리규칙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제 의사결정 상황에서 이들을 토대로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
1.1.2. 윤리적 딜레마 해결을 위한 단계별 전략
윤리적 딜레마 해결을 위한 단계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한 사실 획득이다. 문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사실들을 수집하여 불확실하거나 애매한 요소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대안 고려이다. 선택 가능한 다양한 대안들을 모색하고, 이러한 대안들을 통해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한다.""
셋째, 평가이다. 덕, 정의, 의무, 권리, 공리주의 등의 도덕이론에 따라 가능한 해결책들을 평가하고, 의사결정에 의해 이해당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필요한 경우 위험평가도 시행한다.""
넷째, 행위이다.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심사숙고 후 당사자들에게 필요한 대안을 실행에 옮긴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대안에도 개방적인 태도를 견지한다.""
이와 같은 단계적 접근을 통해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
1.2.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
1.2.1. 공리주의적 의사결정 방법
공리주의적 의사결정 방법은 "옳은 행위란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이에 따르면 행위의 도덕성은 그 행위가 가져오는 결과에 의해 판단되며, 결과가 가장 "좋다"...